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픈 몸 2022.3.23.물.



“어린이 마음이어야 하늘나라에 간다”는 말은 “누구나 하늘나라로 간다”는 뜻이야. 모든 사람은 ‘아기’로 태어나서 ‘아이’로 자랐거든. 스스로 아이인 줄 느끼는 그때에 하늘나라로 가지. 스스로 아이인 줄 느끼지 않으면 ‘몸은 아이’여도 하늘나라로 가지 않아. ‘나이 어린’ 사람이 가는 하늘나라가 아니야. ‘마음 여린’ 사람이 하늘나라에 간단다. 마음이 여리니 이웃을 부드러이 바라봐. 마음이 여리니 동무를 상냥하게 불러. 마음이 여리니 풀잎이 안 다치도록 가볍게 걷고, 마음이 여리니 바람을 가만히 마시며 조용히 숨을 고른단다. 마음이 여리지 않기에 거칠게 말하지. 마음이 여리지 않으니 둘레를 품지 않더라. 마음이 여릴 적에 어린이뿐 아니라 힘없는 어른을 고이 보듬는 손길을 뻗어. 네 몸이 여리다면 너는 너부터 고이 품고서 둘레를 고이 품는 숨빛을 바라고 바라보며 나아간다는 뜻이야. 네 마음이 여리다면 너는 너부터 고이 살피면서 둘레를 고이 헤아리는 눈빛을 편다는 뜻이지. 힘이 세거나 몸이 튼튼하거나 돈이 많을 적에 스스로 사랑하면서 둘레를 사랑할까? 마음이 굳세거나 단단하기에 스스로 생각하면서 둘레를 생각할까? 튼튼한 사람은 딱딱하지 않아. 참다이 센 사람은 깃철처럼 가볍고 부드러워. 얼핏 단단해 보이는 사람일수록 몸이 굳거나 뻗뻗해서 새길을 안 받아들이더라. 언뜻 굳세어 보이는 사람이 오히려 마음을 꾹 닫아걸고서 새빛을 안 보더라. 여리고, 쉽게 아프고, 자주 앓는 너는, 누구보다 너를 스스로 차분히 깊고 넓게 바라보게 마련이야. 겉몸이 서둘러 튼튼하기를 바랄 적에는 아직 마음이 여물지 않은 터라, 풋내조차 없는 안 익은 채 굳어버릴 수 있어. 봄볕에 여름볕에 가을볕까지 고루 품어야 비로소 영글지. 여린이가 여무는 길을 가기에 ‘야무지다’고 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기운 2022.3.24.나무.



해보면 돼. 해보니까 돼. 하려고 들면 움찔거리거나 힘들게 마련이고, 해야 한다면 억지로 힘쓰느라 지치기 쉽고 고단하지. “하면 되기”는 한데, “그냥 한다”기보다 “그리는 대로 한다”고 해야겠지. 그리고 늘 마음이 가벼워서 놀이를 하는 몸짓이어야 이루니, “해보면 돼”라 해야 어울려. 자, 밥을 해볼까. 말을 해볼까. 걸어 볼까. 누워 볼까. 먹어 볼까. 생각해 볼까. 가만히 해보렴. 첫째가 될 까닭이 없고, 누구보다 앞서야 하지 않아. 너는 네 목소리를 얹어서 노래하기에 빛나. 너는 네 손가락을 튕겨 가락틀(악기)에 얹기에 눈부시지. 네가 남을 흉내내면 풀벌레나 새는 널 안 쳐다봐. 네가 너로서 너를 드러내면 풀벌레랑 새가 널 쳐다보지. 누가 너를 왜 볼까? 너를 보는 누구는 누구일까? 어쩌면 너한테서 기운을 얻고 싶어 너를 볼는지 몰라. 그 누구는 그이 기운을 너한테 주고플 수 있어. 너는 어떻게 하고 싶니? 네 기운을 ‘어느 누구’한테 주겠니? ‘어느 누구’ 기운을 너한테 받아들이겠니? 네 기운을 어느 누구한테 주더라도 네 기운은 안 사라져. 어느 누구 기운을 네가 받더라도 네 기운이 물들지 않아. 너를 살리는 네 기운은 늘 너한테서 흘러나오거든. 자, 나무 곁에 서 보렴. 나무한테서 흘러나오는 기운을 느끼지? 풀꽃 곁에 앉아 보렴. 풀꽃한테서 흘러나오는 기운을 느끼니? 네가 해를 쬔다면 해한테서 피어나는 기운을 느끼면서, 이 기운을 너 스스로 지어낸단다. 나무하고 풀꽃한테서도 같아. 틀(기계)이나 풀죽임물(농약)이나 비닐한테서도 같지. 네가 반기면 너 스스로 반기는 기운을 짓고, 네가 꺼리면 너 스스로 꺼리는 기운을 지어. 네가 누리고 네가 지으며 너한테서 흐르는 기운은 남지 짓지 않아. 모두 그때그때 너 스스로 짓지. 자, 너는 어디에 있으면서 마음으로 무엇을 보고 느끼니? 네가 파란하늘을 가르는 제비를 그리고 느끼고 보면, 넌 잿더미 한복판에서도 ‘파란하늘 제비’로 있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듣다 2022.3.25.쇠.



듣고 싶은 마음은 모든 소리를 다 다르게 갈라. 소리를 하나씩 갈라 보면서 이 다른 소리마다 흐르는 이야기를 느끼고 읽지. 듣기 싫은 마음은 아무 소리도 맞아들일 뜻이 없으니, 참으로 다른 소리여도 그저 시끄럽다고 여겨서 똑같이 쳐내고 싶지. 듣기에 조금씩 움직여. 빗방울이 차근차근 들으면서 땅이 촉촉히 젖고, 풀꽃나무가 천천히 씻고 하늘이 찬찬히 열려. 귀로 차근차근 들으면서 마음이 천천히 자라고 생각이 찬찬히 트여. 들을 줄 아니, 어느새 읽어서 새기는 눈을 틔우지. 눈을 하나하나 틔우니 조금조금 알아가면서 머리에 이야기가 차올라. 이 이야기란, 네가 스스로 받아들여서 키우는 빛알갱이야. 처음에는 그저 작고 몇 안 되는 조각이었다면, 어느새 부피도 크기도 늘면서 반짝반짝 네 생각으로 피어나지. 무엇을 어디에서 듣든 모두 너를 너답게 너로서 이루는 길로 나아간단다. 귀를 막고 싶을 적에도, 두 팔을 뻗어 안고 싶을 적에도, 너는 늘 네 이야기를 가꾼단다. 겨울이 저무는 소리를 들었니? 봄이 오는 소리나 꽃이 피는 소리를 들었니? 새가 날아앉아 노래하는 소리를 듣니? 개구리가 깨어나서 기뻐하는 소리를 듣니? 개미가 기는 소리도, 구름이 피어나서 흐르는 소리도 들을 수 있어. 바위가 속삭이는 소리도, 사마귀가 속살이는 소리도 얼마든지 듣는단다. 다만, 네가 스스로 ‘알아가면서 이야기를 가꾸는 오늘’을 짓겠다고 생각하면서 마음을 열려고 눈을 뜨기에 이 여러 가지 소리를 듣지. 별빛이 쏟아지는 소리를 듣는다면, 네 몸을 이룬 별알갱이가 늘 반짝이는 소리에 새록새록 사랑이 깨어나겠지. 몸을 곧게 펴렴. 그러고서 이 몸을 입은 넋을 깨워서 가만히 일어나렴. 숨빛을 터뜨리면 귀가 트여. 숨빛을 품으면 사근사근 찾아드는 소리에 네 마음씨를 슬쩍 묻고서 네 왼날개에는 꿈을 달고 네 오른날개에는 말을 얹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왜 봐? : 나는 눈이 안 나빴지만 아주 좋지는 않았다. 열세 살까지 왼오른 다 1.5까지 받되, 2.0이나 3.0으로 넘어가지는 않았다. 어린배움터에서 몸을 살핀 어느 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2.0을 넘는 눈’인 동무한테 물었다. “야, 넌 어떻게 2.0을 넘어설 수 있어?” “어떻게 하긴, 그냥 보면 보여.” “뭐? 말이 되니? 안 보이니까 묻잖아.” “야, 용쓴다고 해서 보이겠니? 보려고 마음을 먹고서 가만히 보면 다 보여.” “아, 넌 보인다고 해서 아무렇게나 말하는구나.” 동무는 빙그레 웃기만 할 뿐 더 대꾸하지 않았다. 열네 살로 접어드니, 세 해 동안 새벽 여섯 시부터 밤 열 시까지 잿더미(시멘트 교실)에 갇혀서 하얀불(형광등)에 시달렸다. 어린배움터에서는 불을 안 켰다. 겨울에는 꽁꽁 얼지만, 그래도 미닫이를 자주 열었다. 여름에는 모든 미닫이를 열고서 햇빛으로 지냈다. 햇빛 아닌 하얀불로 꽁꽁 가둔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열네 살에 오른눈이 0.1로 곤두박을 쳤다. 걷다가 비틀거리거나 부딪혔고, 왼눈은 1.5 그대로인데 오른눈만 온통 뿌옇게 보여서, 사람도 가리지 못 하고, 까만판(칠판)에 적는 글씨는 물에 번진 물감 같았다. 열일곱 살부터는 잿더미(시멘트 교실)에서 새벽 다섯 시 반부터 밤 열한 시까지 있었다. 이때에 용케 왼눈은 1.5 그대로이면서 오른눈은 0에 이르렀다. 그리고 스무 살에 ‘군입대 신체검사’를 받는 자리에서 ‘1.0 + 0.1’이라는 엉터리를 받아서 싸움터에 끌려갔다. 군의관은 내 왼눈을 1.5 아닌 1.0으로 떨어뜨리려고 40분쯤 괴롭혔다. 오른눈이 0이고 왼눈이 1.5인 몸은 총을 못 쏜다. 우리나라 총은 다 오른눈잡이가 봐야 하는데, 난 총으로 겨누지 못 하기 때문이다. 열 살 무렵 동무가 들려준 말은 스무 살을 지나고 서른 살을 거치고 마흔 살을 가르고 쉰 살에 이르는 사이에 천천히 깨달았다. 잘 보려고 억지를 쓰면 오히려 안 보인다. 잘 하려고 어거지로 악을 쓰면 도리어 그르친다. 그러면 어떻게 하나? 그냥 하면 되고, 그냥 보면 되고, 그냥 쓰면 되고, 그냥 사랑하면 된다. 언제나 오로지 스스로 마음 고요히 달래면서 둘레를 환하게 품는 사랑이라면, 왼오른눈이 5.0이건 0이건 훤하게 보게 마련이다. 마음을 달래지 않고, 마음을 틔우지 않고, 마음에 사랑씨앗을 심지 않은 채 억지나 용이나 악만 쓴다면, 아무리 눈이 좋더라도 속빛과 속내와 사랑을 못 본다. 하얀불(형광등)을 오래 켜는 곳에 있으면 누구나 눈을 버린다. 햇빛을 받는 사람은 날마다 눈이 새롭게 살아난다. 수수께끼 아닌 수수께끼이다. 뭘 보는가? 왜 보는가? 생각해야 한다. 집과 일터와 둘레가 온통 하얀불이라면 모조리 깨뜨려야 하지 않을까? 정 밤에 불을 켜야겠다면 햇볕불(백열전구)을 켤 노릇이다. 병원에 가면 병을 얻듯, 형광등을 켜면 눈을 갉는다. 우리나라는 학교에 가면 외려 바보가 되고, 책을 읽으면 되레 외곬눈으로 치닫더라. 뭘 읽는가? 왜 읽는가? 스스로 사랑을 보려 할 적에만 눈을 뜰 수 있다. 2024.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가싯길 : 왜 어렵고 힘든 길을 가느냐고 묻는 분이 많다. 그러나 어렵거나 힘든 길을 굳이 골라서 가지 않는다. 가려는 길이니 그곳으로 갈 뿐이고, 가싯길이건 자갈길이건 헤치면 된다. 한참 돌아야 하니까 안 갈 까닭이 없다. 고개를 오르고 바다를 갈라야 하니 미룰 까닭이 없다. 이틀을 걸어야 하기에 안 가지 않는다. 열 해쯤 뚜벅뚜벅 걸어야 하기에 안 갈 일이 없다. 스스로 모든 하루를 새롭게 배우는구나 하고 여기니까 걸어가는 길이다. 배우지 않는다면 어느 지름길로도 안 간다. 난 빨리 갈 마음이 없다. 난 앞서갈 마음이나 뒤돌아갈 마음도 없다. 그저 배움길을 살림길로 삼아서 새길을 낸다는 마음으로 숲길을 거닐면서 사랑길을 찾는 마음길을 벼리고 말길을 가다듬고 글길을 여미면서 사람길을 누릴 뿐. 1999.2.8.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