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지의 인물
야마구치 가쓰히로의 <공간연출 디자인의 원류>(도서출판 미술문화) 중에서
프레데릭 존 키슬러는 1890년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인에서 태어나2) 1965년 뉴욕에서 사망했다.
75년이라는 세월은 평전을 쓰기 위한 대상인물의 생애로 결코 짧은 것이 아니다.
특히 미국 고문서관의 자료목록을 보면, 그의 작업에 관해 언급한 신문, 잡지, 서적 등은-막대하다는 표현은 다소 과장이더라도-적은 분량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가 시대를 대표하는 어떤 양식의 창조에 기여한 인물이라는 뉘앙스를 느낄 수 없다.
그는 작가 개인의 조형세계를 고정된 양식으로 정착시키기에 급급했던 20세기의 많은 예술가들과는 전혀 다른 타입의 인물이었다.
그러한 예술가의 생애를 통찰하여 평전을 쓴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작업인가를 언급하기에 앞서, 기억해야 할 좀더 중요한 사실은 키슬러가 평생을 아웃사이더의 입장을 고수한 몇 안 되는 예술가 중의 한 사람이라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키슬러는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르 코르뷔제, 발터 그로피우스, 미스 반 데어 로에 등과 달리 지나치게 많은 건축을 설계하지는 않았다.
필립 존슨의 언급대로 키슬러만큼 건물을 짓지 않고 유명해진 건축가도 없을 정도이다.
엄밀하게 말해서 그는 극장건축가, 무대디자이너, 전시디자이너, 가구디자이너, 조각가, 화가, 그리고 시인이라고 불러야 마땅하다.3)
이처럼 그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자신의 예술관을 전개시킨 인물이다.
그를 단지 건축가로만 규정할 수 없는 원인이 여기에 있다.
키슬러에 관한 논고의 어려움은 그가 남긴 작업이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편 키슬러는 자신의 모든 작품에 대하여 제작의도 등을 빠짐없이 문장으로 남겨놓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실현되지 않은 미완의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그가 남긴 자료 전부를 각각의 영역별로 분류하여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독자들에게 키슬러의 조형세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런데 생애를 통한 그의 활동을 살펴보면 그에 관한 평전을 적기 위해서는 먼저 20세기 미술에 관한 다각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자조적인 반성과 함께, 그의 활동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일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어떤 사실을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너무도 단편적인 처리기준에 의존하고 있지는 않은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가 어떤 사실을 판단하는 데 있어 지나치게 공식적인 기준에 얽매여 있지는 않은지도 되돌아보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는 20세기의 4분의 3이 지나자마자 20세기 건축사, 20세기 회화사, 20세기 연극사, 20세기 조각사, 20세기 디자인사 등을 준비해왔다.
이미 기정사실이 된 각종 예술운동과 주의주장을 요약한 선언들, 그리고 무슨 무슨 양식 등이 이제는 역사가나 평론가의 문장 속에 공공연히 등장하고 있다.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과거의 많은 예술가들이 그들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양식’ 또는 ‘주의’ 등의 꼬리표가 붙여진 채 역사박물관의 정리대상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다. 그것보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오늘날 자신의 영역을 고수하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분야별 전문가가 양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들 대부분은 자신의 전공분야 이외에는 무지한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