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 오가이
구로다가 파리를 떠나기 3년 전 모네는 이미 로댕과의 2인전을 통해 조각에서는 로댕 회화에서는 모네라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화가로 알려지고 있을 때였다.
모네는 1890년 늦여름부터 건초더미를 모티프로 그리기 시작했다.
늦여름부터 겨울 한철에 이르는 계절의 변화에 의해 달라지는 인상을 포착했는데 건초더미의 그림자 모양과 길이가 언제 어디에서 그렸는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시인 말라르메는 건초더미 그림을 보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모네는 그림을 그릴 때 과학자와도 같은 태도로 일기와 시각에 따라 변하는 빛을 관찰했으며 그것이 거의 과장되어 나타났기 때문에 그의 그림을 사실주의로 분류하더라도 쿠르베와 휘슬러의 작품에 비하면 덜 사실주의적이었다.
모네가 1891년 봄부터 가을까지 그린 포플러 시리즈도 마찬가지로 과장되어 나타났다.
인상주의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것이다.
일본 화가들이 그린 인상주의 그림에서는 이런 요소가 전혀 발견되지 않고 초기 인상주의 화가들의 양식만 나타나는 것이 특기할 만하다.
구로다가 친구들과 함께 동경미술학교에 교수로 초빙되면서 바야흐로 일본에서의 본격적인 서양화 교육이 시작되었다.
그에 의해서 서양화는 동경의 대상이 아니라 본고장 유럽과 직결되는 존재로 부상되기 시작했다.
구로다에 의해 인상주의에 근거한 아카데미즘으로 대변되는 이 학교의 화풍은 일본 관전의 지배적인 풍조가 되었으며 이곳에서 수학한 조선 유학생들에게까지 영향을 주었다.
아카데미즘이란 말은 예술에 관해 사용할 때 부정적인 이미지로 예를 들면 매너리즘화된 형식주의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말은 19세기에 미술학교라는 제도 특히 프랑스 아카데미 데 보자르를 통해 그곳에서 공부한 예비화가에게 전수된 회화기법이며 또한 회화의 이념이기도 했다.
감각에 호소하는 색채보다도 명암이나 선을 지적으로 간주하여 중시하고, 기법적으로는 연필 자국이 보이지 않게 표면을 정성들여 마무리하는 것이 특색이었다.
주제에 관해서는 역사화, 신화화를 정점으로 한 장르의 위계가 존재했다.
여기에 대립한 것이 아방가르드로서 쿠르베, 마네로 시작하여 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를 거쳐 야수주의, 입체주의로 발전해 간 진영이다.
일본 미술학교에서의 아카데미즘은 인상주의 양식을 가장 뛰어난 기법으로 가르친 것을 말한다.
당시 아방가르드는 선善, 아카데미즘은 악惡이라고 하는 도식을 금과옥조金科玉條로 삼은 사람들이 많았지만 이는 잘못된 판단이다.
아카데미
아카데미academy는 학문이나 예술을 목적으로 설립된 학교나 학습의 장소 또는 단체를 말한다.
아카데미란 말은 플라톤이 제자들에게 철학을 가르친 아테네 교외의 작은 올리브 숲의 명칭에서 유래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아카데미란 용어는 철학, 문학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학자 단체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16세기에 아카데미는 운영의 규칙이 확립되고 제도화되면서 좀더 광범위한 활동까지도 포함했다.
미술과 관련해서 아카데미는 르네상스 시대에 실용적인 문제를 토의하는 예술가들의 집단에서 사용되었다.
이런 의미로 보면 1500년경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1445~1510)의 작업장도 아카데미였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최초의 본격적인 아카데미는 1562년 코시모 1세 데 메디치Cosimo de’ Medici(1519~1574) 대공이 피렌체에 설립한 아카데미아 델 디세뇨였다.
코시모 1세는 피렌체에서 후기 르네상스의 지도적 위치에 있던 예술가들 특히 폰토르모, 브론치노, 암마나티, 첼리니, 조반니 볼로냐, 그리고 바사리 등을 자신의 주변에 모이게 하는 한편 우피치 미술관Galleria degli Uffizi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이다.
코시모 1세가 불러모은 예술가들의 아카데미아 델 디세뇨를 주도인 인물이 최초의 서양미술사를 쓴 바사리였다.
그의 목적은 종래의 길드의 지배로부터 예술가들을 해방시키고 이전 100년 동안 그들이 획득한 사회적 지위를 굳히는 것이었다.
미켈란젤로와 코시모 1세 대공이 지도자로 추대되었다.
36명의 예술가가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아마추어 예술가와 이론가들도 회원이 되었다.
기하학과 해부학 강의도 계획되었지만 작업장의 실기 지도에 대신 할 만한 의무적인 실기 훈련은 없었다.
미술 아카데미는 17세기 중반부터 말까지 독일과 스페인 등에도 설립되었다.
그리고 1720년에는 유럽에 약 19개의 아카데미가 개설되었다.
큰 변화가 18세기 중반에 있어났고 1790년까지 유렵에는 100개가 넘는 미술 아카데미가 존재했다.
영국 왕립미술원도 그 하나로 1768년 런던에 설립되었다.
이들 아카데미의 대부분은 새로운 의식으로서의 사회생활에 예술이 지닌 역할을 수행하기를 바라는 인식에서 생겨났다.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의 기운 속에서 아카데미 회원이 누리던 귀족주의적인 특권은 신랄한 비판을 받았고 자크 루이 다비드를 지도자로 한 많은 예술가들은 아카데미의 해산을 요구했다.
결국 프랑스 아카데미는 1816년 아카데미 데 보자르로 재출발했다.
실질적으로 아카데미를 위협한 것은 예술가를 천재로 본 낭마주의 작가의 개념이었다.
즉 예술가는 가르칠 수도 없고 규범에 종속될 수도 없는 영감의 빛으로 걸작을 창조하는 천재라는 관점이었다.
예술가가 곧 천재라는 개념은 18세기 영국의 저술가들 사이에서 처음 생겨났으며, 칸트가 이를 공식화했고, 괴테와 독일 낭만주의자들의 등장으로 촉진되었다.
사실 19세기의 모든 뛰어난 예술가들은 아카데미에 소속되지 않고 자신들의 작품을 전시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모색했다.
19세기 미술이 재평가되어 인상주의가 최종적으로 인정되었을 때, 예술가들과 부르주아 시만 사이의 이런 대비는 더욱 두드러졌다.
아카데미는 기존의 관습에 얽매여 변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권위를 유지했지만 진보적인 사람들로부터는 비난을 받았다.
아카데미의 자율화와 아카데미의 독점권을 타파한 미술학교의 증가로 양측 사이에 점차 타협이 이루어졌다.
아카데미는 어떤 예술가라도 개성적 시각으로 자신만의 순수한 재능을 드러낼 수 있는 수준의 장인 정신을 지지하게 되었으며 20세기에 들어 이런 변화의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1896년 동경미술학교에 서양화과가 개설되고 처음 서양미술사를 가르친 사람은 모리 오가이森鷗外였다.
오가이가 강의한 내용이 학생들의 필기 노트로 전해지는데 그의 강의가 덴신의 것과 다른 점은 그리스 이전 이집트와 앗시리아 미술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면서 17~19세기 미술에 중점을 둔 것이다.
서양화는 르네상스라는 고전에 바탕을 둔 원근법, 명암법, 그리고 인체의 완벽한 비례의 풍성한 수확을 거둔 후 17~19세기에 걸쳐 다양하게 유럽의 곳곳에서 꽃을 피웠으므로 3세기에 걸친 이 시기의 서양화를 중점적으로 가르쳤다는 것은 근대로의 이행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당연하고 또한 필수적이었다.
이런 경향은 이와무라 유키岩村透가 1899년에 서양미술사를 담당하면서 더욱 두드러졌다.
유키가 고대를 다루지 않은 것은 동경미술학교에서는 고대보다도 르네상스 이후 동시대 서양미술과 관련되는 작품에 더 큰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