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형래의 진짜 신나는 도전 - 영구에서 용가리까지
심형래 / 21세기북스 / 1999년 5월
평점 :
절판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5.8.

숨은책 921


《심형래의 진짜 신나는 도전》

 심형래 글

 21세기북스

 1999.5.20.



  어릴 적에 ‘극장 아닌 시민회관’에서 〈우뢰매〉를 보았어도 ‘어딘가 어설프고 틀렸다’고 느꼈으되, ‘이렇게 찍을 수도 있구나’ 하고 여겼습니다. 〈용가리〉나 〈디워〉를 보면서 ‘이분은 스스로 뭘 할 줄 알고 뭘 못하는지 모르네’ 하고 느꼈어요. 웃기기만 한다고 웃을 수 있지 않습니다. 남을 깎아내리거나 얕보거나 깔보면서 웃기려 하면, 웃음이 아닌 비웃음을 일으킬 뿐입니다. 돈을 잔뜩 벌어들여야 훌륭하다면, 사람은 아무 일도 할 까닭이 없이 돈벌이에만 사로잡혀야겠지요. 《심형래의 진짜 신나는 도전》은 ‘진짜’에 ‘신나는’에 ‘도전’이라고까지 내세우지만, 숱한 사람들이 흘린 땀방울을 ‘거짓’으로 얕보면서, ‘안 신난다’고 밟으면서, ‘도전조차 아니’라고 비아냥거리는 굴레를 스스로 꿰찼구나 싶어요. 왜 이렇게 망가졌을까요. 둘레에서 좋아해 주고 추켜 주고 받들어 주고 ‘대학강의’ 자리도 내주고 ‘신지식인’이라는 허울까지 얻으면서, 그만 넋이 나가고 말았을까요. 찰리 채플린은 바람둥이였으되 어린이와 사람살이를 짚는 길을 남겼습니다. 로완 앳킨슨은 익살과 삶을 아름답게 엮어서 남겼습니다. 《반지의 제왕》은 톨킨이라는 대단한 말글지기(언어학자)가 남긴 꽃입니다. 심형래 씨는 매우 안쓰럽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5.8.

숨은책 922


《환경사전》

 편집부 엮음

 환경운동연합

 1997.7.21.



  박근혜를 촛불로 끌어내리고서 문재인을 꼭두머리로 앉힌 뒤부터, 전남 들숲바다는 온통 햇볕판(태양광패널)으로 뒤덮였습니다. 온나라 들숲바다에 얼마나 돈을 퍼부어서 햇볕판을 박았는지 알 길이 없으나, 적어도 ‘이명박 4대강 20곱절’은 넘는 줄 압니다. 몇 해 사이에 전남에 박힌 햇볕판은 ‘43.4%’입니다. 그런데 전남에서는 빛(전기)을 쓸 일이 아주 적습니다. 때려박은 햇볕판을 거의 못 돌리던 터에, 2024년부터 삽질을 벌여, “전남 다도해 국립공원부터 충남 태안 국립공원을 지나서 인천 앞바다를 거쳐 서울로 ‘해저 초고압 직류송전 고속도로’를 8조 원”에 이르는 돈으로 파묻습니다. 벌써 삽을 뗐습니다. ‘4대강 둑’은 헐어야 한다면서, 바다밑으로 8조 원을 들여서 ‘송전 고속도로’는 깔아도 되는지 아리송합니다. 《환경사전》은 ‘환경운동연합’에서 엮습니다. 큰일터 밑돈을 받아서 냈다고 자랑스레 밝힙니다. ‘숲(환경)’하고 ‘관광산업·제철소·제지업·제약업’이 어울리는지 아리송합니다. 무엇보다 《환경사전》은 ‘일본 환경용어’로 가득해요. 우리말로 들숲바다를 헤아리는 낱말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시골 아닌 서울에서 ‘교수님’으로 계시느라, 시골을 등지고 푸른숲을 잊은 듯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5.8.

숨은책 923


《만화 힐러리 이야기》

 스튜디오 청비 엮음

 다산어린이

 2009.9.15.



  곰곰이 보면, 우리나라이든 이웃나라이든 ‘이쪽’에 서야 옳고 바르고 참하고 아름답다고 여기는 듯합니다. ‘저쪽’에 서면 나쁘고 틀리고 거짓이고 사납다고 여기는구나 싶습니다. 이를테면 미국 트럼프를 놓고서 ‘저쪽(공화당)’에 몸을 두었기에 밉놈이나 사납놈으로 여기는데, 트럼프는 나랏일에 발을 담그기 앞서 장사로 돈을 벌 적에 ‘이쪽저쪽(민주당·공화당)’에 똑같이 이바지(후원금)를 어마어마하게 했고, 오래도록 ‘이쪽사람(민주당 지지자)’이었습니다. ‘이쪽’에서 우두머리(대통령)가 되고 싶었다지만, ‘이쪽 고름(민주당 부정부패)’이 뜻밖에 매우 깊어서 ‘저쪽’에서 나가기로 했다지요. 다만 ‘저쪽 고름’도 만만하지 않은 줄 알았다는데, 그래도 저쪽 고름은 ‘고쳐나갈 빛’이 보였다고 합니다. 《만화 힐러리 이야기》는 미국 힐러리를 한껏 추켜세우는 줄거리뿐입니다. 2009년이면 추켜세우는 줄거리만 넘실거릴는지 모르되, 이런 책은 섣불리 선보이지 않을 줄 알아야 어른답다고 봅니다. 어린이한테는 “이름나고 뛰어난 누구”를 보여줄 노릇이 아닌, “늘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이웃”이 누구인지 헤아려서 찬찬히 들려줄 노릇이에요. 힘·돈·이름을 거머쥔 무리가 아니라, 사랑·숲·사람을 품는 길을 밝혀야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7.

오늘말. 함께살기


누구나 몸과 숲이 하나입니다. 서울에 살기에 한사람숲하고 멀지 않습니다. 어느 곳에서 살든 한꽃같은 삶이요, 모두한빛입니다. 자꾸 앓거나 아프다면 둘레를 볼 노릇입니다. 너나하나인 나란빛을 헤아린다면, 한몸짓으로 나아갈 한살림을 알아차려요. 우리 살림집에 풀도 나무도 없다면 쉽게 앓습니다. 마을에 숲이 없어도 늘 아픕니다. 새가 들려주는 노래를 못 듣는다면, 풀벌레하고 동무하지 않는다면, 별빛바라기를 잊는다면, 함께살기라는 길을 새카맣게 잃어버린 채 모조리 뒹굴어요. 들숲바다에는 굳이 돌봄터를 세울 일이 없습니다. 들과 숲과 바다가 돌보거든요. 풀내음으로 오롯이 씻습니다. 나무꽃으로 옹글게 살립니다. 이 별은 하나로 온지붕입니다. 죽이 맞는 몇몇하고만 어울릴 하루가 아닙니다. 모든 숨붙이가 한동아리입니다. 다같이 바람을 먹고, 다함께 햇볕을 머금어요. 뜻이 안 맞는 사이라 하더라도 푸른별이라는 한울타리로 살아가고, 늘 하나되는 사이일 적에도 파란별이라는 함께사랑으로 나아갑니다. 서울하고 시골이 한지붕인 줄 알아본다면, 모든 나라가 한집살림인 줄 알아차린다면, 어떻게 한꽃을 이루어 담을 허물는지 깨닫겠지요.


한몸·한몸짓·한몸꽃·한짓·한마음·한벗·한동무·한뜻·함뜻·한사람숲·한몸마음·한마음몸·하나·하나꽃·하나되다·하나로·한넋·한얼·한삶·한살림·함살림·한꽃·한꽃같다·한덩이·한빛·한빛살·한사랑·한꿈·한집·한집안·한집살림·한지붕·한꽃집·한동아리·한울·한울타리·한목소리·함께·함께가다·함께걷다·함께걸음·함께하다·함께살기·함께살림·함께사랑·같이·같이가다·같이걷다·같이하다·너나없다·너나하나·너나사랑·너나우리·나너없다·나너하나·나너사랑·나너우리·나우누리·나란하다·나란빛·나란꽃·나란살림·다같이·다함께·담허물기·뜻같다·뜻맞다·마음맞다·모두·모조리·몽땅·송두리째·죄·모두하나·모두한빛·모두한꽃·모두한길·몸꽃·몸숲하나·몸흙하나·손맞추다·손발이 맞다·발맞추다·죽맞이·찰떡같다·버무리다·서로얽다·서로이웃·섞다·쿵짝·오롯이·옹글다·옹골지다·옹골차다·온집·온집안·온지붕·집님·집벗·온하나·온한빛·온한꽃·온한길·우리·우리네·우리답다·저희 ← 일심, 일심동체, 수어지교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7.

오늘말. 삶쓰기


오늘을 살아낸 마음을 적습니다. 어제를 어떻게 보냈는지 씁니다. 다가올 날을 그리면서 꿈을 새깁니다. 무엇을 할는지 생각해서 옮기고, 동무한테 글을 한 자락 써서 띄웁니다. 서로 뜻을 밝히니 이야기가 흐릅니다. 낡은 담이라면 기꺼이 깹니다. 고약한 굴레도 씩씩하게 넘고, 푸르게 우거질 나무를 한 그루씩 심어서 보금자리를 세워요. 두런두런 나누는 말은 대단해야 하지 않아요. 이 삶을 쓰는 글이고, 이 살림을 노래하는 가락입니다. 뭔가 엄청난 일을 겪어야 삶을 적어서 남길 만하지 않습니다. 아니, 나비 한 마리를 만난 하루라면 놀랍고, 벌 한 마리하고 속삭인 오늘이라면 아마어마하고, 빗방울이 들려주는 수다를 알아차리면 아름답습니다. 비는 모질게 내리지 않습니다. 빗물은 온누리를 씻는 몫이에요. 펑펑 쏟아지는 비는 잔뜩 씻으면서 하늘을 몹시 파랗게 물들이는 빛방울이지 싶습니다. 구름은 빛나는 비내음을 싣고서 가만히 있습니다. 해는 구름 곁에서 고개를 내밀면서 웃음짓습니다. 새삼스레 찾아드는 아침을 맞이합니다. 별이 뜨는 밤이면 느긋하게 쉬면서 개구리 울음가락을 누리는 여름이 코앞입니다.


적다·쓰다·옮기다·하다·남기다·새기다·아로새기다·글·글자취·그리다·밝히다·들빛글·씨앗글·밑글·풀빛글·풋글·값·조각·찌·길·길꽃·길눈·자리·자국·자취·새길·옛길·예전·깨다·깨뜨리다·넘다·세우다·올리다·오르다·올라가다·넣다·놓다·담다·싣다·앉히다·뜨다·박다·굽다·얹다·있다·보이다·보여주다·달다·달리다·담·담벼락·고이다·삶글·삶얘기·삶쓰기·삶자국·삶자취·삶적이·대단하다·엄청나다·어마어마하다·놀랍다·크다·퍼붓다·무시무시하다·마구마구·끔찍하다·모질다·매우·몹시·무척·아주·펑펑·잔뜩 ← 기록(記錄), 기록적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