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의 실행: 처벌과 약속

 

 

 

 

 

 

 

첫 번째 예로, 처벌에 관한 제도를 살펴보자. 미셸 푸코는 『감시와 처벌Discipline and Punish』의 첫머리에서 처벌의 극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국왕을 시해하려던 다미앵이 수레에 실린 채 파리 거리를 지나 형장으로 끌려간다. 그의 몸은 천천히 해체되고, 끓는 납이 상처에 부어지고, 나중에는 말에 매어 능지처참을 당한다. 이 끔찍스런 광경을 군중이 지켜본다. 이것은 약 250년 전보다 조금 앞서 일어난 일이다. 푸코가 이 사례를 든 것은 형벌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얼마나 극적으로 바뀌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공리주의자들은 인간의 인식이 빠르게 바뀌어가는 것을 설명하려고 이 사례를 끌어다 쓰려 할 것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공리주의의 관점에서는 개인의 이익이 중요하고 범법자의 이익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의 이익은 평등하다. 이와 달리 다미앵을 벌주던 사람들은 그 죄인을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아니 아무것도 아닌 것보다 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다루었다. 야만으로 간주했던 행위는 그에 상당하는 처벌을 받았고, 군중은 그 광경을 즐거워했다.
다미앵을 다룬 방식은 죄인이 도덕적 지위를 잃을 때 어찌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보통 사람들에게는 차마 할 수 없는 짓을 죄인들에게는 해도 되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응보주의retributivism의 원칙으로 처벌을 시행한다는 발상이 나온다. 물론 현대의 응보주의자들도 다미앵을 처벌한 방식이 야만적이었음을 인정할 것이다. 하지만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건 죄 없는 사람을 괴롭히는 것과 달리 나쁘지 않다고 보는 점에서 응보주의자들은 다미앵을 처벌했던 사람들과 생각을 함께할 것이다. 잘못을 저지른 사람은 벌을 받아 마땅하므로 못을 저지른 사람의 도덕적 지위를 끌어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리주의자들은 이런 응보주의의 견해에 반대한다.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라도 그 도덕적 지위란 것을 의문이 풀리지 않은 채로 잃어야 하는 건 아니다. 한 여인의 행복은 그 누구의 행복과 똑같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처벌 자체를 마땅하다거나 옳다고 할 수 없다. 다른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처벌은 오직 행복을 가져오는 결과가 있어야만 옳은 것이 될 것이다. 공리주의 관점에서 볼 때, 처벌은 표면상으로도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처벌은 잘못을 저지른 대가로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고의로 괴로움을 주는 행위다. 공리주의자들이 볼 때, 이렇듯 괴로움을 주는 행위는 처벌을 받는 괴로움이 더 큰 다른 괴로움을 덜어줄 때에만 정당화할 수 있다. 예컨대, 처벌은 또 다른 죄악을 억제하거나 예방할 수 있을 때에만 정당하다. 다른 한편, 더 적은 비용으로 죄악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있다면 그 처벌은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다.
공리주의자들은 끔찍한 불행을 연출하지 않고서도 범죄를 예방하는 방안을 찾아보라고 권할 것이다. 여기서 공리주의가 사회제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그 중요한 기준은 객관적이면서 계측할 수 있는 것, 말하자면, 행복이나 불행과 같은 결과에 바탕을 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급진적 접근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공리주의는 어떤 것이건 선이 실현되는 결과를 가져올 때에만 처벌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적극적인 작용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쓸데없이 처벌을 위한 처벌을 해서는 안 될 일이다. 하지만 범죄자를 처벌하는 구실은 예컨대, 처벌하면 큰 억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서 때에 따라 죄 없는 사람을 처벌할 구실로 둔갑할 수가 있다. 모든 사람이 어느 사람에게 죄가 있다고 여기는 가운데 (그리고 당사자와 나만이 그에게 죄가 없음을 알고 있는 가운데), 죄를 덮어씌우려고 그에게 죄가 없다는 증거를 손쉽게 없애버릴 수 있다고 가정하자. 게다가 실제로 그 죄를 지은 사람이 죽어버려서 더는 아무런 위협이 될 수 없다고 가정하자. 내가 공리주의를 따르는 수사반장이라면, 내 앞에는 두 가지 대안이 있을 것이다. 하나는 아무도 처벌하지 않기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무런 억제 효과도 거둘 수 없을 것이다. 또 하나는 죄 없는 사람을 처벌하는 것이다. 아무런 선도 이루어질 수 없을 바에는 처벌할 필요가 없겠지만, 충분히 중요하고 좋은 효과가 있을 것이 확실하다면 처벌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엉뚱한 사람을 죄인으로 몰아 죽이더라도 그의 죄 없음을 밝힐 수 있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다. 죄 없는 사람을 처형한대서 어떤 나쁜 결과가 나타나랴? 일이 이쯤에 이르면, 공리주의자는 죄 없는 쪽을 죽이는 것이 오히려 잘하는 일이라고 생각할는지 모른다.
바로 이것이 공리주의가 비도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설명하는 하나의 사례가 된다. 이런 비평을 받을 때 공리주의자는 속으로 꾹 참으면서, 설명하기 힘든 의무론을 고집하는 사람들이야 저 죄 없는 사람을 죽이는 것을 절대로 나쁜 일로 볼 것이라고 혼자서 중얼거릴지 모른다. 그 어느 행위와 마찬가지로, 죄 없는 사람을 벌주는 것은 물론 미안한 일이긴 하지만, 경우에 따라 필요하다고 혼자서 중얼거릴지 모른다. 그런 경우는 흔치 않은 몹시 드문 일이라고 중얼거릴 것이다(그리고 대체로, 저 사람의 죄 없음이 세상에 드러나는 일이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사고방식을 딱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많다. 죄 없는 사람을 희생해서 전반의 복지를 끌어올리는 일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많은 사람들이 외칠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이 점은 나중에 다시 검토하겠지만, 경찰의 결정이 공리주의 사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그래서 죄인으로 낙인찍힌 사람들 가운데 꽤 많은 수가 실상 죄 없는 사람임이 알려지면, 형법체계에 대한 신뢰는 순식간에 무너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삿갓이 누구입니까?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도 불리는 김병연金炳淵(1807~1863)은 조선 후기 시인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 난고蘭皐이다. 1811(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집안이 망하였다. 당시 가산군수였던 정시鄭蓍는 반란군과 용감하게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으나 선천방어사였던 김익순은 국가안보의 중책을 맡고 있는 무관임에도 불구하고 반란군이 쳐들어오자 싸우기는커녕 즉석에서 항복해 버렸던 것이다. 이듬해 봄, 난이 평정되자 김익순은 역적이라는 낙인이 찍혀 처형당하고 말았다.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에 사면을 받고 과거에 응시하여 평소부터 가산군수 정시를 '천고의 빛나는 충신' 이라고 존경해왔던 반면 김익순을 '백번 죽여도 아깝지 않은 만고의 비겁자'라고 몹시 경멸해 오던 터라 김익순을 탄핵하는 글을 거침없이 적어 내려갔다.

장원을 차지한 그는 술 한잔 걸치고 기쁜 맘으로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에게 자랑을 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기뻐하기는커녕 눈물을 흘리며 이제까지 숨겨온 집안내력을 가르쳐주니 반역자 김익순이 바로 김병연의 할아버지였던 것이다.

반역자는 삼대를 멸하라는 그 당시의 법대로 김병연 역시 죽어 마땅하였지만 어머니가 아들 삼형제를 데리고 도망쳐 숨어살고 있었던 것이다.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얘기를 들은 김병연은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하고 죽을 생각도 하며 울기도 하다가 그의 아내와 낳은 지 얼마 안 되는 아이와 홀어머니를 뒤로한 채 방랑의 길을 떠나게 된다.

역적의 자손인데다 그 조부를 욕하는 시를 지어 상을 탔으니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여 삿갓을 쓰게 되었고 이름도 김병연 대신 김삿갓이라 스스로 부르게 되었다. 술을 좋아하고 금강산을 특히 좋아했던 그는 서민 속에 섞여 상류사회를 풍자하는 시를 짓고 재치와 해학으로 서민의 애환을 읊으며 한평생을 보내게 된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객사하였다. 유해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그가 개성에 갔을 때에 어느 집 문 앞에서 하룻밤 재워주기를 청하자, 그 집주인은 문을 닫아걸고 땔감이 없어 못 재워준다고 했다. 이 때 그의 입에서 튀어나온 시가 이러했다.

 

 

개성인축객시開城人逐客詩

 

邑號開城何閉門 山名松嶽豈無薪읍호개성하폐문 산명송악개무신; 고을 이름이 개성인데 왜 문을 닫나. 산 이름이 송악인데 어찌 땔나무가 없으랴.

黃昏逐客非人事 禮義東方子獨秦황혼축객비인사 예의동방자독진; 황혼에 나그네 쫓는 일이 사람 도리 아니니 동방예의지국에서 자네 혼자 되놈일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십견에 대한 세 가지 행법

 

외소엽 어깨 행법

 

1. 두 다리를 쭉 펴고 앉는다. 어깨 힘을 뺀다. 오른손바닥은 얼굴을 향해서 펴고 왼손 엄지는 오른손 새끼손가락 밑동에 받치듯이 대고 왼손바닥으로 오른손등을 감싼다. 그대로 오른팔꿈치를 구부려 겨드랑이 밑에 갖다 댄다. 입으로 조용히 숨을 내쉬면서 윗몸을 쓰러뜨리는 동시에 팔을 앞으로 쭉 편다. 숨을 충분히 내쉬거든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팔꿈치를 굽히고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3회를 반복한 후 이번에는 오른손과 왼손을 바꾸어서 같은 동작을 3회 한다. 이상은 도인술에서 외소엽外小葉이라 불리는 행법이다.

 

오십견은 노화현상이 단지 어깨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것일 뿐이다. 도인술에 따라 기혈의 흐름을 순조롭게 해주면 어깨에 모인 사기가 배설되면서 낫는다. 먼저 어깨 행법부터 시작한다. 그러면 어깨의 통증은 완화되지만 목 부분의 뻐근한 느낌이 남을 것이다. 이것은 목 행법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아침, , 밤에 걸쳐 3회씩 행하면 사흘째에는 목이 편안해지고 닷새쯤부터는 두 팔이 쑥쑥 올라가게 될 것이다.

 

내소엽 어깨 행법

 

1. 다음은 내소엽 행법을 행한다. 오른손등은 얼굴을 향해서 펴고, 왼손 엄지는 오른손 새끼손가락 밑동에 걸쳐 왼손바닥으로 오른손등을 감싼다. 그대로 오른팔뚟을 꺼꺾어 겨드랑이 밑에 갖다 댄다. 입으로 조용히 숨을 내쉬면서 윗몸을 쓰러뜨리는 동시에 팔을 앞으로 쭉 편다. 숨을 충분히 내쉬거든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팔꿈치를 굽히고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3회를 반복한 뒤 이번에는 오른손과 왼손을 바꾸어서 같은 동작을 3회 되풀이 한다.

 

목 행법

 

1. 반좌盤坐(책상다리)의 자세로 앉아서 두 손을 포개어 가슴 밑에 댄다. 고개를 천천히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입으로 숨을 내쉬고, 동시에 포갠 두 손을 몸에 댄 채로 왼쪽 위근처까지 밀어 내린다. 이때 눈은 비스듬히 위족을 쳐다본다. 숨을 다 내쉬거든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얼굴은 정면으로, 두 손은 가슴밑, 즉 원래의 제세로 돌린다. 같은 방법으로 고개를 왼쪽으로 돌린다. 이번에는 두 손을 오른쪽 간장 근처에까지 밀어 내린다. 숨을 다 내쉬거든 원래의 자세로 돌아온다. 3회 반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간 '카를 융, 영혼의 치유자' 발간

 

 

 

 

(서울=연합뉴스) 신창용 기자 = 의식과 무의식의 내밀한 소통, 개인의 꿈과 신화와 역사의 저변을 흐르는 집단 무의식, 이성주의와 과학주의를 넘어 인간 정신의 신비를 탐색하고 분석한 스위스 출신의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1875∼1961).
클레어 던이 쓴 '카를 융, 영혼의 치유자'는 전대미문의 심리학자 융의 생애와 업적을 다룬 평전이다.
이 책은 무서우면서도 심오한 의미가 있는 여러 이미지를 보았던 어린 시절, 직업적 성공을 거둔 청년기, 영혼세계를 재발견한 중년시절까지 자기발견을 찾아 떠난 융의 여정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했다.
여기에 융의 심리학적 성과와 그가 직접 쓴 글, 융의 동료이자 스승이었던 프로이트, 융의 환자들, 엠마 융과 토니 볼프 등 융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남긴 글을 인용해 융의 세계에 쉽게 입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여기까지는 융에 대한 다른 전기나 평전과 다를 바 없다. 하지만 이 책은 기존의 서적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점이 있다. 융의 생애와 관련된 다양한 사진, 예술작품, 융 자신의 예술작품들을 대거 수록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각적인 자료는 영혼과 무의식이라는 텍스트로는 설명할 수 없는 세계를 이해하는데 훌륭한 가교 구실을 한다.
이 책이 "지금까지 나온 융의 전기 중 최고의 책"이라는 찬사 속에 미국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북 상(The Los Angeles Times Book Award)을 수상한 것도 이러한 독창적인 시도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이 책은 융이라는 한 인간의 생애를 넘어 분석심리학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현재 호주 시드니대 아일랜드학과의 학과장인 저자는 전 세계를 다니면서 융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를 강의하고 있다. 1999년에는 다문화주의, 아일랜드 문화, 소수민족에 대한 방송으로 호주 훈장을 받았다.

공지민 옮김. 知와사랑. 336쪽. 2만5천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를 융이 군에 복무할 때 일련의 만다라 이미지가 그에게 떠올랐다

 

 

 

 

그 후 “상승하는” 천상의 신 또는 “쇠락하는” 땅의 신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신들이 등장하는데 이 중 대표적인 네 신이 태양신, 에로스, 생명의 나무, 악마이다. “신들의 악마적 실체”인 영성과 성애는 천상에는 영성, 땅에는 성애가 위치하듯 한 영역에 속한 대극들이다. 마찬가지로 남자와 여자는 방식은 다르지만 결국 “하나의 같은 원칙에 속한” 대극들이다.
필레몬은 “일곱 가지 설교” 중 마지막 설교에서 인간은 “너희가 신들, 악마, 영혼의 외적인 세계에서 내면의 세계로 가기 위해 통과하는 관문”임을 밝힌다. 이 세계에서 “인간은 자신의 세계를 창조하고 파괴하는 아브락사스”이며 자신만의 “신을 이끄는” 별을 가지고 있다. 후에 융은 동료 아니엘라 야페에게 “죽은 자를 위한 일곱 가지 설교”는 자신이 세상과 소통해야 한다는 전조였다고 말했다. 그것은 개성화, 대극들의 충돌, 인간과 신의 공동 창조 등 융 심리학의 기본 틀을 이루는 핵심이 되었다.
하지만 『레드 북』의 여정은 계속되었다. 필레몬은 융에게 인간에 관한 더 깊은 가르침을 전했다. “존재로서의 인간은 영원한 순간이다.” 그림자로서의 죽음과 별들의 표면을 덮고 있는 천상의 어머니도 나타나 융에게 우주의 아이를 낳고 싶다면 더 많은 희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융은 “사랑에 대한 충성과 자발적인 헌신”이 “별의 성격을 지닌 나, 가장 진실되고 내면의 가장 개별적인 자아”에 이르는 길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마지막으로 그림자(그리스도)가 등장한다. 필레몬은 “나의 스승이자 형제”에게 무릎을 꿇으며 그리스도에게 인간이 그의 삶을 모방하는 이상 “당신의 일은 완전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한다. “각자가 자신을 구원하기 위한 일을 해야만 비로소 그때가 온다.”
끝에 이르자 필레몬에 더해 엘리야, 살로메, 땅의 영혼인 카Ka[고대 이집트인이 생각한 사람 혹은 신의 혼] 등 그동안 등장했던 내면의 존재들과 융 개인을 구분하는 분명한 선이 그어진다. 영혼과의 최후의 싸움에서 융은 무조건 신들에 복종하기를 거부한다. 그는 비록 “그들이 답례로 돌려주는 것이 있겠지만” 인간은 더 이상 그들의 “노예”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처음에 신들은 분노했으나 결국 그의 말에 동의한다. 영혼이 융에게 말한다. “너는 법의 강제성을 무너뜨렸구나.” (그림자로서의) 그리스도는 선물로 마지막 한마디를 해준다. 빛과 어둠을 모두 받아들이면서 “내가 너에게 고통의 아름다움을 전해주겠노라.”
1916년, 융이 군에 복무할 때 일련의 만다라 이미지가 그에게 떠올랐다. 그가 처음으로 그린 만다라 <모든 세상의 체계Systema Munditotius>는 소우주와 대우주의 다차원적인 관계를 그리고 있다. “물질 세계의 왕”인 아브락사스가 아래에 있고 위에는 황금 날개를 가진 “신의 아이” 파네스Phanes[오르페우스 밀교 신화의 자웅 양성을 갖춘 개벽의 신]가 있다. 시간이 가면서 융은 자신의 글을 양피지에 필사체로 쓰고 삽화를 그려 그의 여정을 극적인 상징 이미지들로 표현했으며 이 모든 것을 붉은 가죽으로 제본한 600쪽의 2절판에 담았다.
융의 환자들은 그 책이 융의 서재 이젤 위에 놓여 있던 것을 기억한다. 융은 내면의 과정을 다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신만의 “레드 북”을 만들라고 환자들에게 조언했다. 크리스티나 모건은 융이 “책을 들고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그것이 당신의 교회이자 대성당이 될 것이며 당신이 부활할 수 있는 영혼의 조용한 안식처가 될 것입니다 … 책 안에 당신의 영혼이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한 것을 기억한다. 융은 1930년 중국의 연금술서 『태을금화종지』를 접하면서 『레드 북』 집필을 중단했다. 『태을금화종지』는 그의 사상이 “예전에는 꿈도 꾸지 못한 확인”을 받는 계기였으며 동양과 서양의 연관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1959년 융은 『레드 북』에 필사한 한쪽을 추가하여 “나는 그런 체험에 소중한 무언가가 있음을 항상 알고 있었다”는 내용을 다시 강조했다. 그 내용은 문장 중간에서 끝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