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예산 2023.11.23.나무.



나라(정부)에 돈이 모자란 적은 없어. 나라에서 돈을 움켜쥐어 사람들을 종(노예)이나 허수아비나 노리개나 싸울아비(군인)로 굴릴 뿐이야. 너한테 돈이 없던 적은 없어. 네가 너한테 알맞게 누릴 돈을 차근차근 그리지 않았을 뿐이야. 나라나 네가 돈을 움켜쥐기에 안 나빠. 돈을 바라면 돈을 꽉 쥐렴. 그러면 돈을 안 놓치겠지. 그런데 돈을 움켜쥐다 보면, 다른 길이나 삶을 쥘 틈이 없어. 돈을 쥔 손을 놓아야 사랑을 펴고 심는단다. 돈을 쥔 손을 비워야 어린이 손을 잡고서 같이 놀지. 돈을 쥔 손을 풀어야, 밥도 하고 밥도 먹고 밥도 나누고, 설거지에 집살림을 꾸려. 돈을 움켜쥔 손이기에 두바퀴(자전거)를 못 쥐겠지. 돈을 꽉 잡은 손이니까, 이웃이나 동무랑 손을 잡을 수 없어. 돈을 안 놓은 손이니까, 나무를 안거나 나비를 내려앉힐 수 없어. 넌 손에 무엇을 놓을 셈이니? 빈손이란 없어. 사랑을 짓는 손을 보렴! 돈을 쥐고서 사랑을 펴는 사람은 없어. 총칼을 쥔 녀석이 사랑을 펼까? 부스러지(지식)를 쥔 녀석이 사랑을 알까? 돈으로 뭘 하려고 나선다면 어리석어. 돈은 그저 돈을 낳는단다. 사랑이 사랑을 낳고 펴듯, 돈은 늘 돈으로만 이어가. 꿈은 꿈으로 잇지. 웃음은 웃음으로 이어. 눈물은 눈물로 잇지. 걱정은 걱정으로 잇고, 굴레는 굴레로 잇는단다. 넌 뭘 쥐고서 잇는 하루이니? 넌 무엇을 보면서 담니? 너희 나라는 언제나 돈(예산)타령을 하느라, 사람도 삶도 사랑도 숲도 못 보는데, 너도 너희 나라가 하듯 돈만 바라보지는 않니? 네 마음에 나무씨앗과 풀씨앗을 심는 ‘빈손’이 있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평범 2023.11.22.물.



다른 사람들하고 비슷하거나 닮기에 안 두드러져 보이면 ‘평범’일까? 적지 않은 사람들이 “평범한 행복”이라 말하는데, ‘평범’이란 아예 없는 그림자야. ‘사람이라는 숨결’을 뚝딱뚝딱 찍어낸다면 ‘평범’이나 ‘보통’이 있을까? 공장에서 척척 찍는 과자라면 ‘다 똑같’을 텐데, 이렇게 다 같아야 ‘평범·보통’일 수 있을까? 너희가 말하는 ‘평범·보통’은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이기 일쑤이더라. 그러면 생각해 보자. “스스로 생각을 안 하는 채, 둘레에서 뭘 어떻게 하는지 구경하는 길”이 참다운지 거짓인지 알 길이 있니? 참답지 않은 길이어도 다들 그럭저럭 그냥 가니까 너도 슬쩍 묻어가면서 티가 안 나기를 바라니? ‘똑같은 나무’나 ‘똑같은 모래알’이나 ‘똑같은 구름’은 없어. 모두 늘 다르고 새롭단다. 얼핏 똑같구나 싶은 옷을 입혀 놓아도 모두 다른 사람이고 이름이고 숨결이야. “평범 = 서로서로 ‘참나’ 잊기·죽이기”라고 여길 만해. “보통 =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르다고 할 적에 미워하거나 싫어하거나 따돌리기나 죽이기”라고 여길 만해. 웃음하고 눈물을 잊기에 ‘평범’하단다. 이야기가 없고 생각이 없기에 ‘보통’이야. 톡톡 튀려고 안 하더라도 누구나 달라. 외려 톡톡 튀려고 할 적에 ‘평범·보통’으로 기울곤 해. ‘다름’은 겉모습이 아닌 넋이요 숨결이요 마음이거든. 처음부터 다 다른 넋이기에, 겉모습이 거의 같아도 다른 숨결이고, 다른 넋에 숨결이니까 다르게 살면서 다른 마음으로 나아간단다. 평범해야 할 까닭도, 안 평범해야 할 일도 없어. 너는 언제나 ‘너(나)’이면 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회색인 2023.11.21.불.



너희가 ‘비’를 싫어하거나 꺼리는 마음을 일으키고부터 ‘잿빛(회색)’을 무척이나 싫어하거나 꺼리더구나. 비를 뿌리는 구름이 잿빛인 줄 아니? ‘재’로 바뀌었기에 더 빠르게 흙으로 돌아가면서 땅심이 살아나는 줄 아니? ‘잿빛 = 살림빛’이요, ‘잿물·재거름 = 살림물’로 여길 만해. ‘잿사람(회색인)’은 어떨까? 흰빛도 검은빛도 아니기에 이쪽저쪽 다 달라붙는 빛깔로 여기니? 두 빛깔을 고루 품고서 복판을 지키는 살림빛으로 여기니? 나쁜빛이나 좋은빛은 없어. 네 마음이 어느 곳으로 기울 뿐이야. 네가 나쁘다고 여기는 쪽으로 기울기에 나쁘다고 본단다. 네가 좋다고 여기는 쪽으로 기울면 좋다고 볼 테지. 비구름이 나쁘니? 비구름이 좋니? 비구름은 비를 뿌리는 구름일 뿐이란다. 조금 내리든 많이 뿌리든, 그때그때 땅한테 알맞게 내리는 비야. 가문 날은 가물어야 배울 일이 있어. 장마철은 장마여야 배울 일이 있지. 비벼락이 치면, 비랑 벼락으로 배워야 한다는 뜻이란다. 넌 무엇을 보고 느끼고 받아들여서 배우니? 넌 배우는 마음이니? 넌 안 배우고서 꺼리거나 싫어하거나 미워하니? 넌 먹구름을 보면서 어떤 날씨를 그리니? 잿빛구름이 뿌리는 빗방울은 조금도 ‘잿빛’이 아니라 티없이 맑은 살림물빛이란다. 흰빛도 검은빛도 아닌 잿빛이라는 자리에 서는 사람이 어떤 마음인지 가만히 읽어 보렴. 모든 다 다른 빛깔에 모두 다 다르게 삶살림사랑이 흐르는 줄 느끼기를 바라. 모든 풀꽃은 크기도 무늬도 빛깔도 다르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문해력 : 우리가 얼마나 우리말을 미워하는지 쉽게 찾아볼 만하다. 글을 ‘글’이라 않고, 말을 ‘말’이라 않는 모습으로도 알 만하다. 사람을 ‘사람’이라 하는가? 삶을 ‘삶’이라 하는가? 일을 ‘일’이라 하는가? 배움을 ‘배움’이라 하는가? 껍데기를 씌울 적에는 거짓말을 하거나 꾸미거나 감추거나 가리거나 속인다는 뜻이다. 생각을 ‘생각’이라 안 하니, 우리 스스로 새롭게 마음을 빛내는 씨앗을 심는 길을 잊고 잃는다. 사랑을 ‘사랑’이라 안 하니, ‘애정행각’이나 ‘연애’는 할는지 모르나, 언제나 다투거나 싸우다가 갈라지고 밉말(혐오표현)을 끔찍하게 쏟아낸다. 일본 한자말 ‘문해력’이란, “글씨 뜻”을 넘어서 “참뜻·속뜻”을 읽자고 하는 낱말이겠지. “사랑·살림·숲”을 읽는 눈·눈길·눈빛·눈망울을 살리자는 뜻일 테고. 그러면 일본 한자말 ‘문해력’이 아닌, 우리말 ‘글눈’이나 ‘글빛’이나 ‘글읽눈·글읽빛’처럼 새롭게 낱말을 여밀 수 있어야지 싶다. 어른부터 스스로 새말을 엮지 않는다면, 어린이가 무엇을 배울까? 새말이 없는 곳에서는, 그저 일본말이나 영어를 툭툭 베끼거나 훔치거나 따라하는 시늉에 길들 뿐이다. 글눈을 틔우려면 길눈을 밝힐 일이다. 길눈을 밝히려면 마음눈을 열 노릇이다. 마음눈을 열려면 사랑눈을 깨울 일이다. 사랑눈을 깨우려면 하루눈을 스스로 그릴 노릇이다. 2021.12.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버스에서 : 서울·큰고장이건 시골이건, 버스를 타면 다들 라디오나 노래를 틀어놓는데,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리는 버스일꾼을 여태 못 보았다. 어머니 손을 꼭 잡고서 버스를 타던 1977년 두어 살 무렵에도, 혼자서 처음 버스를 타던 1982년에도, 푸른꽃날을 지나가던 1992년에도, 인천을 떠나 서울에서 살던 1995년에도, 싸움터(군대)에 들어가서 타던 1995∼97년 강원도 양구 시골버스에서도, 이오덕 어른 글을 갈무리하며 살던 충북 충주·음성에서 타던 버스에서도, 살림을 시골로 옮겨 전남 고흥에서 살아가는 2011년부터 타는 고흥 시골버스에서도, 이웃 순천이나 여수 시내버스에서도, 다들 정치 수다 라디오나 뽕짝이나 대중가요로 시끄럽다. 어린이노래를 튼 버스일꾼은 아직 못 보았다. 곰곰이 보면 교육방송조차 어린이노래를 잘 안 틀고, 어린이가 들을 글(동요 및 동시)을 읽어 주지 않는다. 빛(전파)을 다 어디에다가 버리는 노릇일까? 어린이가 삶눈을 북돋우고, 푸름이가 철눈을 익히도록 이끄는, 어른이 어른스럽게 생각을 살찌우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라디오도 노래도 아예 없다고 여길 만한 버스이다. 때리고 맞고 아프고 죽고 다치고 우는 사람들이 수두룩하게 넘치는 연속극·영화이다. 스스로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가꾸고 돌보는 이야기를 다루는 연속극·영화는 있기나 할까? 〈효자동 이발사〉나 〈집으로〉 같은 이야기는 가물에 콩 나듯 어쩌다가 나오다가 잊힌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가 늘 흐르고, 늘 퍼지고, 늘 태어나야 이 나라가 아름답지 않을까? 미워하고 싫어하고 꺼리고 등돌리고 죽이고 죽는 줄거리로 짜는 글과 그림으로 아이들한테 무엇을 물려줄까? 〈피아니스트의 전설〉이나 〈스윙 걸즈〉나 〈말괄량이 삐삐〉를 찍을 만한 마음이 깨어날 때에 비로소 어깨동무를 하겠지. 여느길(대중교통)을 타는 사람들이 웃음꽃과 눈물꽃으로 가슴을 적실 만한 이야기가 흐를 수 있어야, 이 나라에 꿈이 있다고 하리라. 2023.11.3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