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
주노 디아스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8년 퓰리처상

 

퓰리처상 괜히 받는 거 아니다. 특히나 이 작가가 받은 상을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미국에서 주는 상인 퓰리처 상에서 예전에 미국의 식민지였던 도미니크 출신의 작가가 도미니

 

크의 역사에 대한 이야기로 받은 상. 그러니깐 비유하자면 일본에서 재일교포인 한국인이 한국의

 

식민지 역사에 대한 소설을 쓰고 일본 최고의 상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재미있고 또 슬프다. 찌질한 꼴통 '오스카'가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에는 너무나 멋지고 사랑스럽

 

게 느껴졌다. 조금은 잔혹한 어른들을 위한 동화가 아닐까 싶다.

 

 

사랑에 빠진 '꼴통'들에게 보내는 수다스럽고 아름다운 인생 찬가

 

개인과 민족의 역사에 드리워진 '저주'를 눈부신 희망의 이름으로 타개하는 소설.

 

(인터뷰 | 알라딘 도서팀 김재욱, 번역 | 문학동네) 

 

 

"우리 스스로는 이 세상의 축복이거나 저주이거나 한 것이다."  

 

 

 

끝으로 알라딘과 작가의 인터뷰 중에 한 부분을 실어본다.(관심있으신 분은 이 책의 저자소개에

 

서 인터뷰를 클릭해서 읽어보기 바란다. 이 책을 읽은 사람에게는 꼭 추천해 주고 싶다.)

 

알라딘 : 끝으로 한국의 팬들, 특히 알라딘 회원들을 위한 간단한 인사말을 부탁한다. (알라딘은 인터넷서점이지만 책에 대한 열정이 가득한 사람이 많고, <오스카 와오> 또한 아주 좋은 평을 얻고 있다.)

주노 디아스 : 먼저, 누구라도 내 책을 읽어준다는 것은 영광이다. 정말 감사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의 문화, 우리의 보다 나은 삶에 대해 읽는 것이며, 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책을 읽는 것은 비이성과 증오에 대항해 전 세계 문명,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있는 이 아름다운 문명을 돕는 것이기도 하다. 독서는 인류가 가진 몇 안 되는 가장 위대한 사명이라고 나는 굳게 믿는다. 지구의 다른 한편에서, 내가 모르는 언어로 형제자매들이 조용히 독서라는 예술을 연마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리고 독서는 인류의 가장 아름다운 부분, 즉 복잡성, 두려움, 희망에 대해 알게 해준다는 생각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나를 너무도 기쁘게 한다. 나의 가장 큰 희망은 언젠가 알라딘 회원이 쓴 책을 영어로 읽게 되는 것이다. 단어들로 이루어진 같은 강줄기가 나를 당신에게로, 당신을 내게로 데려와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