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신장에 대한 행법

 

1. 반듯하게 누워서 눈을 감고, 두 손은 주먹을 쥐고 양족 옆구리에 올려놓는다. 천천히 입으로 숨을 내쉬고 또 코로 들이쉰다. 왼쪽으로 누워 양손바닥을 비벼서 따뜻하게 한다. 오른손으로 등의 허리뼈 위, 등뼈의 오른쪽 부위 신장이 있는 곳을 아래위로 30회 문지른다. 오른쪽으로 돌아누워서 동일하게 행한다. 3-5회 반복한다.

 

도인의학에서는 생명 에너지의 근원인 정이 깃드는 곳으로서 장기 중에 신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신은 정을 간직하고 발육과 생식을 맡아본다는 말에 그러한 견해가 나타나 있다. 정이 다할 대 인간의 수명은 끝이 난다. 그리고 정이 성의 기능을 직접 지배한다. 신장에 이상이 생기면 성의 기능도 쇠퇴한다.

신장을 피를 걸러서 소변을 만들고 요관을 통해 소변을 방광으로 내보낸다. 방광에 모인 소변은 요도를 통해 배설된다. 요도는 음낭을 거쳐 성기에 이어져 있다. 도인의학은 신장으로부터 성기까지 하나로 이어진 것으로 본다.

 

신장, 방광, 요도의 기능이 약해지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소변보는 횟수가 줄어든다. 건강한 사람이 하루 10회 소변을 본다. 만약 그 횟수가 5-6회 이하라면 신장이나 방광의 기능이 약해진 것이다. 밖으로 나오지 않는 소변은 몸에 괴어서 발아니 얼굴을 붓게 만든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분비가 불균형하면 소변이 유방에 괴어서 거대한 앞가슴이 된다.

소변보는 횟수가 많아진다. 이것은 요도가 좁아지거나 전립선염으로 압박받았을 경우이다. 1회 배설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횟수가 늘어나는 것이다. 특히 밤에 자다가 소변을 보기 위해 깨는 횟수가 한 번이면 문제가 없지만, 두 번 이상인 날이 여러 날 계속되면 이상이 생긴 것이다.

허리에 살이 쪄서 잘록한 데가 없어진다. 이것은 신장이 비대해지고 요관이 노환된 것이다.

눈언저리에 꺼멓게 멍이 들거나 얼굴이 거무스레해진다. 이것은 신장의 기능이 쇠약해져서 피를 충분히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선천적으로 피부색이 검은 사람도 대부분 신장의 기능이 약하다. 유전적으로 신장이 약한 것이다. 신장 행법을 하면 피부가 하얘진다.

땀을 잘 흘리는 사람은 신장이나 방광의 기능이 약하다. 소변에 의한 수분 배설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땀의 양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2. 욕조 안에서 두 다리를 뻗고 앉는다. 끓어 앉은 자세도 좋다. 오른손을 등 뒤로 돌려 오른쪽 신장 부위의 살을 엄지와 검지로 집고 30회 문지른다.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왼손으로 왼쪽 신장 부위를 집고 30회 문지른다. 다음으로 양손바닥을 신장 부위에 대고 아래위로 30회 이상 마찰한다. 이것을 3-5회 반복한다. 기분이 좋아지고 의욕이 솟구칠 것이다.

 

3. 양쪽 엄지발가락을 포개고 꿇어 앉아 호흡을 고르고 마음을 안정시킨다. 두 팔을 무릎 앞에서 어긋나게 하여 손으로 무릎을 각각 누른다.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윗몸을 일으키고 고개는 뒤로 깊숙이 젖힌다. 이때 손을 무릎에서 떼지 않도록 한다. 뒤에 기대는 기분으로 하는 것이 요령이다. 숨이 괴로워지기 직전에 입으로 숨을 내쉬면서 두 팔을 무릎 앞에서 어긋나게 한 자세로 돌아온다. 이상을 9회 되풀이 하는데, 3회마다 좌우 손을 바꾸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보杜甫의 여야서회旅夜書懷(나그네가 밤의 감회를 쓰다)

 

 

 

 

나그네의 회포를 묘사한 시이다. 두보杜甫765년 후원자 격인 엄무嚴武가 사망하자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 벼슬에서 물러나 청두成都를 떠나게 되었다.여야서회旅夜書懷는 이 무렵에 지은 오언율시五言律詩, 생활의 근거를 잃고 다시 곤궁한 처지에 놓인 심경이 잘 드러나 있다. 앞의 4구에서는 경치를 묘사하고, 뒤의 4구에서는 자신의 감회를 토로하였다. 자신의 신세를 천지간을 외롭게 나는 한 마리 갈매기에 비유하고 있는데, 당시 54세인 두보는 여러 가지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데다가 벼슬도 그만두게 되어 생활이 막막한 처지였으므로 그 암울한 처지가 더욱 절절하게 느껴진다.

 

細草微風岸세초미풍안; 언덕 위엔 가는 풀이 미풍에 흔들리고

危檣獨夜舟위장독야주; 높은 돛배 안에서 홀로 밤을 보낸다.

星垂平野闊성수평야활; 별은 드넓은 들판에 드리워 있고

月湧大江流월용대강류; 달이 솟아 오른 큰 강물이 흐른다.

名豈文章著명기문장저; 어떻게 글로써 이름을 드러내리오.

官因老病休관인노병휴; 늙고 병들어 벼슬도 물러났나니

飄飄何所似표표하소사; 떠도는 이 신세 무엇에 비길까,

天地一沙鷗천지일사구; 하늘과 땅 사이 한 마리 갈매기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불량정서不良情緖는 치병致病 인소因素가 된다

 

 

 

 

사람들이 간절히 바라는 목적이 이루어졌을 때 생기는 흥분상태의 심정을 희라 한다. 일소일소一笑一笑 십년소十年少 일수일수一愁一愁 백료두白了頭란 말이 있다. 웃고 또 웃으면 젊어지지만 근심하고 또 근심하면 머리카락이 희어진다는 뜻이다.

유쾌한 심정과 상쾌한 정신은 인체의 기혈의 조화를 이루어주므로 피로를 회복시켜 주고 긴장감을 풀어주며 노동효율이 증가되어 건강에 유익하며 질병의 회복이 빨라진다. 그러나 기쁨이 지나쳐서 인체의 조절능력을 초과할 경우 불량정서不良情緖가 되어 치병致病 인소因素가 되며 엄중할 경우 생명을 잃는다.

<의순잉의醫醇剩義>에 부희노우사비공경夫喜怒憂思悲恐驚 인인공유지경人人共有之境 약당희이희若當喜而喜 당노이노當怒而怒 당우이우當憂而憂 시즉희노애락발이개중절야是卽喜怒哀樂發而皆中節也 차천하지화此天下至和 상하상지유尙何傷之有라 하였다.

무릇 희노우사비공경喜怒憂思悲恐驚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정서다. 그러나 기쁨에 기쁨이 겹치고 성냄에 성냄이 겹치며 근심에 근심이 겹치면 인체에 해롭다. 희노애락의 감정표현에는 걸맞은 절제가 있어야 함이 옳다. 칠정의 발로는 지극히 조화롭지만 오래 지속되면 어찌 사람을 상하지 않겠는가?”

<정충설악精忠說岳>에 보면 남송南宋의 악비岳飛 군대인 악가군岳家軍의 좌군左軍 통제統制 우고장군은 금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올출兀朮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말을 탄 채 올출의 등을 밟고 기쁨을 감추지 못하여 허! ! 소리를 내며 크게 웃었다. 올출은 기가 끊어져서 죽었고 우고는 기쁨이 지나쳐서 죽고 말았다.

옛날에 범진范進이란 사람이 과거시험에 합격한 고사다. 나이가 많은 범진은 만년에 향시鄕試에 합격하여 거인擧人이 되었다. 범진은 과거시험에 합격했다는 통지서를 두 손에 받아들고 박장대소하였다. 그는 큰 소리를 지르다가 혼절하였다.

집안 사람들은 범진의 얼굴에 찬물을 끼얹어 각성시켰다. 범진은 벌떡 일어나 또 다시 박수를 치며 좋다고 큰소리로 외쳤다. 범진은 산발을 한 채 온 동네를 뛰어 다녔다.

범진의 모친은 평생 빈곤하게 살아왔다. 자식이 늦게나마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부귀공명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는 꿈을 꾸며 매우 기뻐하였다. 범진의 모친은 자식이 과거시험에 합격한 후 남의 집 종살이를 청산했으며 이제부터 은그릇과 계집종과 시녀들은 모두 내 것이다하고 크게 외친 후 땅바닥에 쓰러져버렸으며 인사불성人事不省으로 죽고 말았다.

결국 과거시험에 합격한 범진은 기쁨이 지나쳐 미쳐버렸고 범진의 어미는 기쁨이 지나쳐서 홀연히 담궐痰厥이 생겨 인사불성이 되어 죽었다. 이를 희상심喜傷心이라 한다. 희상심에 주로 나타나는 질병은 고혈압, 심근경색, 뇌혈관의외腦血管意外(중풍), 질식窒息, 유산流産, 기흉氣胸, 불면증 등이다. 초기엔 웃음이 그치지 않고 누어있어도 편치 않다. 계속적으로 심기心氣가 손상되면 땀이 그치지 않고 줄줄 흐르며 심계心悸와 불면증이 수반되며 놀라기도 하고 불안해한다. 때로는 기뻤다 슬펐다 하며 기쁨이 극에 달하면 고성방가하며 미친 짓을 한다. 평소에 심음허心陰虛인 사람은 심음心陰이 상하여 심화心火가 편항偏亢되며 도한盜汗, 심번心煩, 불면증이 생긴다.

<황제내경-영추靈樞본신本神>에 희락자喜樂者 신탄산이부장神憚散而不藏이라 하였다. 기쁜 사람은 정신이 흩어지기 쉽다는 뜻이다.

현대 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웃음은 대뇌피질의 일부분을 고도로 흥분시키고 반대로 대뇌피질의 어느 부분에서는 억제상태가 된다. 지나치게 박장대소하거나 미친 듯이 기뻐할 경우 대뇌피질의 흥분과 억제과정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대뇌피질의 중추기능이 문란해진다"고 한다.

관심병이 있는 환자가 박장대소할 경우 복강 내의 압력이 증가되어 심근경색과 심장박동 정지가 발생하며 중증 고혈압 환자가 박장대소할 경우 혈액순환의 속도가 빨라지고 혈압이 상승되어 뇌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음식을 먹을 때 크게 웃으면 음식물이 기관氣管으로 가 질식하여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지나친 기쁨은 불량정서 상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간장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간장에 대한 행법

 

1. 반듯하게 누워서 눈을 감는다. 두 손은 엄지를 안으로 주먹을 쥐고 양 옆구리에 댄 채 천천히 입으로 숨을 내쉰 뒤 코로 숨을 들이쉰다. 양 손바닥을 서로 비벼서 따뜻하게 한다. 먼저 오른손바닥으로 왼쪽 갈비뼈 맨 아래 부위를 좌우로 30회 문지른다. 왼손으로 오른쪽 갈비뼈 맨 아래 부위를 좌우로 30회 문지른다.

 

2. 목욕탕에 들어가서 꿇어앉는다. 양손의 엄지를 제외하고 여덟 손가락을 나란히 세워 왼쪽 갈비뼈 위장 부위에 대고, 손가락 끝을 안쪽으로 굽혀 위장에서 옆구리에 걸친 살을 배 안쪽으로 누르듯이 한다. 누르는 동시에 코로 숨을 들이쉰다. 그 다음, 손의 힘을 늦추면서 숨을 내쉰다.

 

3. 양손가락 끝을 갈비뼈를 따라 몸 바깥쪽으로 약간 이동시켜 갈비뼈 중심쯤에 양 검지손가락이 오도록 하고 앞에서와 같이 양손가락 끝으로 배를 눌러 손가락 끝이 갈비뼈 안쪽으로 들어가게 한다. 동시에 코로 숨을 들이쉰다. 그 다음, 손의 힘을 늦추면서 숨을 내쉰다.

 

4. 다시 양손을 배의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왼쪽 갈비뼈 맨 아래의 옆구리 부위에서 두 손가락 끝을 가지런히 하여 마찬가지로 배를 갈비뼈 안쪽으로 눌러 넣듯이 한다. 동시에 코로 숨을 들이쉰다. 그 다음, 손끝을 갈비뼈 안쪽에서 떼면서 입으로 숨을 내쉰다.

 

몸은 전체가 하나로서 서로 관련이 있다. 어떤 기능도 전신의 활력과 동떨어져서 작용하지 않는다. 성기능이 쇠약해지는 것도 성기만 병에 걸리거나 노화된 탓이 아니다. 노화가 치료되면 성기능도 원래대로 회복된다. 중년 이후에 도인술을 하는 사람은 성기능의 회복을 경험한다.

성력을 회복시킬 때 특별히 주의해야 할 것이 간장과 신장이다. 두 장기의 기능은 성기능에 큰 영향을 준다.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약해지면 성기능은 현저하게 감퇴한다. 내장이 나빠지면 그 부위의 피부 색깔이 변하거나 붓거나 단단해진다.

간장에 이어지는 경락인 간경은 남녀 모두 성기에 이어져 있다. 이것은 다른 12경락에 없는 특징이다.

 

 

간장의 건강을 아는 법.

 

손톱이 핑크색을 띠고 윤이 나면 간장이 건강하다.

손톱의 혈색이 나쁘거나 손가락 끝이 터지거나 하면 간장이 좋지 않은 상태이다.

엄지와 새끼손가락 쪽의 손바닥 언덕이나 손가락 배 부위에 벌겋게 울혈 증상이 나타나면 간장이 나쁜 것이다. 이것을 손바닥의 홍반紅斑이라 한다.

간장과 눈은 깊은 관련이 있다. 간장이 나빠지면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흐려진다.

간장병이 진전되면 간장이 비대해진다. 그리고 비대가 진전되면 갈비뼈의 맨 아래뼈가 밖으로 불거져 나온다. 간장의 위치는 오른쪽이지만 오른쪽 갈비뼈뿐 아니라 왼쪽 갈비뼈 역시 그렇게 된다.

간장병이 더욱 진전되면 얼굴이나 가슴 등에 지름 5-10밀리미터의 거미모양 반점이 나타난다. 이것은 혈관이 확장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간장은 감정의 움직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간장은 노여움을 맡아보는 기관이다. 따라서 성을 내면 간장의 활동은 지나치게 활발해져서 간장을 손상시킨다. 또 간장이 나빠지면 자주 발끈한다. 자주 발끈하는 사람은 간장이 나빠지지 않았는지 의심해야 한다.

손가락으로 배를 누를 때에 잘 들어가지 않으면 내장이 굳어져 있기 때문이다. 건강한 내장은 탄력성이 있고 부드럽다. 부드러워진다는 것은 그만큼 건강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다리털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다리털에 대한 행법

 

1. 한쪽 손바닥을 이용하여 털이 많이 나 있는 팔 등을 몇 십 번, 몇 백 번이고 비벼댄다. 다리에 털이 많은 사람은 반듯하게 누워 한쪽 발바닥으로 다른 쪽 다리를 비빈다.

 

여성의 몸에 털이 유난히 많으면 몸에 이상이 있는 것이다. 식생활이 문제인 경우가 가장 많다. 서영 여성의 경우 털복숭이가 많은 것은 육식이 그 원인이다.

이미 시꺼멓게 털이 났다면 이 행법이 효과적이다. 마찰 행법은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짬나는 대로 하면 된다. 하루 2시간 이상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털이 빠질 때에는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엄청난 양의 털이 이불 위에 떨어져 있게 된다. 털이 빠진다는 것은 구 부위의 사기가 사라지고 기혈의 흐름이 정상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류머티즘이 있는 사람이 털이 덥수룩한 경우가 많은데, 이때 마찰 행법을 하면 깨끗한 팔다리로 변모하고 병도 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