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네의 <늙은 음악가>


19세기 중반, 파리에는 건축 붐이 일고 있었고 유럽의 모든 철로가 파리로 통하도록 새로운 철로들이 건설되고 있었습니다. 아파트들이 여기저기에 들어서고 기차역이 생겨 많은 사람이 파리 시내로 몰려들자 파리의 인구는 매우 빠른 속도로 늘어났습니다. 파리는 현대화되면서 유럽의 수도로서의 면모를 갖추어가고 있었습니다. 바티뇰Batignolles에는 파리의 중심으로 향하는 기차와 차들의 커다란 정거장이 있었습니다. 바티뇰 블바드에는 걸인과 집시들이 많았고, 마네는 그들을 모델로 그림을 그렸습니다.
 

(작품은 Daum의 '광우의 문화읽기'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마네의 <압생트 마시는 사람 The Absinthe Drinker>, 1858-59, 유화, 181-106cm.

601

와토의 <피에로 Pierro>, 1715-21년경, 유화.

이 피에로는 이탈리아 코미디언 배우로서 와토Jean-Antoine Watteau(1684-1721)가 파리에 있는 카페를 장식하기 위해 그린 것입니다. 18세기 프랑스에서 코미디는 인기가 있었습니다.

지붕기와공의 아들로 태어난 와토의 어린 시절은 불행했습니다. 와토는 어렸을 적부터 소설과 음악을 매우 좋아했으며, 엉터리 약을 파는 약장수들을 모델로 스케치하는 남다른 취미를 보여 부모가 그를 집 근처 화가의 화실로 보내 그림 공부를 하게 했습니다. 열여덟 살 때 무일푼으로 파리에 상경한 와토는 그림을 전문으로 그리는 작업실에서 일하면서 실물을 모델로 아주 많은 그림을 그렸고, 이것이 그의 재능을 드러나게 해주었습니다. 그는 무대 배경을 그리는 뛰어난 장식가 클로드 질로의 눈에 띄어 그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와토를 유명하게 한 작품은 코미디언을 그린 것 외에 오페라 발레 그림이었습니다.

023

마네의 <늙은 음악가 The Old Musician>, 부분

022

마네의 <늙은 음악가 The Old Musician>, 1862년경, 유화, 188-249cm.

마네는 앞서 그린 <압생트 마시는 사람 The Absinthe Drinker>이 마음에 들어 그 그림을 이 작품 오른편에 그대로 삽입했습니다. 왼편 아이를 안고 있는 소녀와 두 소년도 따로 그려서 이 작품에서 하나로 합성하여 완성시켰습니다.


마네가 서른 살에 그린 <늙은 음악가>는 이질적인 인물들을 배열하여 구성한 그림입니다. 늙은 음악가는 마네의 화실 부근에 살던 바이올린 연주자 집시 장 라렌느로 늘 술에 취해 있던 그는 경찰들로부터 몹시 천대받았습니다. 마네는 라렌느를 캔버스 중앙에 고대 철학자의 모습처럼 앉히고 아이들의 호기심과 사랑을 받는 순진한 사람으로 묘사했는데, 그리스 철학자를 묘사한 헬레니즘 조각을 변형한 것입니다. 그는 루브르 뮤지엄에 있는 이 조각을 모사한 적이 있습니다. 모자를 쓴 흰색 옷을 입은 아이는 와토의 <피에로 Pierro>를 상기시키고, 그의 어깨에 오른손을 얹고 놀라운 시선으로 늙은 음악가를 바라보는 아이의 얼굴에는 호기심이 가득합니다. 아이를 안고 있는 소녀도 마찬가지로 호기심에 찬 눈으로 늙은 걸인을 바라보는데 라렌느는 마치 기념촬영이라도 하는 듯한 모습으로 관람자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압생트 마시는 사람>이 그 옆에 걸터앉아 그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보杜甫의 술에 취하여醉時歌

 

 

 

 

諸公袞袞登臺省제공곤곤등대성; 관료들 줄줄이 높은 벼슬 오르는데

廣文先生官獨冷광문선생관독냉; 광문선생 벼슬만이 홀로 쓸쓸하고

甲第紛紛厭粱肉갑제분분염량육; 즐비한 고급 저택 고량진미 넘치는데

廣文先生飯不足광문선생반부족; 광문선생 끼니조차 잇기 어렵구나.

先生有道出羲皇선생유도출희황; 선생의 덕 복희씨 보다 뛰어나고

先生有才過屈宋선생유재과굴송; 재주는 굴원과 송옥을 뛰어 넘는데

德尊一代常坎軻덕존일대상감가; 덕은 일세 제일이나 항상 불우하니

名垂萬古知何用명수만고지하용; 이름만 만고에 날린들 무엇하리.

杜陵野老人更嗤두릉야노인경치; 두릉의 촌 늙은이 사람들이 비웃으니

被褐短窄鬢如絲피갈단착빈여사; 베옷마저 초라하고 머리칼은 헝클어져

日糴太倉五升米일적태창오승미; 태창미 닷 되를 사 하루하루 연명하며

時赴鄭老同襟期시부정노동금기; 때때로 정노인과 마음을 나누네.

得錢卽相覓득전즉상멱; 돈이라도 생기면 서로를 찾고

沽酒不復疑고주부복의; 술을 사는 데는 눈치 보는 일이 없이

忘形到爾汝망형도이여; 겉치레를 버리고 너 나 하는 사이지만

痛飮眞吾師통음진오사; 흠뻑 취함에는 진정 나의 스승이네.

淸夜沈沈動春酌청야침침동춘작; 밤은 깊어 가는데 술잔을 나누니

燈前細雨簷花落등전세우첨화락; 등잔 앞에 가랑비 처마 아래 지는 꽃

但覺高歌有鬼神단각고가유귀신; 소리 높여 노래하니 귀신이 흥 돋우고

焉知餓死塡溝壑언지아사전구학; 굶어 죽어 구덩이에 묻힐 걱정 잊었네.

相如逸才親滌器상여일재친척기; 재주 있는 사마상여 잔 씻는 일을 했고

子雲識字終投閣자운식자종투각; 유식한 자운은 몸을 던져 죽었으니

先生早賦歸去來선생조부귀거내; 선생도 일찌감치 귀거래사 읊으시게.

石田茅屋荒蒼苔석전모옥황창태; 자갈밭 황폐하고 이끼 띠 집 덮기 전에

儒術於我何有哉유술어아하유재; 유학이 우리에게 무슨 소용인가.

孔丘盜蹠俱塵埃공구도척구진애; 공자도 도척도 모두 티끌 먼지 된 걸

不須聞此意慘慘부수문차의참참; 이 말 듣고 슬퍼할 것은 없으니

生前相遇且銜杯생전상우차함배; 살아 만나는 동안 술잔이나 나누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장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신장에 대한 행법

 

1. 반듯하게 누워서 눈을 감고, 두 손은 주먹을 쥐고 양족 옆구리에 올려놓는다. 천천히 입으로 숨을 내쉬고 또 코로 들이쉰다. 왼쪽으로 누워 양손바닥을 비벼서 따뜻하게 한다. 오른손으로 등의 허리뼈 위, 등뼈의 오른쪽 부위 신장이 있는 곳을 아래위로 30회 문지른다. 오른쪽으로 돌아누워서 동일하게 행한다. 3-5회 반복한다.

 

도인의학에서는 생명 에너지의 근원인 정이 깃드는 곳으로서 장기 중에 신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신은 정을 간직하고 발육과 생식을 맡아본다는 말에 그러한 견해가 나타나 있다. 정이 다할 대 인간의 수명은 끝이 난다. 그리고 정이 성의 기능을 직접 지배한다. 신장에 이상이 생기면 성의 기능도 쇠퇴한다.

신장을 피를 걸러서 소변을 만들고 요관을 통해 소변을 방광으로 내보낸다. 방광에 모인 소변은 요도를 통해 배설된다. 요도는 음낭을 거쳐 성기에 이어져 있다. 도인의학은 신장으로부터 성기까지 하나로 이어진 것으로 본다.

 

신장, 방광, 요도의 기능이 약해지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소변보는 횟수가 줄어든다. 건강한 사람이 하루 10회 소변을 본다. 만약 그 횟수가 5-6회 이하라면 신장이나 방광의 기능이 약해진 것이다. 밖으로 나오지 않는 소변은 몸에 괴어서 발아니 얼굴을 붓게 만든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의 분비가 불균형하면 소변이 유방에 괴어서 거대한 앞가슴이 된다.

소변보는 횟수가 많아진다. 이것은 요도가 좁아지거나 전립선염으로 압박받았을 경우이다. 1회 배설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횟수가 늘어나는 것이다. 특히 밤에 자다가 소변을 보기 위해 깨는 횟수가 한 번이면 문제가 없지만, 두 번 이상인 날이 여러 날 계속되면 이상이 생긴 것이다.

허리에 살이 쪄서 잘록한 데가 없어진다. 이것은 신장이 비대해지고 요관이 노환된 것이다.

눈언저리에 꺼멓게 멍이 들거나 얼굴이 거무스레해진다. 이것은 신장의 기능이 쇠약해져서 피를 충분히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선천적으로 피부색이 검은 사람도 대부분 신장의 기능이 약하다. 유전적으로 신장이 약한 것이다. 신장 행법을 하면 피부가 하얘진다.

땀을 잘 흘리는 사람은 신장이나 방광의 기능이 약하다. 소변에 의한 수분 배설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땀의 양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2. 욕조 안에서 두 다리를 뻗고 앉는다. 끓어 앉은 자세도 좋다. 오른손을 등 뒤로 돌려 오른쪽 신장 부위의 살을 엄지와 검지로 집고 30회 문지른다.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왼손으로 왼쪽 신장 부위를 집고 30회 문지른다. 다음으로 양손바닥을 신장 부위에 대고 아래위로 30회 이상 마찰한다. 이것을 3-5회 반복한다. 기분이 좋아지고 의욕이 솟구칠 것이다.

 

3. 양쪽 엄지발가락을 포개고 꿇어 앉아 호흡을 고르고 마음을 안정시킨다. 두 팔을 무릎 앞에서 어긋나게 하여 손으로 무릎을 각각 누른다.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윗몸을 일으키고 고개는 뒤로 깊숙이 젖힌다. 이때 손을 무릎에서 떼지 않도록 한다. 뒤에 기대는 기분으로 하는 것이 요령이다. 숨이 괴로워지기 직전에 입으로 숨을 내쉬면서 두 팔을 무릎 앞에서 어긋나게 한 자세로 돌아온다. 이상을 9회 되풀이 하는데, 3회마다 좌우 손을 바꾸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슬람교 내에서도 이슬람주의처럼 다원주의를 거부하는 성향이 있

 

 

 

 

 

 

이슬람교 내에서도 이슬람주의처럼 다원주의를 거부하는 성향이 있다. 성문화된 샤리아가 없고, 무슬림이 샤리아를 보편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샤리아를 고집하는 이슬람주의자들에게 “어떤 샤리아를 말하는 것인가?” 라고 묻고 싶다. 샤리아화는 신정법의 탈을 쓴 독단정치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슬람주의는 전체주의 조직법을 일반법으로 취급하여 시행한다. 융통성 있는 해석법과는 달리— 코란과 하디트를 해석하는 수니파 샤리아 학파(마다힙)와 개인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졌다— 현대 샤리아화는 전체주의 방식으로 정치를 규정하며, 법치질서를 고려한 이슬람교의 재창조를 제안한다. 과거에는 샤리아의 정치적 역할이 칼리프에게 법적 정당성을 부여하여, 통치자의 정치적 결정이 샤리아와 일치한다고 공포하는 데 그쳤다. 당시 율법사들은 판결의 독립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므로 굳이 헌법의 영역에 뛰어들 이유가 없었다. 어떤 샤리아를 염두에 두고 있는지 어느 이슬람주의자에게 물을 땐 세 가지 방식을 일러주는데, 이를 시대 순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란에서 샤리아가 기록된 구절(우리가 너희에게 바른 길[샤리아]을 마련하니 이를 따르라)은 하나밖에 없다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할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전통적인 샤리아는 법이 아니라 도덕으로 이해해야 한다. 코란에 기록된 대로(선을 권하고 악을 금한다)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샤리아는 행실의 도덕과 최고의 선이지 법체제가 아니다. 무슬람 학자들은 이러한 사상을 되살리고, 이슬람주의 정치를 샤리아화해야 한다는 민중의 요구는 반박하며, 인권에 위배되는 독단적인 법체제를 당당히 거부해야 마땅하다.

 

둘째, 8세기 당시, 4명의 무슬림 서기관 아부 하니파, 이븐 한발, 알샤피, 말리크 빈 아나스는 각각 자신의 이름을 따서 수니 이슬람교의 율법학파를 세웠다. 네 학파는 지금까지 민법에 제한을 두면서도 예배식에 관련된 사안도 다루었다. 비무슬림의 종교적 자유에 대해 이슬람법은 유일신 숭배자(유대인과 기독교인들)만 인정하여 유일신을 믿는 소수집단으로서 제한된 자유를 누리게 했다.

 

셋째, 20세기 이슬람주의가 부상하자 샤리아는 국가의 질서라는 법적 기반으로서 정치적 구색을 갖추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샤리아의 근간은 이슬람교 역사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다. 8장에서 언급하겠지만, 이데올로기로서의 샤리아는 전체주의 통치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덕 윤리학의 동기

 

 

 

 

덕 윤리학은 플라톤이나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고전 이론가들에게서 전해진 유산으로 종종 설명된다. 그렇지만 도덕이론 분야에서는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알려졌다. 19세기와 20세기에(아마 훨씬 이전부터) 걸쳐, 영어권에서는 공리주의와 의무론 사이의 논쟁이 도덕철학의 주류를 이루었다. 여기서 의무론을 대변한 것은 기독교 윤리나 칸트주의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면, 일부 철학자들이 이 논쟁에 싫증을 느끼기 시작한다. 그들은 이 논쟁이 도덕적 고려에 마땅히 포함해야 할 커다란 영역을 빼놓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멀리 성 토마스 아퀴나스를 거쳐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도덕연구의 전통을 되살리려고 시도한다. 독자들은 도덕철학의 발전과정을 되짚어 올라가는 이 운동에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을지 모른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은
204 제2부 도덕이론의 세 가지 출발점 덕 윤리학이 오늘의 윤리문제를 조명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다.
하지만 무엇을 지지하는가보다 무엇에 반대하는가를 설명하기가 훨씬 쉬우므로, 덕 윤리학의 재등장에 관한 논의는 가치가 있다. 덕 윤리학은 공리주의나 칸트주의보다 훨씬 더 많은 청중을 거느린다. 하지만 현대의 덕 윤리학을 가꾸어놓은 가까운 선배들과는 기본적으로 전혀 다른 가정을 지닌 초창기 원조들의 이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어떤 합의가 이루어졌는지 확실하지 않다. 이 장에서는 덕이론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들을 두루 살펴보고, 이 폭넓은 이론을 향해 제기된 몇몇 비평을 검토하려고 한다. 먼저 일부의 철학자들을 덕 윤리학으로 돌아서게 한 도덕이론의 결함부터 살펴본다.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같은 이론에 제기된 한 가지 비평은 우정이나 사랑 같은 고귀한 인간관계를 제대로 다루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흔히 공리주의와 칸트주의는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보는 공정한 이론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인간은 일상에서 공정하게 행동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친구와 가족이 있고, 우리의 시간과 자원을 다른 어느 누구보다 친구, 자녀, 부모처럼 가까운 사람들을 위해 쓴다. 물론 친구를 좋아하는 데도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가까운 사람들이 아니라 하여 그들을 전적으로 도외시하는 것 또한 아니다. 모든 인간관계가 마피아 스타일의 ‘우리’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친구와 가족을 특별히 배려하며, 사랑과 믿음의 관계를 쌓아가는 것을 삶에서 큰 보람의 하나로 여긴다. 달리 말하면, 개인을 향한 충심에 큰 가치를 부여한다. 이렇게 보면, 공리주의와 칸트주의가 인간의 삶 가운데 매우 가치 있는 것에 대하여, 좋게 말하면 무관심했고 나쁘게 말하면 적대적이었음은 참으로 이상하다고밖에 할 수 없다.
그런데 이 문제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흔히 공정한 도덕론은 그 이론을 충실히 따르는 행위자를 버린다고 한다. 그 이론을 따르다 보면 자신의 삶이 곤경에 빠지기 쉽다는 것이다. 어떤 도덕론이라도 그 이론을 충실히 받드는 이상적인 행위자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모범적인 공리주의자나 칸트주의자는 그 이론의 공정성만을 따르고 받들다가 정작 자신의 삶을 살찌워줄 개인적인 계획을 소홀히 다루어, 마침내는 자기 희생적인 의무의 노예로 전락하고 만다는 것이다. 공리주의는 모범적인 추종자에게 지나친 부담을 안겨주면서 그들 자신이 기획하는 일을 버리고 오직 전체의 복지를 최대화하는 일에 매달리게 한다. 그런가 하면 칸트주의자는 늘 의무에 매달려 개인적인 계획이 도덕적 원칙에 들어맞는지를 점검하고 감시하기에 여념이 없다고 한다. 어떤 경우를 보더라도 순발력 있고, 활기에 넘치고, 스스로 쾌락을 찾고, 슬기롭게 살아가는 이상적인 행위자를 찾아볼 수가 없다. 자신 또는 자식들이 모름지기 저렇게 살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만한 삶의 본보기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다. 공정하다는 이들 도덕론의 어느 것도 이상적인 삶의 방식을 보여주지 못하기에, 이 사상들은 우리의 사고에 대하여, 나아가서는 우리의 행위에 대하여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