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이 누구입니까?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도 불리는 김병연金炳淵(1807~1863)은 조선 후기 시인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심性深, 호 난고蘭皐이다. 1811(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기 때문에 연좌제의 의해 집안이 망하였다. 당시 가산군수였던 정시鄭蓍는 반란군과 용감하게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하였으나 선천방어사였던 김익순은 국가안보의 중책을 맡고 있는 무관임에도 불구하고 반란군이 쳐들어오자 싸우기는커녕 즉석에서 항복해 버렸던 것이다. 이듬해 봄, 난이 평정되자 김익순은 역적이라는 낙인이 찍혀 처형당하고 말았다.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김성수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에 사면을 받고 과거에 응시하여 평소부터 가산군수 정시를 '천고의 빛나는 충신' 이라고 존경해왔던 반면 김익순을 '백번 죽여도 아깝지 않은 만고의 비겁자'라고 몹시 경멸해 오던 터라 김익순을 탄핵하는 글을 거침없이 적어 내려갔다.

장원을 차지한 그는 술 한잔 걸치고 기쁜 맘으로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에게 자랑을 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기뻐하기는커녕 눈물을 흘리며 이제까지 숨겨온 집안내력을 가르쳐주니 반역자 김익순이 바로 김병연의 할아버지였던 것이다.

반역자는 삼대를 멸하라는 그 당시의 법대로 김병연 역시 죽어 마땅하였지만 어머니가 아들 삼형제를 데리고 도망쳐 숨어살고 있었던 것이다.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얘기를 들은 김병연은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하고 죽을 생각도 하며 울기도 하다가 그의 아내와 낳은 지 얼마 안 되는 아이와 홀어머니를 뒤로한 채 방랑의 길을 떠나게 된다.

역적의 자손인데다 그 조부를 욕하는 시를 지어 상을 탔으니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여 삿갓을 쓰게 되었고 이름도 김병연 대신 김삿갓이라 스스로 부르게 되었다. 술을 좋아하고 금강산을 특히 좋아했던 그는 서민 속에 섞여 상류사회를 풍자하는 시를 짓고 재치와 해학으로 서민의 애환을 읊으며 한평생을 보내게 된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객사하였다. 유해는 영월군 태백산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후손들이 광주 무등산에 시비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그가 개성에 갔을 때에 어느 집 문 앞에서 하룻밤 재워주기를 청하자, 그 집주인은 문을 닫아걸고 땔감이 없어 못 재워준다고 했다. 이 때 그의 입에서 튀어나온 시가 이러했다.

 

 

개성인축객시開城人逐客詩

 

邑號開城何閉門 山名松嶽豈無薪읍호개성하폐문 산명송악개무신; 고을 이름이 개성인데 왜 문을 닫나. 산 이름이 송악인데 어찌 땔나무가 없으랴.

黃昏逐客非人事 禮義東方子獨秦황혼축객비인사 예의동방자독진; 황혼에 나그네 쫓는 일이 사람 도리 아니니 동방예의지국에서 자네 혼자 되놈일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