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평소 2024.5.7.불.



누구나 뭐 새롭구나 싶은 이야기를 먼곳에서 찾고 싶어한다고 여기는데, 집에서 즐겁게 지내지 못 하는 마음이라서 ‘밖’으로 눈을 돌리면서 “더 멀고 크고 붐비는” 곳에 가 보려고 한단다. 밖에서 이야기를 찾으려는 사람들은 으레 “밖에서도 마음에 차는 이야기를 못 느끼고 못 찾”아. 자꾸자꾸 떠돌고 맴돌지. 그야말로 아주 멀리까지 와서도 헤매다가 지친 나머지 집으로 돌아오는데, 허름하고 작고 수수해 보이는 자리에서 뒤늦게 ‘이야기’를 깨닫고 ‘새빛’을 알아본단다. 다만, 밖이나 길에서 떠돌다가 죽는 사람은 ‘이야기’와 ‘새빛’을 못 보고 못 찾은 채 죽고 말기에, 이다음에 이 쳇바퀴를 되풀이한단다. 집으로 돌아왔는데 ‘집이야기’‘집살림·집빛’을 못 느끼고 못 알아볼 적에도 슬픈 굴레에 갇혀서 늙어죽어. 모름지기 이야기도 새빛도 사랑도 살림도 꿈도 바로 네가 태어난 자리에서 아주 눈부시단다. 또한 네가 옮겨가서 ‘다시 연’ 집도 아주 눈부셔. 너는 “태어나서 자란 곳”이건 “떠나서 자리잡은 곳”이건 스스로 마음을 붙일 적에 반짝거려. “어느 엄청난 곳”이란 따로 없어. 네가 ‘마음씨’를 가꾸는 곳이 네가 살아갈 집이고 이야기이고 빛이란다. ‘마음’은 누구나 몸을 입고서 태어날 적에 생기는데, ‘마음씨’로 가꾸겠는지 ‘마음밭’으로 일구겠는지 ‘마음밥’으로 삼겠는지 ‘마음꽃’을 피우겠는지, 네가 스스로 고른단다. 늘(평소) 너한테서 솟아나는 말이고 마음이고 이야기에 빛인걸. 네가 스스로 바라보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면 돼. 날마다 새로 사랑하고, 어느 곳에서나 다시 사랑하고, 아침저녁으로 즐겁게 사랑하면 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 -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 53인의 소견서
전쟁없는세상 엮음 / 포도밭출판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5.23.

인문책시렁 356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

 전쟁없는세상 엮음

 포도밭

 2014.5.15.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전쟁없는세상 엮음, 포도밭, 2014)는 싸울아비로 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여러 목소리를 고루 담아내는 터라 뜻깊습니다. 다만, ‘말’이 너무 어렵습니다. 다들 ‘말’이 아닌 ‘선언’을 하느라, 대단히 딱딱합니다. 왜 이렇게 딱딱하게 말하는가 하고 돌아보니, “나는 총을 안 쥡니다”라 말하지 않고서 “군대거부선언”을 하는 분들은 하나같이 ‘대학생’이거나 ‘대졸자’이더군요. 푸른배움터만 마친 채 “총을 안 쥘래” 하고 말하는 사람은 아주 드물거나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어깨동무를 헤아리거나 바라는 일도 으레 ‘대학교 울타리’에서 합니다. 푸른배움터만 마쳤거나, 모든 배움터를 안 다닌 사람하고 손을 맞잡는 ‘전쟁없는세상’이라고는 느끼기 어렵습니다.


  열린배움터로 나아가는 푸름이가 많기도 하지만, 푸른배움터까지만 마치고서 일자리를 찾는 푸름이도 매우 많습니다.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데, 푸른배움터만 마치고서 일자리를 찾을 적에는 곧장 싸움터에 끌려갑니다. ‘대학교 입학증서’는 싸움터에 늦게 들어갈 수 있는 또다른 힘(권력)입니다. 때로는 네 해나 여덟 해 사이에 “싸움터에 안 들어가도 될 실마리”를 찾아볼 틈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는 2001년부터 2014년 사이에 바깥에 드러낸 목소리를 그러모읍니다. 이 목소리를 날것으로 담아도 뜻있되, 어린이와 푸름이도 읽을 만하게 새로 쓰거나 손질한다면 더 뜻있으리라 봅니다. 모든 어려운 말을 털어내고서 “왜 안 싸우려 하는가”를 수수하고 쉽게 다시 밝힌다면 훨씬 나으리라 봅니다.


  오늘날 우리가 ‘어렵게’ 꼬는 모든 말은 일본말씨이면서 ‘싸움말씨(군대용어)’입니다. ‘일본말씨 + 싸움말씨’는 ‘인문용어 + 전문용어’이기까지 합니다. 그러니까, “안 싸우겠다는 말”조차 ‘일본 싸움말씨’로 외친 셈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모든 곳에서 “싸움이 없는 길”을 바라고, “어깨동무하는 푸른 살림”을 바란다면, 이제는 ‘푸른말’로 ‘푸른뜻’을 밝히면서 ‘푸른길’을 속삭일 노릇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싸움터에서 시달린 사람들” 목소리를 한켠에 나란히 담을 수 있을 테지요. 목소리를 낼 짬이 없이 싸움터에서 젊은날을 보내야 한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싸움터란 어떤 곳인지 민낯을 고스란히 들여다보고 겪고 부대껴야 한 사람들 목소리가 나란히 있을 적에 “왜 안 싸우려 하는가”라는 뜻을 제대로 들려줄 만하리라 봅니다.


ㅅㄴㄹ


수십 년 동안 1만 명이 넘는 병역거부자가 계속해서 감옥에 갔지만, 이 문제가 한국사회에서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이 지나서부터였습니다. (9쪽)


매일같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화하여 총과 칼을 휘둘러야 하는 행위는 그 목적과 방법, 모든 면에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15쪽)


저는 제 양심상의 이유로 군사훈련을 거부하는 것이지, 국방의 의무와 군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18쪽)


살인은 모두가 범죄라고 말하지만, 전쟁을 범죄로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입니다. (63쪽)


누군가는 먼저 총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67쪽)


‘군대’와 관계 맺기 시작하면서 누군가 ‘남자’나 ‘여자’로 분류되는 순간들이 거북합니다. ‘군대’를 가고 안 가고의 문제는 그 ‘누군가’가 ‘여자’는 아니거나 ‘남자’다울 수 있을 때 가능했습니다. (112쪽)


군대는 바로 국가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합니다. 전쟁이라는 것으로 약자를 비참히 짓밟고 그것으로 잡은 권력을 계속해서 지켜나가기 위한 도구, 그것을 위해 수많은 남성들을 권위주의적이며 전체주의적 사고를 주입해 양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지금의 군대 문화입니다. (132쪽)


모든 이들이 너처럼 총을 들지 않는다면, 누가 나라를 지키느냐고 묻곤 한다. 그럴 때마다, 모든 이들이 총을 들지 않으면 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다. (25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뭐라도 되겠지 - 호기심과 편애로 만드는 특별한 세상
김중혁 지음 / 마음산책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5.23.

다듬읽기 215


《뭐라도 되겠지》

 김중혁

 마음산책

 2011.10.5.



  《뭐라도 되겠지》(김중혁, 마음산책, 2011)를 쓴 분은 ‘무뚝뚝하게(감정을 없애고)’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렸다고 밝히지만, “마음이 없는 글그림”은 없습니다. ‘무뚝뚝’도 마음 가운데 하나입니다. 스스로 ‘느낀’ 바가 있기에 글이나 그림으로 옮깁니다. 우리나라에서 글을 쓰는 숱한 분은 ‘무뚝뚝(감정 배제)’이라고 내세우면서 으레 한자말이나 영어나 옮김말씨나 일본말씨를 뒤섞습니다. 아무래도 우리말로 수수하게 쓰자면 ‘느끼’거나 ‘바라본’ 바를 고스란히 담을 수밖에 없다고 여기는 탓입니다. 그러니까, 모든 글그림에는 느낌과 눈길과 마음이 깃들게 마련인 줄 제대로 헤아리는 손길로 쓰고 빚어야 비로소 ‘무뚝뚝’이라는 글그림도 제대로 나타내게 마련입니다. 꾸미는 글에는 꿈이 없습니다. 꾸미는 글에는 “가꾼 삶”이나 “일구는 살림”도 없습니다. 꾸미는 글에는 오직 허울과 껍데기만 있습니다.


ㅅㄴㄹ


약력도 길게 적혀 있다

→ 발자취도 길게 적힌다

→ 발걸음도 길다

11쪽


보고 있으면 마음이 뿌듯해진다

→ 보면 뿌듯하다

→ 보노라면 뿌듯하다

11쪽


이 일기는 젊은 시절의 고뇌와 허무를 표현하기 위해 모든 글에서 감정을 없애고 오로지 정보만을 전달하고 있으며

→ 이 하루글은 덧없이 끙끙댄 젊은날을 그리려고 마음을 지우고 오로지 줄거리만 담으며

→ 이 날적이는 그저 앓던 젊은때를 보이려고 무뚝뚝하게 오로지 줄거리만 들려주며

16쪽


시간은 늘 우리를 쪽팔리게 한다

→ 지나고 나면 늘 쪽팔린다

→ 어제를 보면 늘 쪽팔린다

→ 돌아보면 늘 쪽팔린다

17쪽


이름을 입력하면

→ 이름을 넣으면

→ 이름을 치면

→ 이름을 누르면

→ 이름을 대면

→ 이름을 말하면

→ 이름을 들면

19쪽


나의 외할아버지는

→ 울 엄마 할아버지는

→ 엄마 할아버지는

24쪽


내가 문학을 선택하게 된 것도 마찬가지 이유 때문이었던 것 같다

→ 글을 고른 까닭도 마찬가지이다

→ 이와 마찬가지로 글꽃을 골랐다

→ 이 때문에 글길을 갔다

→ 이래서 글을 쓰기로 했다

60쪽


가장 적게 먹는 사람도 하나의 단위가 될 수 있겠고

→ 가장 적게 먹는 사람도 하나일 수 있고

→ 가장 적게 먹는 사람도 하나치일 수 있고

97쪽


이제는 명절의 풍경도 달라질 때가 된 게 아닌가 싶다

→ 이제는 가을잔치도 달라질 때가 아닌가 싶다

→ 이제는 설잔치도 달라질 때이지 싶다

110쪽


살다 보면 적을 만들게 된다. 만들고 싶어서 만드는 게 아니다

→ 살다 보면 미운 사람이 있다. 밉고 싶어서 밉지 않다

→ 살다 보면 누가 미워한다. 미워하길 바라서 미워하지 않는다

111쪽


1년이라는 시간이 되돌아오는 게 좋은 이유는 새로운 걸 시작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한 해가 돌아오면 새롭게 할 수 있어서 즐겁다

→ 새해가 오면 새롭게 펼 수 있어서 반갑다

124쪽


국민의 목소리를 듣지 않으려는 지도자가 사용하면 어쩔 거야

→ 사람들 목소리를 듣지 않으려는 우두머리가 쓰면 어쩔래

→ 우리 목소리를 듣지 않으려는 놈이 쓰면 어쩔래

141쪽


나처럼 산만한 사람들에 대한 글이 나온다

→ 나처럼 갈피 없는 사람을 다룬 글이 있다

→ 나처럼 어지러운 사람을 쓴 글이 나온다

156쪽


이제는 일종의 공식 같은 게 돼버렸다

→ 이제는 틀이 잡혔다

→ 이제는 길이 들었다

→ 이제는 판박이처럼 되었다

188쪽


그 편지에는 적발된 장소와 시간이 쓰여 있었다

→ 이 글에는 걸린 곳과 때를 쓴다

→ 이 글월에는 찍힌 곳과 때를 쓴다

→ 이 글에는 잡힌 곳과 때를 밝힌다

→ 이 글월에는 들킨 곳과 때를 적는다

202쪽


정색하면 지는 거라고 생각했다

→ 발끈하면 진다고 여겼다

→ 딱딱하면 진다고 보았다

→ 불끈하면 진다고 느꼈다

272쪽


지역적 농사 상황을 고려하여 더 재미있는 홀을 만들어 보세요

→ 곳마다 지음새를 살펴 더 재미나게 구멍을 파 보세요

→ 논밭살림을 헤아려 더 재미나게 굴을 파 보세요

287쪽


산이 없어지면 인간도 없어집니다

→ 메가 없으면 사람도 없습니다

→ 멧자락을 밀면 사람도 밀립니다

→ 멧갓을 없애면 사람도 죽습니다

296쪽


안내원의 설명을 듣자마자

→ 길잡이 말을 듣자마자

→ 알림이가 얘기하자마자

31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13 : 것 좋은 것


책을 늘리는 것은 좋은 책을 늘리는 것이어야 한다

→ 책을 늘리려면 알찬 책을 늘려야 한다

→ 빛나는 책을 늘려야 한다

→ 아름다운 책을 늘려야 한다

《다 함께 행복한 공공도서관》(신남희, 한티재, 2022) 57쪽


이 글월은 임자말을 “(무엇)하는 것”으로 잡고서, 풀이말도 “(무엇)하는 것”으로 잡습니다. 옮김말씨입니다. 앞자락은 “(무엇)하려면”으로 다듬고서, 뒷자락은 “(무엇)해야 한다”로 다듬습니다. 또는 단출하게 “책을 늘려야 한다”로 다듬을 만합니다. ‘좋다’는 “마음에 들다”를 가리킵니다. 어느 누구한테는 마음에 들어도, 다른 누구한테는 마음에 안 드는 책이게 마련입니다. 그러니 “알찬 책”이나 “빛나는 책”이나 “아름다운 책”이라고 손질합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15 : -의 개성 -아 있 대체로 획일화의 경향성


아이들의 개성 있는 느낌이 살아 있지 못하고 대체로 획일화의 경향성을 보여주어서

→ 아이답게 살리지 못하고 거의 틀에 박힌 길이어서

→ 다 다른 아이가 살지 못하고 으레 뻔하게 치우쳐서

《글쓰기, 이 좋은 공부》(이오덕, 양철북, 2017) 356쪽


아이도 어른도 누구나 다릅니다. “다 다른” 결을 보아야 말이며 글이며 생각을 살립니다. 다 다른 결을 살릴 적에는 ‘아이답게’ 살아가는 길을 볼 테지요. 다 다르거나 아이다운 결을 안 살피니 “틀에 박히”거나 ‘뻔합’니다. 으레 판박이로 흐르니 빛이 사그라듭니다. 거의 딱딱하거나 굳거나 갇히기에 그만 외곬로 치우치거나 치닫습니다. ㅅㄴㄹ


개성(個性) :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구별되는 고유의 특성

대체로(大體-) : 1. 요점만 말해서 2. 전체로 보아서. 또는 일반적으로

획일화(劃一化) : 모두가 한결같아서 다름이 없게 됨. 또는 모두가 한결같아서 다름이 없게 함

경향(傾向) : 1. 현상이나 사상, 행동 따위가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짐 2. [심리] 일정한 자극에 대하여 일정한 반응을 보이는 유기체의 소질(素質). 또는 어떤 방향을 향한 긴장 상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