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노을빛 2024.4.23.불.



네가 지켜보든 안 보든 늘 해가 뜨고 져. 네가 느끼든 안 느끼든 아침저녁으로 노을빛이 퍼져. 네가 어느 곳에 있어도 이 별은 늘 빙그르르 돌아. 네가 무엇을 하든 이 별 둘레와 먼 곳에서 숱한 별이 반짝여. 네가 곁에 가든 등을 지든, 새는 언제 어디에서나 노래하고 날아. 네가 알아채든 아니든, 지렁이는 흙을 새로 일구지. 아침노을을 느끼거나 보는 하루이니? 저녁노을을 만나거나 아는 오늘이니? 밤에는 고요하게 덮는 ‘잠빛’이고, 낮에는 환하게 퍼지는 ‘일빛’이고, 아침저녁으로는 노래처럼 번지는 ‘노을빛’이야.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더라도 아침노을과 저녁노을이 있어. 네가 걷거나 뛰거나 앉거나 눕거나, 네 몸에는 노상 피가 흘러. 너는 말을 할 적에 피돌이를 느끼니? 숨을 쉬고 뱉는 사이에 온몸이 어떻게 거듭나는지 알아보니? 네가 스스로 숨소리를 느끼는 귀를 틔운다면, 나뭇잎이 들려주는 숨소리를 들을 수 있어. 네가 온몸에 바람이 드나들면서 기쁘게 흐르는 숨결을 느끼는 빛을 틔우면, 넌 돌과 모래가 어떻게 숨쉬는지 읽을 수 있어. 그러나 하나는 늘 새겨야겠지. 여태 몰랐거나 안 읽었기에 대수롭지 않아. 틔워서 느끼고 읽는 오늘부터 바꿀 수 있어. 바로 여기에서 하면 돼. 숨을 내쉬면서, 이 숨이 어느 하늘로 피어올라서 노을하고 섞이는지 지켜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비구름 2024.4.24.물.



하늘을 덮으면서 흐르는 구름은 빗물을 뿌리기도 하지만, 햇볕에 녹아 아지랑이로 스며들기도 해. 바람은 빗방울도 아지랑이도 실어나르지. 물은 가만히 바람을 타고서 어느 곳으로든 찾아가. 구름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바람에는 풀꽃나무·짐승·새·풀벌레·사람이 두루 조금씩 내놓는 물기운을 맞아들여서 퍼뜨려. 그래서 모래만 있는 데에서는 메마르다고 느낄 테고, 나무와 풀이 우거진 데에서는 비구름이 없더라도 향긋하면서 시원하단다. 서울(도시)처럼 북적거리고 쇳덩이에 높은집이 빽빽한 데라면 숨이 막히겠지. 그곳에는 푸른숨도 파란바람도 비구름도 스미거나 퍼지기 어려울 뿐 아니라, “물기운을 조금씩 내놓으면서 나누려고 하는 숨붙이”가 턱없이 적거든. 보렴. ‘서울사람(도시인)’은 제 몸에 있는 물기운을 기껍고 즐겁게 베푸는 몸짓일까? 몸을 친친 감거나 덕지덕지 발라서 막잖니? 게다가 해바람이 흐르는 곳에 나오는 사람이 몹시 적어. 비가 올 적에 빗물을 품을 흙과 풀과 나무와 새와 풀벌레가 없으니까 매캐하지. 빗물을 그리고 사랑하면서, 제 몸에 흐르는 숨기운과 물기운을 늘 새롭게 내쉬는(내놓는) 터전에서라야, 누구나 느긋하고 튼튼하단다. 돌봄터(병원)가 왜 사람을 오히려 괴롭힐까? 왜 돌봄터에서 더 앓거나 아플까? “풀빛이 없는 화학약품·백신” 탓에 사람들 스스로 몸을 망가뜨리기도 하지만, ‘해·바람·비·별·흙·숲’이야말로 사랑으로 가득한 ‘돌봄물(약·치료약)’인데, 어느 돌봄터에서 해바람비와 별흙숲과 바다를 맞이할 수 있니? 없더구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문학이라는 2024.4.25.나무.



글을 쓰면서 ‘글’이라고 안 하는 까닭을 헤아릴 수 있을까. 일을 하면서 왜 ‘일’이라 않는지 알아차릴 수 있을까. 종이를 접으니 ‘종이접기’야. 땅을 콕콕 호면서 조금씩 홈을 내듯 파는 연장인 ‘호미’야. 말을 말답게 쓸 줄 안다면, 마음을 오직 마음으로 돌볼 테지. 말부터 꾸미려 한다면, 허물을 씌우고 꺼풀을 덮으면서 꽁꽁 싸매다가 감출 텐데, 이러면 해와 바람이 스밀 틈이 없어. 씌우지도 덮지도 싸매지도 않으니, 감출 일이 없으면서, 갖은 일을 다 치르거나 만난단다. 숱한 일을 겪다 보면, 신나거나 좋은 일도 있겠지만, 서운하거나 싫은 일도 있어. 그런데 좋든 싫든 온갖 일을 맞이하고 보면, 몸과 마음이 천천히 자라. 너는 몸뿐 아니라 마음이 자라고 싶기에, 이곳에서 살아간단다. 때로는 짜증스럽거나 얼토당토않은 일이 있고, 때로는 반갑거나 활짝 웃을 일이 있어. 모든 일은 물이 흐르듯이 지나가고 다가오며 오늘을 이뤄. ‘글’이나 ‘일’이나 ‘종이접기’나 ‘호미’라고 할 적에는, 이 이름하고 맞물리는 일을 그대로 보고 겪고 느낀단다. 그런데, ‘글’이 아닌 ‘문학’이라 하거나, ‘일’이 아닌 ‘작업’이라 하거나, ‘종이접기’가 아닌 ‘예술’이라 하거나, ‘호미’가 아닌 ‘농기구’라 하면, 꺼풀이 생기지. 이 꺼풀은 곧 껍데기를 이루고, 겉치레로 나아가. 겉치레일 적에는 참모습을 못 보거나 등진단다. 말에 꺼풀을 씌워서 껍데기가 늘면, 그야말로 해바람비를 등지거나 잊으면서 ‘노래’도 잃어버려. 고작 말 한 마디이지 않아. 모든 일은 말 한 마디부터야. 마음에 놓는 말 한 마디가 두 마디로 열 마디로 자라. 삶이라는 길을 꿈빛으로 물들이고 싶으면, 말씨부터 심고서 마음을 밭으로 가꾸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쇼핑 2024.4.18.나무.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살아갈 아이라면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울까? 서울곁에서 태어나 서울곁에서 지내는 아이라면 늘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울까? 서울을 닮아가는 고장에서 나고자라는 아이는 어떤 하루를 맞이하면서 배울까? 이제는 태어나서 죽는 날까지 흙을 만질 일이 없는 사람이 있어. 풀벌레나 개구리를 볼 일이 없는 사람이 있어. 새가 들려주는 노래를 듣지 못 하거나, 별이 쏟아지는 밤은 어림조차 못 하는 사람이 있구나. 꼭지를 돌리면 나오는 물이 익숙하거나, 플라스틱에 담은 물만 마시는 사람이 있어. “돈을 벌고 쓰는 삶”은 있으나 “하루를 그려서 짓는 삶”은 보거나 배우거나 겪지 않는 사람이 늘어나네. 가지를 치지 않은 나무를 만난 일조차 없는 사람이라면, ‘사람’이란 무엇인지 다시 헤아릴 노릇이야. 살림길에 쓰려고 이모저모 살 수 있다지만, “사서 쓰고 버리는 하루”만 흐른다면, 어느 대목에서 ‘사람’일 수 있을까? 무엇을 팔아야만 먹고살 수 있거나, 무엇을 사야만 먹고살 수 있다면, “사고파는 삶” 어느 곳에 사람다운 빛이 흐르겠니? “아이하고 함께 살림을 짓는 사랑을 그려서 하루를 노래하고 기쁘게 맞이하는 삶”이 없거나 사라진 곳에서, 사람이라는 ‘탈’을 쓴 채 허우적거리는 듯하구나. ‘전기’가 툭 나가면, 돈도 쇼핑도 도시도 자동차도 아파트도 정치도 다 멈출 텐데, 넌 무엇을 배우고 물려주니? 삶이 참말로 있니? “시늉하는 삶”만 있지는 않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삐뚤거리는 2024.4.19.쇠.



마음을 기울이는 사람은 누가 옆에서 치거나 떠들거나 뭘 해도 아예 안 느껴. “마음을 기울여서 스스로 하는 일과 놀이”에 오롯이 잠기지. 마음을 안 기울이는 사람은 누가 옆으로 스치거나 낮게 속삭여도 느낄 뿐 아니라, 아무 짓을 안 하더라도 자꾸 휘둘리고 휩쓸려. 버스를 타고 움직이는 곳에서 글씨를 쓰기에 삐뚤거리지 않아. 책상맡에서 글씨를 쓰기에 반듯하지 않아. 모든 ‘글씨’는 ‘마음씨’란다. 모든 ‘말씨’도 ‘마음씨’이지. 마음을 사납게 쓰기에 말씨가 사나워. 마음을 감추면서 꾸미니까, “꾸민 말씨”가 드러나. 덜컹거리거나 흔들거리는 곳에 있든 말든 안 대수로워. 걸으면서 쓰거나, 서서 쓰더라도, 안 힘들지. “무엇을 쓴다”는 마음이기에 쓰고, “무엇을 쓴다”는 마음이 아니기에 못 쓰거나 아무렇게나 써. 어느 살림을 빚거나 다룰 적에도 같아. 스스로 ‘어떻게·얼마나·어떤’마음이 흐르는지 지켜볼 노릇이야. 무엇보다도 “사랑으로 쓰는 글씨”인지 헤아려 보렴. “사랑으로 짓는 밥”과 “사랑 없이 뚝딱거린 밥”은 달라. “사랑으로 지은 집”과 “사랑 잊은 채 올린 집”도 달라. 전쟁무기나 총칼에는 사랑이 없어. 꽃가루와 풀벌레노래와 둥지에는 사랑이 있지. 빗줄기와 햇볕과 바람에는 사랑이 뻗어. 겉보기로만 말끔하면 ‘겉글’인 ‘겉치레’야. 팔랑거리는 나비가 어떻게 사랑인지 바라보렴. 꼬물거리는 올챙이가 어떻게 사랑인지 살펴봐. 흐르는 구름은 어떻게 사랑일까. 새로 돋는 잎은 어떻게 사랑일는지 생각하렴. 네 손짓과 발걸음이 어떤 기운과 마음에 따라서 움직이는지 하나씩 짚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