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숲집놀이터 289. 경력단절



숱한 엄마는 ‘경력단절’을 걱정한다. 애써 오래도록 배움터랑 일터를 다녔으나, 아기를 낳느라 그만 일터를 쉬면서 ‘예전 배움터에서 익힌 길’을 써먹지 못 하고 잊어버린다며 걱정을 한다. 그러나 아기를 낳아서 하루하루 무엇을 배우고 익히면서 새롭게 피어나고 거듭나고 깨어나는지 으레 놓치는 듯싶다. 아기는 엄마아빠한테 따로 나뉜 씨앗으로 흐르다가 엄마몸에서 열 달을 고이 자면서 자란다. 아기라는 몸을 입으려고 ‘두 씨앗’에서 ‘한 씨앗’으로 바뀌고, ‘한 씨앗’이던 몸을 내려놓고서 ‘아기’로 나아간다. 열 달이 지난 뒤에는 ‘아늑한 엄마몸’을 떠나서 밖으로 나온다. 갓 태어난 뒤로는 젖을 빨다가 젖떼기밥으로 건너가고, 이내 목을 가누고 뒤집고 기고 선 끝에 걸음마를 뗀다. 바야흐로 모든 나날이 ‘옛길을 끊고서 새로 나아가는 하루’이다. 온누리 어느 곳에서도 “사랑으로 아기를 품어서 돌보는 살림”을 못 가르친다. 엄마하고 아빠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받는 두 사람은 저마다 보금자리에서 “눈부시게 아름다운 사랑으로 짓는 숲빛살림”을 깨달을 수 있다. 이 살림을 깨닫고 익히려면 ‘옛길은 다 내려놓아’야 한다. 이제 ‘아줌마·아저씨’라는 이름으로 바뀐 ‘엄마·아빠’는 아주 마땅히 옛날하고 다르다. 이제 두 사람은 서로 다르게 ‘일멎이(경력단절)’에서 ‘일꾼·살림꾼’으로 피어났다. 그래서 ‘아줌마·아저씨’는 일터도 마을도 나라도 아름답게 사랑으로 가꿀 줄 아는 눈길과 손길과 발걸음으로 자라난 ‘어른’으로 선다. ‘아줌마·아저씨’는 아주 빠르게 새일과 새길을 익힐 줄 안다. ‘아줌마·아저씨’는 낯선 일도 스스럼없이 받아들이면서 웃고 노래하며 일할 줄 안다. 왜 이럴 수 있겠는가? 바로 아기를 맞이하는 ‘일멎이(경력단절)’를 열 해나 스무 해나 서른 해를 겪었거든. ‘아줌마·아저씨’는 “아기를 낳아서 돌본 눈부신 새일·새길(경력)을 갈고닦은” 터라, 오히려 누구보다도 일을 훨씬 잘 하거나 한결 알뜰살뜰 여미곤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4.3.16.

숲집놀이터 288. 버스삯



1982년에 인천에서 어린배움터에 들어가는데, 집하고 배움터 사이가 어린이한테 꽤 멀었다. 어른으로서도 짧은 길은 아니다. 더구나 집하고 배움터 사이에 빠른길(경인고속도로) 들머리에 뱃나루(무역항)가 있어 어마어마한 짐차가 늘 내달렸다. 또한 매캐하고 고약한 김(배기가스)을 내뿜는 뚝딱터가 가깝고, 이 옆으로는 색시집(옐로우하우스)이 있으며, 요 옆으로는 연탄공장하고 삼화고속 버스터가 있고, 이 곁으로는 기찻길(수인선)이 가로지르기에, 그야말로 어린이가 걸어서 오가기에는 사나웠다. 아, 군부대까지 한 곳 있었네. 어머니는 한숨을 쉬면서 “어쩜 이런 길에 아이가 다니라고 하니?” 하면서 “제발 버스 타고 다녀라.” 하면서 120(60원 + 60원)원을 꼬박꼬박 주셨다. 나는 사납길을 늘 걸었다. 어머니는 내가 사납길을 걸어다니는 줄 알면서도 여섯 해 내내 길삯을 주셨고, 난 이 길삯을 모아서 만화책과 나래꽃(우표)을 샀다. 벌써 열 해쯤 앞서부터 전남 고흥은 어린이 길삯이 50원이다. 순천은 2018년부터 100원이다. 곰곰이 보면 버스도 전철도 누구나 그냥 타라고 할 만하다. 시골 할매할배는 아흔 살이어도 길삯을 온돈으로 치르는데, ‘버스회사에 지원금을 주지 말고, 그냥 모든 버스일꾼·택시일꾼·기차일꾼을 나라일꾼(공무원)으로 삼는’ 길이 나라돈을 훨씬 아끼리라. 눈먼 보탬돈(보조금)을 챙기는 이들이 너무 많다. ‘전기차 보탬돈’을 주어야 할 까닭이 없다. 어린이와 어른을 나란히 헤아리는 나라라면, 어떤 길을 걸어야 할는지 아주 또렷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4.1.3.

숲집놀이터 287. 좋아하지 마



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지 말라고 할 까닭은 없지만, 으레 몇 가지는 들려준다. 첫째, “좋아하지 말고, 싫어하지 마.” 둘째, “사랑하면 돼.” 셋째, “오늘 하루를 꿈으로 그려서 천천히 걸어.” 넷째, “스스로 숲으로 피어나면서 노래하고 춤추자.” 다섯째, “나부터 스스로 돌아보고 바라볼 줄 알면 돼.” 어느 하나를 좋아하면, 이 하나를 뺀 다른 모두를 싫어하거나 등지기 쉽다. 좋아하는 어느 곳을 바라보는 동안, 둘레를 제대로 못 보거나 잘못 보기까지 하고, 더욱이 ‘좋아하는 것이나 곳’조차 속빛을 못 보거나 잘못 보곤 한다. 좋은말이나 좋은책은 오히려 안 좋다고 여길 만하다. 나쁜말이나 나쁜책은 곰곰이 보면 그리 나쁘지 않기 일쑤이다. 속내를 보아야 할 일이다. 겉모습을 보거나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사람은 속마음을 안 보거나 못 보거나 잘못 보거나 넘겨짚는다. 속마음을 바라보고 돌아보고 헤아리는 사람은, 어떤 겉모습이어도 스스럼없다. 말 한 마디도, 삶 한 자락도, 온나라에서 터지는 갖가지 말썽거리도, 겉이 아닌 속을 보면 누구나 스스로 깨닫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2.17.

숲집놀이터 286. 밑바닥 아기꽃



아기가 줄어들며 할매할배가 늘어난다. 사랑받으면서 신나게 뛰놀 터전하고 동떨어지니까 아기가 태어나기 어렵다. 어릴 적에 한결같이 빛나는 사랑을 듬뿍 누리면서 자라는 사람이 어른으로 선다면, 으레 사랑짝을 만나서 아기를 낳고 보금자리를 돌보겠지. 오늘날 어린이하고 푸름이를 보라. 잿더미에 사슬터 같은 배움터에 갇혀서 쳇바퀴를 돌 뿐이다. 겨우 스무 살에 이르러도 마침종이를 새로 거머쥐어야 하느라 갑갑하고, 애써 마침종이를 거머쥐어도 아늑하다고 여길 일자리를 찾느라 숨막힌다. 어느 틈에 사랑을 찾거나 만나거나 속삭일까? 더구나 어릴 적에 맨발에 맨손에 맨몸으로 나무타기를 하거나 달리기를 하면서 풀밭에서 뛰어놀지 못 한 나날이라면, 나중에 짝을 만나서 아기를 낳더라도 어떻게 같이 놀거나 보살펴야 하는 줄 까맣게 모른다. 천기저귀를 어떻게 채우거나 삶아야 하는지 본 적도 겪은 적도 배운 적도 없다면, 열 살부터 스무 살까지 집에서 손수 밥을 차려서 먹거나 빨래를 하거나 쓸고닦기를 해본 적 없다면, 철없이 몸뚱이만 큰 나이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밑바닥 아기꽃(최악의 출산율)’일 수밖에 없다. 아기를 반기고 싶다면, 틀에 박힌 배움터를 걷어내야지. 꿈을 키우고 사랑을 속삭이는 배움마당에 보금자리로 바꾸어야지. 뛰놀며 기쁘게 웃는 어린 나날이 없는 나라로 이어간다면, 아기꽃은 새로 피어나지 않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2023.12.17.

숲집놀이터 285. 학생인권조례



배움터 막짓이 자꾸 불거지면서, 또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어른 아닌 꼰대’를 흉내내면서 사납짓까지 일삼으면서, ‘학생인권조례’가 흔들린다.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배움터에서 사람값을 누리도록 아주 조그맣게 밑동 구실을 할 학생인권조례일 텐데, 안타깝지만 적잖은 ‘어린이·푸름이 아닌 사납이’가 바보짓을 자꾸 저지른다. 스스로 어린이 넋을 잊고, 스스로 푸른이 얼을 버린다면, 이 딱하고 안타까운 아이들을 어떻게 달래야 할까? 곰곰이 보면 ‘어른 아닌 꼰대’ 멍청짓을 흉내내는 ‘어린이·푸름이 아닌 사납이’가 말썽일 수 있으면서, 배움수렁(입시지옥)부터 말썽을 일으키는 불씨이다. 모든 배움터가 집살림과 옷살림과 밥살림을 스스로 짓는 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전이라면, 어떤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멍텅구리라는 굴레로 치달을까? 배움터에서 사랑을 못 가르치거나 안 가르치면서 다그치는 쳇바퀴이기에 아이들이 엇나간다고 느낀다. 무엇보다도 배움터 바깥을 이루는 터전에서 숱한 사람들이 ‘어른 아닌 꼰대’로 나뒹군다. 아이들이 저지르는 모든 멍청짓은 ‘어른 아닌 꼰대’가 늘 아무 데서나 저지르는 막짓이게 마련이다. 아이들이 무엇을 보았겠는가? 아이들이 누구한테서 보고 따라하겠는가? 배움터에서는 어린이(학생)하고 어른(교사)이 나란히 제 몫(인권)을 누릴 노릇이다. 앞으로는 ‘학생인권’과 ‘교사인권’이 나란히 서는 ‘학교평화조례’로 거듭나야 하리라 본다. 섣불리 학생인권조례를 팽개치려 하지 말고, 어린이도 어른도 그야말로 어린이답고 어른스러울 수 있도록 북돋우는 ‘학교평화조례’로 달라지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