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
<기독교 동물 상징사전>(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 본문에서 다룬 사자의 성질에 관한 내용은 고전 문헌 가운데 아리스토텔레스·아엘리아누스·플리니우스·플루타르코스가 전하는 사자에 관한 기록과 좋은 비교를 이룬다.
그러나 직접 내용을 빌려왔는지는 알 수 없다.
오히려 다른 동물들이 가진 습성을 사자의 성질로 바꾸어 설명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즉 자신의 꼬리를 휘저어서 발자국을 지우는 여우의 습성이나, 눈을 뜨고 잠자는 토끼의 습성, 그리고 새끼를 혀로 핥아서 깨우는 곰의 습성을 사자에게 모은 것으로 보인다.
1 창세기 49: 9
라틴 성서의 “Catulus leonis Iuda a praeda fili mi ascendisti requiescens accubuisti ut leo et quasi leaena quis suscitabit eum”은
“유다는 사자의 새끼다.
내 아들아, 너는 먹이를 올라탔구나.
너는 수사자처럼, 그리고 암사자처럼 길게 누워서 쉬고 있구나.
그러니 누가 그를 건드릴 수 있으랴”라고 옮길 수 있다.
2 요한묵시록 5: 5
그러나 원로들 가운데 하나가 나에게 “울지 마시오.
유다 지파에서 난 사자, 곧 다윗의 뿌리가 승리하였으니 그분이 이 일곱 봉인을 떼시고 두루마리를 펴실 수 있습니다” 하고 말했습니다.
3 요한 1: 14
말씀이 사람이 되셔서 우리와 함께 계셨는데, 우리는 그분의 영광을 보았다.
그것은 외아들이 아버지에게서 받은 영광이었다. 그분에게는 은총과 진리가 충만하였다.
4 시편 24: 8-10
영광의 왕이 누구신가?
힘세고 용맹하신 야훼이시다.
싸움터에서 그 용맹 떨치신 야훼이시다.
문들아, 머리를 들어라.
오래된 문들아, 일어서라.
영광의 왕께서 드신다.
영광의 왕이 누구신가?
영광의 왕은 만군의 야훼 그분이시다.
5 아가 5: 2
6 마태오 26: 64
예수께서는 그에게 “그것은 너의 말이다” 하시고는 “잘 들어 두어라. 너희는 이제부터 사람의 아들이 전능하신 분의 오른편에 앉아 있는 것과 또 하늘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볼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다.
루가 22: 69
“사람의 아들은 이제부터 전능하신 하느님의 오른편에 앉게 될 것이다.”
사도행전 7: 55
이 때 스데파노가 성령이 충만하여 하늘을 우러러보니 하느님의 영광과 하느님 오른편에 서 계신 예수님이 보였다.
7 시편 121: 4
8 골로사이 1: 15
그리스도께서는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형상이시며 만물에 앞서 태어나신 분이십니다.
9 창세기 49: 9
라틴 성서의 “Quis suscitabit eum,” 곧 “누가 그를 건드릴 수 있으랴”는 공동번역에서 누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