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와 글쓰기


 다리가 아파 걷기 힘들거나 다리가 없어 걷지 못하는 사람한테 계단을 오르내리라 할 수 없습니다. 다리가 아프거나 다리가 없는 사람이 걱정없이 다니도록 마음을 써야 합니다. 아기 밴 어머니를 세워 놓고 버스나 전철을 달릴 수 없습니다. 어린이를 어버이 무릎에 앉히며 어른들이 자리 하나 차지할 수 없습니다. 글을 잘 모르거나 적게 배운 사람이 알아듣기 어려운 서류를 만들어서 적으라 할 수 없습니다. 글을 잘 모르는 사람 또한 쉽게 알아들을 뿐 아니라, 적게 배운 사람 누구나 어렵지 않게 적을 수 있도록 서류 틀을 마련해야 합니다.

 하느님 말씀은 신부님이나 수녀님이나 목사님만 알아들을 말씀이 아닙니다. 부처님 말씀은 스님만 알아들으면 될 말씀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 누구나 알아들으면서 즐거이 받아들일 말씀입니다. 어린이부터 늙은이까지, 학교 문턱을 못 밟은 사람부터 대학원을 나온 사람까지 두루 고르게 새기면서 곱씹을 말씀입니다.

 문학하는 사람이나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만 읽으면 될 시나 소설이나 수필이 아닙니다. 사진하는 사람이나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만 알아보면 될 사진이 아닙니다. 그림을 그리거나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만 즐기면 넉넉할 그림이 아닙니다.

 글은, 쓰는 사람 몫이 아니라 읽는 사람 몫입니다. 읽는 사람을 생각하며 써야 할 글입니다. 말은, 하는 사람 몫이 아니라 듣는 사람 몫입니다. 초등학생을 앞에 앉히고 대학교재를 줄줄 읽을 수 없습니다. 초등학생을 앞에 앉혔으면 초등학생하고 나눌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할머니하고 마주앉았으면 할머니하고 나눌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대학교수 논문에나 적바림하는 글월을 읊을 수 없어요.

 글이란 참말 읽는 사람 눈높이와 삶결을 헤아리면서 써야 합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글쟁이 생각을 버리면서 글을 써야 합니다. 다만, 글쟁이 생각은 버리되 글쟁이 마음을 담아서 글을 씁니다. 글쟁이 마음을 담은 글쟁이 삶을 글로 씁니다.

 사진이란 참으로 보는 사람 눈썰미와 삶무늬를 살피면서 찍어야 합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사진쟁이 생각을 내려놓으면서 사진을 찍어야 합니다. 다만, 사진쟁이 생각은 내려놓되 사진쟁이 사랑을 실어서 사진을 찍습니다. 사진쟁이 사랑을 실은 사진쟁이 삶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우리 삶터 모든 시설과 기관과 학교는 장애인한테 맞추어야 합니다. 우리 터전 어느 곳에서 오가거나 주고받는 말마디이든 무지렁이라 하는 ‘적게 배우거나 못 배운 사람’ 배움이나 앎에 맞추어야 합니다.

 부자한테 맞추는 복지정책이나 경제정책이어서는 안 됩니다. 운동선수한테 맞추는 체육정책이나 문화정책이어서는 안 됩니다. 예술가나 대학교수한테 맞추는 예술정책이나 사회정책이어서는 안 됩니다. 교사한테 맞추는 교육정책이 아니라 학생한테 맞추는 교육정책이어야 합니다. 서민을 헤아리는 정책이 없다고 정부나 공무원을 나무라고자 한다면, 내가 쓰는 글과 내가 하는 말과 내가 찍는 사진은 얼마나 내 둘레 사랑스러운 이웃이랑 동무랑 살붙이한테 맞추었는가를 돌아보며 느껴야 합니다. (4344.1.13.나무.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강여호 2011-01-13 11:33   좋아요 0 | URL
마지막 말이 인상적이네요

숲노래 2011-01-13 23:37   좋아요 0 | URL
글 쓰는 사람들이 눈높이를 수수한 여느 사람들한테 맞출 수 있다면... 아니, 높은 자리를 바라보는 삶이 아니라, 내 둘레 사람을 사랑하는 수수한 살림살이가 되면 좋겠어요..
 



 문학과 글쓰기


 아름다운 문학이면 될 뿐, 무슨무슨 문학상이란 더없이 부질없습니다. 그저 문학이면 될 뿐, 누구 앞에서 아름답게 보여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나 스스로 즐겁게 일구어 낸 이야기이면 될 뿐, 따로 문학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하루하루 살아가고 부대끼는 그대로 적바림하여 나누는 글 한 조각입니다. (4343.3.1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밥과 글쓰기


 스스로 깊고 너른 목숨임을 느끼고 있을 때에는, 스스로 넓고 깊은 목숨임을 살며시 보여주고 나눌 글을 쓸 테지요. 스스로 숱한 지식에 둘러싸여 있으니까, 스스로 갖은 지식을 늘어놓으면서 둘레 사람들이 지식더미에 파묻히도록 내몰 글을 쓸 테고요. 나는 아직 깊거나 너른 글을 쓰지 못합니다. 그렇지만 자질구레한 지식조각이 복닥이는 글만큼은 몸서리치도록 싫습니다. 내 삶과 내 넋과 내 글을 지식수렁에 빠뜨리고 싶지 않습니다. 고운 사랑에 기쁘고, 따순 손길에 즐거우며, 넉넉한 품에 반가울 삶과 넋과 글로 흐르도록 가다듬고 싶습니다. 뭇사람이 밥과 같은 책이 아닌 돈과 같은 책에 휩쓸린다 한들, 제가 써낼 책이 돈을 닮게끔 내팽개칠 수 없을 뿐더러, 씨눈이 잘린 밥이라든지 농약과 비료와 항생제에 절어 있는데다가 전기밥솥으로 달군 쓰레기밥을 좇을 수 없습니다. 고맙게 눈물 흘리고 살가이 웃음지을 밥 한 그릇으로 거듭날 글 한 줄을 좋아합니다. (4343.5.20.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주먹과 글쓰기


 서울 볼일 마치고 일산집 들른 다음 시골집으로 돌아가려고 전철로 강변역으로 오다. 버스는 늦는다. 떠날 때부터 6분이나 늦는 버스를 겨울바람 맞으며 기다리는데, 지나가는 아줌마 하나가 아이를 퍽 치고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저리 숙숙 걸어간다. 아이는 바닥에 자빠져서 운다. 뒤에서 할머니 한 분이 “쯔쯔, 저런 나쁜 사람이 다 있나. 울지 마렴.” 하고 말한다. 아빠는 우는 아이를 안고 달랜다. 아이는 고개를 푹 파묻으며 울먹인다. 그런데 이번에는 뒤에서 또 어떤 아줌마가 아이를 툭 치고 지나간다. 아, 어떻게 사람들이 이 모양인가. 이들을 사람이라 말할 만한가. 당신들도 아이를 낳아 기른 어머니들 아닌가 하고 꽥 소리지르려다가 꾹 참는다. 탈만 사람 가죽일 뿐이니 소리를 지른들 무엇하랴. 속은 시커먼 쓰레기가 아니고 무엇인가. 아이를 섬기지 않고, 사람을 사랑하지 못한다면 주먹다짐·발길질·총칼·대포·전투기·탱크·미사일…… 따위가 춤추는 싸움판 나라로 흐른다. 나라가 싸움판 나라로 흐르기 앞서 우리 삶과 우리 마을부터 싸움판이다. 아이를 사랑하지 않으니 군대를 만들고, 사람을 아끼지 않으니 경제성장에 목을 맨다. 글을 쓰는 사람은 아이를 사랑하는 넋과 사람을 아끼는 얼을 밑바탕으로 다스리는 살림꾼이어야 한다. (4344.1.10.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낮잠과 글쓰기


 아이가 드디어 새근새근 잠들어 주면서 아빠는 글조각을 끄적거릴 수 있습니다. 졸음이 쏟아지는 아이는 졸음이 쏟아지더라도 더 놀고 싶어 이리 칭얼 저리 칭얼 하며 뭔가를 엎어뜨리거나 쓰러뜨리며 제풀에 제가 짜증을 부리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아이가 어른하고 똑같이 느끼거나 알리라 여기며 “졸리면 잠 좀 자라고!” 하고 말할 수 없는 노릇인데, 이런 말이 자꾸 튀어나옵니다. 그렇지만 아이는 아이인 까닭에 쏟아지는 졸음을 어찌저찌 견디며 더 논다 할지라도 그예 까무룩 잠이 듭니다. 까무룩 잠이 든 아이 곁에서 애 아빠 되는 사람도 함께 곯아떨어져 있다가 무거운 몸을 벌떡 일으킵니다. 이때 아니면 언제 글조각을 끄적거리느냐고 생각하며 억지로 눈을 비비고 찬물에 멱을 감고 빨래 한 점을 하고 나서 셈틀 앞에 앉습니다. (4343.7.6.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