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토Giotto
조토Giotto(1267-1337)에 관해서 상세하게 알 수 있는 것은 화가이며 건축가인 조지오 바사리가 1550년에 가장 탁월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인생(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에 관한 책을 남겼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가 1540년대 중반에 쓰기를 시작해서 1550년에 출판했는데 13세기 화가 조바니 치마부에로부터 시작해서 한창 유명해지고 있던 미켈란젤로(Michelangelo)에 이르기까지 120명의 대가들의 일대기를 기록했다.
그는 1568년에 재판하면서 자료를 더욱 보충했으며, 생존하는 예술가들을 보탰고, 예술가들의 목판화 초상화를 삽입했으며, 각장에 서문을 달고 이해하기 쉽도록 색인도 만들어 넣었다.
바사리의 저서는 오늘날 이태리의 르네상스(Renaissance)가 어떻게 시작해서 어떻게 꽃을 피고 결실을 맺었는지를 알게 해주는 근본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바사리는 미켈란젤로와 티치아노(Titian) 그리고 수십 명의 고명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과 교류했고 교황, 왕자, 저명한 인사들도 알고 있었으므로 저서에 나타난 내용은 생생한 증언과도 같은 것이다.
바사리는 조토가 10살 때 영리함을 나타냈고 그의 영리함은 아버지만 즐겁게 한 것이 아니라 동네와 동네 밖의 사람들에게도 즐거움을 주었다고 했다.
그는 또 다음과 같은 에피소드를 기록했다. 하루는 치마부Giovanni Cimabue(1240-1302)가 사업차 플로렌스로부터 베스피냐노Vespignano로 가던 중에 조토가 양으로 하여금 풀을 뜯어 먹게 하고는 끝이 약간 뾰족한 돌로 평편하고 잘 닦인 석판에 그 양을 모델로 그리고 있는 것을 보았다.
조토는 누구에게도 배우지 않았는데 스스로 자연으로부터 배워서 그리고 있었다.
치마부에는 걸음을 멈추고 서서 놀라운 장면을 보고는 조토에게 자기와 가서 함께 살지 않겠느냐고 물었다.
조토는 아버지가 허락하신다면 가겠다고 대답했다.
치마부에는 본도네에게 물어 허락을 받은 뒤 조토를 데리고 플로렌스로 갔다.
바사리는 조토가 자연을 모방함으로써 스스로 익히고 또 치마부에로부터 배워서 조야한 그리스인의 방법을 완전히 버리고 현대의 그리고 훌륭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고 적었다.
바사리는 그리스인의 회화방법을 조야하다고 했는데 그는 이태리 회화의 우수함을 역설했으며 치마부에가 그리스인의 회화방법으로부터 독자적으로 그림을 그린 첫 예술가들 중 한 사람이라고 앞서 극찬한 적이 있었다.
조토의 자연주의 회화방법을 바시리는 처음부터 극찬하면서 그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갔다.
바사리는 1550년 현재 과거 200여 년이 넘도록 어느 화가도 조토와 같은 훌륭한 자연주의 방법을 사용하지 못했음을 지적했는데 지나친 칭찬이 아니었다.
조토는 플로렌스의 포데스타(Podesta) 궁전에 있는 예배당 내부를 장식하면서 아주 가까운 친구이면서 유명한 시인 단테Dante Alighierri(1265-1321)의 초상화를 라티니Brunetto Latini의 초상화와 나란히 그렸는데 라티니는 단테의 스승이다.
두 사람 뒤에 서 있는 사람은 당시 시민 도나티Corso Donati이다.
단테는 다음과 같은 말로 조토를 극찬했다.
“치마부에가 회화 분야를 장악한 사고였지만 이제 조토가 유일한 목소리이다. 치마부에의 명성은 그만 어두워지고 말았다.”
단테에게 치마부에는 중세의 전통 스타일의 대가였고 조토는 현대 회화를 창조한 사람으로 이를 증거 할 만한 그림들이 플로렌스에 얼마든지 있었다.
조토가 회화에 자연주의 스타일을 회복시켰다는 것이 당시 예술가, 학자, 시인들의 한결같은 찬양이었다.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1313-75)와 페트라크Francesco Petrarch(1304-74)도 조토에게 찬사를 아끼지 않았는데 페트라크는 조토를 고대 그리스의 신비적인 화가 아펠레스Apelles에 비유했다.
예술가 첸니노 첸니니Cennino Cennini는 조토가 타계한 지 50년이 지난 후에 그의 회화적 언어가 완전히 신선했으며 회화사에 있어 근본적으로 혁명적이었다면서 “조토가 그리스인의 미술을 라틴 사람의 것으로 만들었고 또한 현대의 것으로 만들었다”고 조토를 이태리 최고의 예술가로 꼽았다.
이 같은 말을 기베르티Ghiberti가 반복했다.
이탈리아 사람들에게 조토는 우상과도 같은 존재가 되었는데 중세의 어두움을 깨뜨리고 회화에 다시 희망을 주는 빛을 나타낸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고전적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회화를 재생시킨 위대한 예술가로 받아들여졌다.
재생은 바로 르네상스의 정신인 것이다.
조토는 벌써부터 르네상스의 길을 닦았던 아방가르드 예술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