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공예Arts and Crafts운동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일어난 미술공예Arts and Crafts운동은 기계생산으로 인한 공산품의 질 저하에 대한 불만족으로 수작업의 공예품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데서 출발했다.

중세의 직인제도에 대한 향수가 내재된 이 운동의 사상은 건축가 오거스터스 웰비 노스모어 퓨진Augustus Welby Northmore Pugin(1812-52)에 의해 제기되었으며, 윌리엄 모리스에게 영향을 끼친 존 러스킨의 저작에 잘 나타나 있다.

가구, 은그릇, 직물, 스테인드글라스, 보석 등을 디자인하기도 한 퓨진은 영국 건축 전체의 운동으로까지 확산된 고딕복고 양식의 제창자였다.

그는 저서 <대비 Contrasts>(1836)에서 기독교의 중심을 이룬 중세 건축물을 칭찬하여 당대에 유행하던 르네상스 양식의 경박함과 대비시켰다.

퓨진은 찰스 배리 경Sir Charles Barry(1795-1860)과 함께 1836년에 영국의 국회의사당을 착공했으며 이는 고딕 부활에 있어 최대의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다.

이런 고딕에 대한 취향은 나폴레옹의 전쟁을 통해 국수주의의 감정이 고조되었고 영국뿐 아니라 독일과 프랑스 등지에서 고딕이 국민정신의 고유한 표현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미술가를 영감 받은 예언자로 본 러스킨은 미술의 위대함을 “신이 만든 인간의 마음을 표현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미술의 성실함과 소박함을 회복하며 아카데미즘의 원류로 간주되는 라파엘로 시대 이전으로 돌아갈 것을 주창한 라파엘전파의 옹호자로 나섰다.

러스킨은 퓨진과 함께 고딕양식의 부활을 주창했지만, 장식에 있어서는 퓨진과 달리 고전적 전통을 거부했다.

그 이유는 예술과 건축은 신이 창조한 인간의 경이로움과 기쁨을 반영해야만 한다고 믿었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영감을 받은 자연주의 형식이 요구되고, 고딕이야말로 적합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예술을 노동자들의 일상생활과 연결하는 그의 사상을 모리스가 받아들였다.

러스킨은 저서 『베네치아의 돌』에서 “아름다운 미술품은 의도적이든 우연적이든 자연의 형태를 닮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러스킨의 책에는 그가 미술가들에게 세밀하게 연구할 것을 요청한 바위와 잎의 곡선 형태들이 뒤엉킨 모습을 묘사한 도판이 많이 실려 있었다.

그의 사상을 행동으로 옮긴 사람이 모리스였다.

미술공예운동을 주도한 미술가들로는 아서 헤이게이트 맥머도, 월터 크레인, 찰스 로버트 애슈비, 오브리 빈센트 비어즐리를 비롯하여 글래고스 출신 건축가인 찰스 레니 매킨토시 및 프란시스 맥도널드와 마거리트 맥도널드 자매를 꼽을 수 있다.

잉글랜드의 건축가이며 디자이너 아서 헤이게이트 맥머도Arthur Heygate Mackmurdo(1851-1942)는 러스킨과 함께 이탈리아를 여행했고, 그와 함께 고건축물보호협회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Ancient Buildings에 관여했다.

맥머도가 1882년에 세운 센추리 길드Century Guild는 다양한 기술을 보유한 장인들의 단체로 맥머도는 이 길드가 “공예의 모든 분야를 더 이상 장인의 영역이 아닌 미술가의 영역으로 만들고 건축물, 장식, 유리회화, 도자기, 목조각 그리고 금속을 그들의 정당한 자리인 회화와 조각의 옆자리로 되돌려놓은 것”이라고 천명했다.

센추리 길드는 아르누보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인식될 물결모양의 자연주의 장식을 실험했다.

맥머도는 1884년에 길드의 기관지로 공예전문지 <하비 호스(목마) Hobby Horse(Wooden Horse)>를 창간했다.

그는 등받이에 구멍을 뚫어 장식한 의자를 디자인해 유명해졌다.

이 장식은 나중에 아르누보로 규정되었다. 등받이를 장식한 비대칭의 덩굴식물은 1년 뒤 약간 변형되어 그의 저서 <렌즈 시티 교회 Wren's City Churches>의 표지에 다시 등장했다.

맥머도와 함께 미술공예운동의 전통에 속한 월터 크레인Walter Crane(1845-1915)은 미술공예전시협회Arts and Crafts Exhibition Society의 의장이었다.

그의 목표는 미술가를 수공업자로 만들고 수공업자를 미술가로 만드는 것이었다.

크레인은 미술의 진정한 근원과 토대는 수공업에 있다고 확신했다.

그의 이론서는 유럽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공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확산에 기여했다.

모리스와 함께 사회주의연맹Docial League의 회원이었던 크레인은 모리스의 추종자들과 마찬가지로 아르누보를 “기이한 장식의 질병”으로 간주하고 적대감을 보였다.

그러나 크레인은 1890년대 유럽 아르누보 디자인의 초기 중심지 중 하나인 브뤼셀에서 전시한 최초의 영국 미술가이자 디자이너였다.

그곳에서 그는 1891년에 아동도서 삽화를 선보였는데, 1889년에 처음 출판되어 이제는 잘 알려진 그의 <꽃의 축제 Flora's Feast>와 같은 삽화에서는 벨기에 대중이 선호한, 자연주의 주제에 토대를 둔 운동감이 보였다.

문학적, 신화적 주제를 즐겨 그린 크레인은 아동도서에는 컬러그림이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사람이기도 했다.

아르누보를 경멸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레인은 1900년 당시로서는 아르누보 미학에 대해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한 『선과 형태 Line and Form』라는 책자를 출간하기도 했다.

이는 미술공예운동의 전통 속에서 영국 디자이너들이 아르누보로 인식될 만한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예가 된다.

러스킨과 모리스의 사상에 감명을 받아 1888년에 수공예 길드를 설립하여 영국 미술공예운동에 앞장을 선 찰스 로버트 애슈비Charles Robert Ashbee(1863-1942)는 1887년과 1904년 런던의 이스트엔드에 수공업 학교School of Handicraft와 공예 학교School of Arts and Crafts를 각각 설립하기도 했다.

애슈비는 정규 교육을 받은 건축가로 모리스와 마찬가지로 건축과 장식미술이 모든 예술의 기본 토대라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가 설립한 수공업 길드와 두 개의 공예학교는 비자본주의적 강령을 따랐으며, 그곳들에서 제작된 생산품을 가지고 단체 토론을 벌이곤 했다.

모리스 양식을 좇은 가구 외에 정교하게 조각되고 마무리된 은공예품이 이 공방의 특별 상품이었다.

애슈비가 1890년대 중반부터 제작한 사각형 가구는 국제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영국 디자이너의 작품이다.

그가 1898년경에 디자인한 필기용 캐비닛은 아르누보 양식에 대한 그의 관심이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난 작품이다.

이것은 1899년 런던에서 열린 미술공예전시협회전과 1900년 빈에서 열린 제8회 분리파 전시회에 출품되어 빈의 한 가정에 판매되었다.

짙은 마호가니 외장에 구식의 구슬다리가 달린 이 캐비닛은 영국 고유의 가구 제작전통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당대의 유행이 반영된 부분은 서립의 손잡이를 이루는 정교한 투각 잎 무늬 장식판과 상단 문에 부착된 열쇠구멍 덮개와 띠 장식이다.

상단 문을 열면 본격적인 아르누보 양식이 드러난다. 여섯 개의 호랑가시나무 문에는 디자인된 튤립이 상감으로 장식되었으며, 은제 투각 자물쇠는 디자인된 잎 무늬로 장식되었다.

애슈비와 아르누보의 관계는 그가 근대적인 제작방식을 거부한 사실에서 엿볼 수 있다.

애슈비는 1902년에 뮌헨미술아카데미의 명예회원에 위촉되었다.

같은 해에 그는 런던의 학교와 길드를 글로스터셔의 치핑 캠프든 마을로 옮겼다.

사람들은 그곳에서 공예뿐 아니라 농업까지 새롭게 활성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애슈비와 그의 제자들은 잉글랜드와 파리, 빈, 뒤셀도르프, 뮌헨의 전시회에 출품했다.

애슈비는 결국 현대문명은 기계작업 없이는 생각할 수 없음을 인정했다.

그는 1911년에 현대문명은 기계에 있으며, 이를 인정하지 않는 한 미술교육을 장려하거나 재정적으로 보조하는 시스템은 합리적일 수 없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주제에서, 예를 들면 아일랜드의 시인, 소설가, 극작가, 평론가인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1854-1900)가 1892년에 프랑스어로 쓴 기괴한 미와 환상의 시극 <살로메 Salome>를 위한 삽화나, 런던 태생의 시인이며 평론가 알렉산더 포프Alexander Pope(1688-1744)의 시 <머리카락을 훔친 자 The Rape of the Lock>(1712)에 나오는 퇴폐적인 18세기 풍경을 묘사한 후기 드로잉에는 아르누보의 모든 요소가 나타났다.

와일드의 아버지는 유명한 안과의사이며 고고학자였고 어머니는 시인이었다.

와일드가 “예술을 위한 예술”을 표어로 하는 탐미주의를 주창한 것은 옥스퍼드 대학에 재학 중일 때였다.

1895년에 동성연애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고 2년 동안 레딩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참회록 <옥중기 De Profundis>(1897)는 그 소산이다.

직물도매상의 아들로 태어나 열두 살 때 앓은 병으로 평생 불구의 몸이 된 포프는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으나 독학으로 고전을 익혔고 타고난 재능으로 스무 살 때 이미 시집 <목가집 Pastorals>을 발표했다.

<머리카락을 훔친 자>는 포프가 스물네 살 때 쓴 것이다.

1893년 2월 오랜 학교 친구인 스콧슨-클라크G.F. Scotson-Clarke에게 보낸 편지에서 오브리 빈센트 비어즐리Aubrey Vincent Beardsley(1872-98)는 완전히 새로운 드로잉과 구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양식을 “일본을 암시하지만 완전히 일본적이지 않은”이라는 표현을 하여 적어도 자신이 일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했다.

브라이턴의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나 초등교육을 마친 뒤 런던에서 독학으로 화화를 배우고 음악과 문학에 관심을 기울인 비어즐리는 번-존스의 권유로 판화를 배우기 위해 야학에 다니며 라파엘전파의 영향을 받았다.

1892년 파리에서 프레스코화의 영향을 받아 침묵하는 색조와 구도로 담백미를 풍기는 벽화를 주로 그린 퓌비 드 샤반Puvis de Chavannes(1824-98)을 만났고 툴루즈-로트레크와 일본의 무로마치시대부터 에도시대 말기(14-19세기)에 서민생활을 기조로 제작된 풍속화 우키요에의 영향을 받아 섬세하고 장식적인 양식을 확립했다.

1893년 월간지 <스튜디오 Studio> 창간호에 특집으로 실린 <나는 너의 입술에 입 맞추었노라 J'ai baise ta bouche>로 명명된 비어즐리의 삽화는 공중에 떠 있는 악마 같은 살로메가 피를 흘리는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들고 있다.

영국과 유럽에서 구독되던 <스튜디오>는 비어즐리에게 국제무대에 이름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그로 인해 그의 이름은 아르누보 양식을 연상하게 만들었다.

그의 작품이 1894년에 미국인 작가 해런드와 함께 창간한 <옐로 북 The Yellow Book>에 실렸다.

<옐로 북>은 퇴폐적 표현에 대한 비난으로 1897년에 폐간되고 그는 새로 <사보이 The Savoy>를 창간하여 스물다섯 살로 요절할 때까지 제작을 계속했다.

그의 작품은 아르누보를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않던 국가에서 나타난 성숙된 아르누보 초기의 예가 되었다.

런던 리전트 스트리트Regent Street의 리버티상사Liberty Company가 날염한 직물은 또 다른 차원에서 미술공예운동을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부유한 중산층 소비자를 겨냥해 가장 성공적인 소매점들 가운데 하나인 리버티상사는 아서 라젠비 리버티Arthur Lasenby Liberty(1843-1935)가 1875년에 첫 번째로 연 상점이다.

그는 스스로 ‘동인도 상인 East India Merchant’을 자처하며 동양에서 수입한 도자기, 카펫, 그 밖의 제품들을 팔기 시작했는데, 이 시기에 함부르크 출신의 화상 지크프리트 빙Siegfried Bing(1838-1905)도 파리에서 유사한 제품을 취급하고 있었다.

리버티상사는 영국 미술공예 제품, 특히 아치볼드 녹스Archibald Knox(1864-1933)와 같은 디자이너들의 웨일스 제품과 튜더 제품을 팔기도 하고 생산해냈으며, 또한 대륙의 아르누보를 런던의 구매자들에게 소개하고 리하르트 리메르슈미트Richard Riemerschmid(1868-1957)의 의자와 헝가리 상사인 졸네이의 도자기 같은 물품도 취급했다.

리메르슈미트는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미술애호가의 방’을 위한 실내장식 계획을 전시했으며, 다음해에는 뮌헨에서 가장 유명한 세기말 건축물인 극장을 설계했다.

사세가 확장됨에 따라 리버티상사는 유명한 디자이너들의 작품들을 상업적으로 생산한 자사의 가구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아서 라젠비 리버티는 1890년 파리에 1931년까지도 남아 있던 오페라 가 38번지에 지점을 열었으며, 이 상사의 제품, 특히 직물과 벽지는 헬싱키부터 밀라노까지 유럽 전역으로 판매되었다.

리버티의 성공은 ‘예술가구’를 좀 더 적정한 가격으로 직접 제작한다는 회사의 정책이 중산층 시장을 공략하는 데 성공했음을 보여준다.

리버티상사가 취향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르누보 이해에 중요한데, 유럽 아르누보의 많은 주요 인물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기 때문이다.

리버티상사는 1899년에 유명한 자사 제품인 은과 보석류의 쿰릭Cymric(웨일스Welsh 사람들이 선호한) 제품과 뒤이어 1901년에는 튜더식 백랍제품Tudric Pewter range을 출시했다.

보석상자, 벨트, 버클 그리고 모자핀 등으로 이루어진 이 금속제품들은 켈트부활Celtic Revivial과 르네상스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독특한 아르누보 양식으로 제작되었다.

녹스가 디자인한 1900년의 쿰릭 보석상자는 단순한 형태에 당대의 섬세한 곡선이 가미되고 아르누보의 느낌이지만 여전히 미술공예운동에 뿌리를 둔 절제된 선적 모티프로 장식되어 있다.

자사의 화가와 디자이너를 밝히지 않는 리버티상사의 방침으로 누가 무엇을 설계했는지 알아내기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윌리엄 모리스의 레드하우스


모리스는 1859년에 제인과 결혼했다.
젊고 부유하고 재능 있는 모리스는 자신의 사회적 배경에서 볼 때 이단적이며 환영받을 수 없는 결혼을 했다.
그의 부모는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모리스는 1861년에 아내와 함께 켄트의 벡슬리히스Bexleyheath에 땅을 한 구획 구입하여 자신들이 거주할 붉은 벽돌담으로 에워싸인 레드하우스The Red House를 건축가 필립 스픽맨 웨브Philip Speakman Webb(1831-1915)에게 의뢰했다.
캔터베리 대성당으로 가는 순례자 길에 면한 과수원에 둘러싸인 레드하우스는 담뿐만 붉은색이 아니라 붉은 벽돌 벽, 붉은 벽돌 기와지붕으로 된 말 그대로 붉은 집이었다.
현관에 들어서면 홀 정면에 떡갈나무 계단이 극적으로 등장하며 방문객을 맞이한다.
내부 왼편에 갤러리, 오른편에는 거실이 있다.
모리스의 서재와 침실이 있는 2층 응접실은 품위 있게 꾸며졌다.
모리스는 레드하우스로 이주한 뒤 실내장식에 2년을 소요했다.
이 집은 모리스와 제인의 신혼집이었을 뿐만 아니라 미술공예운동의 요람이 되었다.


모리스는 친구들과 가구를 만드는 협동 과정에서 1861년에 장식공예회사인 모리스 마셜 포크너 사Morris, Marshall, Faulkner & Co.를 레드하우스에서 설립했다.

한 번의 조직 개편 후 1875년부터 ‘모리스상회’로 불렸다.
모리스상회의 설립취지는 모든 시대와 모든 나라의 장식미술을 연구하고 유리창과 벽장식, 조각품, 가구, 금속공예의 설계와 생산이었다.
단순성과 유용성, 품질과 아름다움은 작업의 원칙이었다. 어떤 경우든 기계작업은 생산과정에서 제외되었는데, 모리스가 모든 기계작업을 생활조건으로서는 해로운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모리스의 토지에는 회사설립 취지서 등을 갖춘 전시실과 사무실들이 있었고, 이 모든 것들은 가구, 스테인드글라스, 금속제품, 보석, 벽지, 수놓은 태피스티리 제작의 모든 과정이 장인의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모리스는 노동자 대학에서 스테인드글라스를 제작하는 장인들을 발견했으며 유스턴Euston에 있는 소년의 집 출신의 소년들을 고용했다.
많은 친구들이 디자인과 집무를 맡아서 도와주었다.
모리스는 쉬지 않고 일했다. 품질 좋고 가치 있는 수공예품은 생산단가가 너무 비쌌기 때문에 그의 고객은 주로 건축가들로, 이들은 진보적인 미술애호가이거나 영국 국교회 고교회파 교회를 설립하는 돈 많은 건축가들이었다.
부자들의 추잡한 사치를 위한 공예품을 생산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으므로 모리스는 시장에 적합한 상품을 개발해야 했으므로 등나무를 세공해 제작한 가벼운 ‘서식스 의자 Sussex Chair’를 생산해냈고 이 의자는 모리스상회의 인기 있는 상품이 되었다.


모리스상회의 제품은 19세기 후반의 영국 산업디자인과 실내장식 디자인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대중의 취향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모리스상회에서 제작된 제품들은 라파엘전파와 관련이 있는데, 종종 중세를 소재로 한 라파엘전파 회화의 소품들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제품은 라파엘전파 회화에서 뽑아내서 삼차원의 존재물들로 제작한 것처럼 보였다.
가구, 타일, 태피스트리 등은 라파엘전파주의 디자인은 아닐지라도 그들에게서 영감을 얻은 것이며 거의 완벽하게 역사주의적이었다.
모리스는 오백 년 전의 세계에 속한 것을 새롭게 만들었다.
이는 이상화된 중세로 돌아가려는 빅토리아 시대 정신의 정점을 나타낸 예 가운데 하나이다.
모리스가 중세의 모티프에 의존하여 디자인한 가구, 스테인드글라스, 벽지, 직물 등에 나타난 양식화된 꽃과 유기적인 형태는 미술공예운동 전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디자인에서의 유용성과 미에 대한 생각은 그의 사회주의 원칙과 결부되어 그를 미술공예운동의 중심인물로 자리 잡게 했다.


모리스는 1862년에 벽지 디자인을 시작하여 1864년 첫 번째 그룹의 벽지를 생산했다.
수년 동안 이 디자인의 뒤를 이어 다른 디자인들이 나왔는데, 패턴들이 때때로 커튼이나 의자의 커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직물에도 이용되었다.
그는 1877년에 베틀을 입수하여 천을 짜기 시작했으며, 그의 야심은 위대한 일러스트레이션 태피스트리를 생산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일러스트레이션이란 문학작품을 회화로 그린 것을 말한다.
이 태피스트리의 배경을 모리스가, 인물들을 번-존스가 맡았다.
로제티는 모리스상회가 설립될 때 주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디자인을 한두 개 했으나 상회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켐스콧 출판사는 존속한 8년 동안의 기간에 53권의 책을 발간했다


모리스를 후원한 사람들이 주로 고딕부활을 추진하던 건축가들이었으므로 모리스상회가 스테인드글라스를 전문으로 제작한 건 당연했다.
로제티, 번-존스, 브라운 모두 창문을 디자인했다. 번-존스는 특히 이 일에 숙련되어 있었고, 1857년에 이미 1850년 토머스 스티븐스Thomas Stevens의해 설립된 브래드필드 대학Bradfield College을 위해 라파엘전파주의 창문을 디자인한 적이 있었다.
그 뒤에도 노동자 대학에서 스테인드글라스 디자인을 가르쳤으므로 모리스상회가 설립될 즈음에는 이 분야에서 경험 있는 장인이었다.
그는 모리스가 제작한 창문의 인물들을 책임졌으며, 그의 작품을 영국에 있는 많은 교회에서 볼 수 있다


모리스는 1871년에 로제티와 함께 공동으로 옥스퍼드에 있는 켐스콧 저택Kelmscott Manor을 빌렸다.
템즈 강가에 위치한 켐스콧 저택은 1892년에 인쇄와 책 디자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서적애호가인 모리스가 설립한 켐스콧 출판사Kelmscott Press가 발간한 <미지로부터 온 소식 News from Nowhere>의 권두화로 소개되었다.
켐스콧 저택은 로제티가 공동의 거처를 떠난 1874년 이후부터 1896년까지 모리스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1600년경 중세의 평면도를 바탕으로 건축되고 17세기 후반에 측면이 확장된 이곳을 모리스는 휴양소로 사용했다.
그루지아 양식의 이 저택은 중세양식으로 제작된 무거운 가구, 직물로 짠 커튼, 꽃무늬 벽지로 장식되었다.
마구간과 마차를 두는 헛간에는 카펫 제작소가 설치되었으며 벽걸이용 태피스트리도 이곳에서 생산되었다.
켐스콧 저택에 대한 애착이 유달랐던 그는 1878년에 런던의 해머스미스Hammersmith에 집을 산 뒤 ‘켐스콧 하우스’라고 불렀다.


켐스콧 출판사는 개인 인쇄소의 선구자가 되었다.
중세의 채색필사본을 참고로 하여 북 디자인과 출판기술을 혁신시키고자 한 모리스는 장식적인 글자체와 가장자리 장식, 활자서체를 디자인했으며 특히 중세의 고딕활자를 부활시켰다.
켐스콧 출판사의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는 중세 시문학자 제프리 초서의 작품집 <켐스콧 초서 The Kelmscott Chaucer>였다.
556페이지 분량의 이 책에는 번-존스가 그린 86점의 목판화와, 모리스가 가선장식(책 가장자리 장식), 표지, 장식글자를 위해 그린 600점이 넘는 디자인을 포함되었다.
제작하는 데 5년이 소요된 <켐스콧 초서>는 가장 비용이 많이 든 프로젝트였다.
<켐스콧 초서>는 모리스가 타계하기 몇 달 전인 1896년 10월 3일에 출간되었다.


모리스의 중세주의에는 낭만적 요소도 있었고, 이런 요소는 그와 공동으로 일했던 라파엘전파 미술가들에게 좀 더 현저한 특징으로 그들이 디자인 분야에서 한 작업도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1892년 켐스콧 출판사에서 다시 찍어낸 모리스의 사회주의 산문 <존 볼의 꿈 A Dream of John Ball>(1886-67)의 첫 페이지는 그가 지속해온 공동 작업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서 모리스는 본문과 레터링을 맡았고 번-존스는 그것에 완벽하게 어울리는 삽화를 담당했다.
<존 볼의 꿈>에서 근대의 화자는 자신이 1381년 농민혁명 시대에 켄트에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농민혁명은 1351년에 의회가 농업노동자의 임금을 동결하는 노동자조례를 통과시킨 데 대한 불만으로 1381년 와트 타일러Wat Tyler가 잉글랜드 남부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반란의 주도자 와트 타일러가 살해됨으로써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으나 농노제 폐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존 볼의 꿈>의 본문에는 농민들이 외치던 구호인 ‘아담이 땅을 파고 이브가 실을 잣던 시절에 누가 신사였는가?
When Adam delved and Eve span/ Who was then the gentleman?'가 적혀 있다.


켐스콧 출판사는 존속한 8년 동안의 기간에 53권의 책을 발간했다.
이 출판물 가운데 모리스의 첫 번째 저작인 <반짝이는 평야에 관한 이야기 The Story of the Glitting Plain>를 포함하여 그의 저작만 23권, 중세 작가들의 저작 22권 그리고 나머지는 동시대 서정시인들의 작품집이었다.


모리스는 근대문명에 대한 증오에 이끌려 정치활동에도 관여했다.
그는 1883년에 사회주의민주연맹에 가입하고 ‘사회주의자를 위한 노래’를 썼다.
1882년에 카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1818-83)의 <자본론 Das Kapital>(1867)을 읽고 자신의 신념이 그 책에서 증명된 것을 발견했다.
현재 <자본론>은 3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마르크스가 자신의 손으로 간행한 것은 제1권 자본의 ‘생산과정’(1867)뿐이며 그가 타계한 뒤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1820-95)가 유고를 정리하여 1885년에 제2권 ‘자본의 유통과정’, 1894년에 제3권 ‘자본제적 생산의 총 과정’이 출간되었다.
<자본론>은 시민사회,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의도한 것이다.
모리스는 2년 동안 전국을 여행하며 보다 인간적인 미래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강연했다.
그는 급진주의적 성향 때문에 마침내 체포되었지만 예술가로서 그리고 문학가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여 곧 석방되었다.
그는 1890년대에도 정치적 활동을 계속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1834~96)


영국 시인, 예술가, 공예가, 장식가, 사회운동가 윌리엄 모리스는 옥스포드 대학에서 공부했고 그곳에서 번 존스Sir Edward Coley Bume-Jones(1833~98)와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번 존스는 모리스를 만나 미술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고 이탈리아계 영국 화가, 시인 단테 가브리엘 로제티Dante Gabriel Rossetti(1828~82)와의 만남이 그로 하여금 화가로 전향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또한 러스킨과 영국의 건축가 퓨진Augustus Welby Northmore Pugin(1812~52)의 저작을 읽으면서 시를 Tm고, 중세 건축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모리스는 1861년에 장식 공예 회사인 모리스 마셜 포크너 회사를 설립했으며, 로제티와 번 존스, 매독스 브라운, 피립 웨브 등이 구성원으로 참여했다.
모리스는 이 회사를 통해 19세기 후반의 영국 산업 디자인과 실내장식 디자인 부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대중의 취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모리스의 벽지 디자인은 아주 유명해졌는데, 디자인계에 끼친 그의 영향은 가구, 태피스트리, 스테인드 글라스, 가구에 사용하는 직물, 카펫 등 많은 분야에 걸쳐 있었다.
태피스트리는 그의 공장에서 자신이 직접 만들었다.
1891년에는 인쇄와 책 디자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켈름스콧 인쇄소Kelmscott Press를 창립하여 개인 인쇄소의 선구자가 되었다.
모리스가 1871년부터 살던 옥스포드 근교의 마을 이름을 딴 켈름스콧 인쇄소에서는 1891년부터 모리스가 죽은 지 2년 후인 1898년까지 55권 총 65책을 발행했다.
모리스는 책을 폈을 때 보이는 양페이지를 기본 단위로 해서 화자체, 테두리, 장식 그리고 속표지의 대부분을 스스로 디자인했다.
그는 활자 서체를 다지안하고 특히 중세의 고딕 활자를 부활시켰다.

모리스는 예술을 노동에 대한 즐거움의 표현으로 정의하고 미술의 개념을 사치의 한 속성으로 보고 거부했다.
또한 미적 활동은 생활 전체를 감싸안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특히 보편적인 수공예라는 이상에 몰두했다.
그는 중세 시대는 유럽 역사의 다른 어느 시대보다도 예술과 생활이 하나로 융화되고 보편적인 수공예가 살아 숨 쉬던 시대라는 신념으로 중세주의 사상을 주창하고, 그와 같은 시대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의 구제도 가능하다고 믿었다.
그의 중세주의에는 낭만주의적인 요소도 있었다. 이는 그와 공동으로 일했던 라파엘 전파의 예술가들에게 좀 더 현저한 특징으로 그들이 디자인 분야에서 한 작업도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그가 주창한 보편적인 수공예라는 이상과 수작업에 대한 찬미는 근대적인 기계 생산과 맞닥뜨리면서 점차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일상생활 속에서의 좋은 디자인과 숙련된 장인 정신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영국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오랫동안 영향을 끼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1834-96)>





영국의 미술공예운동을 대표하는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1834-96)는 1834년 3월 24일 런던 근교 에섹스Essex의 월탐스토Walthamstow에서 부유한 사업가 집안의 9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성공한 주식중개인이자 구리광산의 공동 소유주였으며, 그 덕분에 모리스 가족은 유복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집 주변의 에핑 숲Epping Forest과 어린 시절에 방문한 중세기 영국의 정신적 중심지로 6세기에 건립된 캔터베리 대성당Canterbury Cathedral은 어린 모리스에게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아버지가 오십 세로 타계한 이듬해 열네 살의 모리스는 말버러 대학Marlborough College에 입학했으며, 학교 친구들은 그가 땅땅한 몸에 강한 인상을 풍기는 검은 곱슬머리로 온순하고 친절하지만 성을 내면 두려울 정도라고 기억했다.
어릴 적부터 책벌레로 소문난 모리스는 중세 기사의 세계와 식물학에 관심이 많았다.
말버러 대학에 재학할 시기에 그는 환경에 대한 새로운 강조와 라파엘전파주의의 중세적 경향을 받아들였다.
아버지와 달리 돈의 유혹에서 벗어나 성직자가 되기 위해 신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1853년 옥스퍼드로 가서 엑서터 대학Exeter College에 입학한 모리스는 그곳에서 18세기 말 영국의 산업혁명을 선도한 중심도시인 버밍엄Birmingham 출신의 젊은 에드워드 번-존스를 만났다.
시를 좋아한 번-존스에게는 종교개혁 뒤 생긴 영국국교 가운데 한 유파로 예배와 성직의 중요성을 강조한 고교회파the High Church(or Puseyite school)의 성향이 있었다.
모리스와 번-존스의 우정은 비슷한 취향과 새로운 발견에 대한 공통된 관심에 근거했다.
중세의 낭만주의 세계에 빠져든 두 사람은 르네상스 이전의 회화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었지만 여러 해에 걸쳐 북프랑스와 벨기에를 여행하며 샤르트르, 루앙, 아미앵 등의 고딕 성당을 방문하고 훗날 인생 최대의 기쁨이었다고 토로했다.
두 사람은 또한 보들리 도서관Bodleian Library에 소장되어 있는 장식필사본들을 연구하며 독일 르네상스의 가장 위대한 화가, 판화가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urer(1471-1528)의 판화복사본을 보고 감명을 받았다.
두 사람은 비슷한 사고를 가진 친구들과 함께 그룹을 만들고 스스로를 형제단The Brotherhood으로 불렀다.


모리스와 번-존스는 러스킨이 밀레이와 함께 글렌핀라스에 있을 때 쓴 에든버러Edinburgh 강의의 출판을 계기로 라파엘전파에 관해 알게 되었다.
두 사람은 헌트, 밀레이, 브라운, 로제티의 작품을 보았고, 그들에게 감동을 준 작품은 로제티가 1853년에 그린 <베아트리체의 머리를 그리고 있는 단테 Dante Drawing the Head of Beatrice>였다.
두 사람은 성직자가 되려던 계획을 포기했다.
모리스는 건축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옥스퍼드에서 중세 부활을 지향하는 가장 독창적이며 힘 있는 건축가들의 사무실 가운데 하나인 G.E. 스트리트G.E. Street의 사무소에 자리 잡았다.
번-존스는 화가가 되고자 했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는데, 로제티가 그에게 영웅이 되었다.
노동자 대학 구내였던 그레이트 오먼드Great Ormond 가에서 번-존스는 로제티를 보았을 뿐만 아니라 소개받았으며, 그 뒤 블랙프라이어스Blackfrias 다리 근처에 있는 그의 화실을 방문했다.
그는 로제티의 지도하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한편 모리스는 옥스퍼드에 남아 일 하면서 일주일에 한 번씩 그들을 만나기 위해 런던으로 갔다.


로제티의 영향이 젊은 수습건축가에게 점차 커져갔다.
모리스가 일하던 사무소가 런던으로 이전한 뒤에 모리스와 번-존스는 라파엘전파 후기시절에 로제티와 데버럴이 사용했던 레드 라이언 광장의 방으로 이사했다.
건축에 관심이 없던 로제티가 모리스로 하여금 건축을 그만두고 그림을 그리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일 년에 900파운드의 수입을 올리던 모리스는 이를 감당할 수 있었고 시적 재능이 있는 사람은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로제티의 확신에 찬 말에 쉽게 흔들렸을 것이다.
모리스는 1857년 봄과 여름에 드로잉과 회화를 열심히 그렸지만, 영국의 기사이면서 작가 토머스 맬러리Thomas Malory(1408-71)의 산문 대작 <아서 왕의 죽음 Morte d'Arthur>(24권, 1485)에서 주제를 가져와 제대로 된 유화를 처음 시도했을 때 실망스러운 결과를 초래했다.
그때 레드 라이언 광장의 방에 가구가 없었기 때문에 그와 번-존스 그리고 로제티는 각자의 디자인에 따라 장식적 가구들을 만들기 시작했다.
로제티는 찬장의 문 위에 유화를 그리기로 했고, 번-존스는 자신의 옷장을 ‘영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프리 초서의 <수녀원장의 이야기 Prioress's Tale>에서 따온 장면들로 뒤덮었다.
모리스는 자신의 재능이 패턴 만들기와 디자인에 있음을 알았고, 주변 환경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몹시 열의를 느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