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을 보여주는 21세기 과학
레오 김 지음, 김광우 옮김 / 지와사랑 / 2009년 1월
평점 :
『신을 보여주는 21세기 과학』(知와 사랑): 역자 후기
제목: 형이상학의 부활
이 책을 번역하면서 나는 레오 김이 우리 존재의 궁극의 근거를 과학 지식을 바탕으로 한 형이상학의 논리로 부활시켰다는 깊은 인상을 받았다.
형이상학은 고대 그리스의 현인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확립되었다.
18세기의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가 형이상학이 이론적 학문으로서 가능한가 하는 회의적인 태도를 취한 이래 진로가 불투명해지더니 1930년대에는 논리학이 부상하면서 철학 내에서 그 설 자리마저 잃었다.
형이상학의 대부분 명제들이 논리학자들에 의해 무의미한 것으로 치부되면서 한낱 조소거리가 되었다.
형이상학이 공격을 받은 주요인은 비논리적인 사유체계 때문인데, 입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언어 과학으로서의 논리적 수순을 밟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타당성이 결여된 문법 구조 내에서 전개시킨 사유는 그 의미를 용인받지 못하는 것이다
형이상학은 제한된 영역에 관한 지식이 아니라 보편적ㆍ전체적 지식을 추구한다.
눈에 보이는 세계 배후에 있는 존재 근거로서 영원불멸의 실재를 탐구하는 것이다.
근대 과학이 특수 과학의 방법에 의해 실재의 인식만을 인정하게 되자 형이상학의 뿌리는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형이상학metaphysics은 말 그대로 과학physica 이후meta의 사유를 말한다.
그러므로 과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으면 다양한 영역들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보편적ㆍ전체적 지식을 생산해낼 수 없다.
역자는 물리학자들의 견해에 관심가져왔는데, 21세기에는 물리학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과학자들만이 형이상학을 되살릴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과학을 기반으로 우리의 궁극의 의문에 답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이 과학자들이다.
인간은 어디서 왔고,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 것일까? 다른 생물과 인간은 과연 다른 존재일까?
인간이 진화의 결과물에 불과하다면 도덕을 포함하여 우리가 중요시하는 가치들은 인간에게만 의미있을 뿐 절대적 가치는 상실하는 것일까?
우리의 마음과 정신이 실재를 인식할 능력이 있기는 하는 것일까?
이런 형이상학의 단골 메뉴들이 21세기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숙제가 되었다.
레오 김은 과학과 영성, 혹은 과학과 형이상학에 다리를 놓았다.
철학에서 보면 과학의 지식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며, 과학에서 보면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인간의 궁극의 의문들을 실은 수레를 영성, 혹은 형이상학이 끌게 한 것이다.
그는 과학의 한계를 잘 알고 있으며, 형이상학의 놀라운 발견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과학과 영성이 화합하지 못하면 우리가 우리의 의문들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그는 안다.
여덟 살 때 가까운 친구 스탠리의 죽음에서 생명과 내세에 대한 의문이 생겼고, 그 후 과학자가 되어 암을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하고 연구에 매진하면서 많은 암환자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고 생명과 내세에 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20세기의 과학 이론뿐만 아니라 21세기의 새로운 이론들도 두루 섭렵하여 우주의 창조와 생명의 기원에 관한 그 다음의 이야기, 즉 형이상학을 전개하고 있다.
그가 건설하는 다리는 동양의 종교와도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그의 저술을 통해 과학의 영역들을 두루 거친 뒤 무지개 너머에 있는 형이상학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특히 생명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게 된다.
시간이 환영이고, 우리의 자각이 환영이라서 실재에 대한 여태까지의 우리 인식의 근거가 무너지더라도 실재로서의 생명만큼은 얼마나 자유로운지 그리고 영원불멸하는지 알게 된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우주와 일체라는 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이런 인식은 과거에 영성에 매진한 소수에게만 가능한 일이었으나 레오 김은 모든 독자가 그런 큰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매우 친절하게 한 걸음씩 이끈다.
그는 “우리가 어디서 왔고,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가?” 하는 궁극의 의문에 답을 찾기 위해 과학과 영성의 문턱을 넘나들며 어느 한편으로도 치우치지 않은 채 두 분야의 이점과 허점을 인정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숙원인 의문을 풀기 위해 두 분야의 불화를 서로 보완하는 방법으로 해결함으로써 그 답을 찾아냈다.
물론 그의 답은 과학의 입장에서 보면 미흡할 수 있으며 영성의 입장에서 보면 지나치게 과학에 의존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역자의 입장에서 말하면 그는 최선을 다해 답을 제시했으며, 그의 답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최소한 독자는 우리가 어디서 왔고,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본래 왔던 곳으로 돌아간다.
우리가 누구인가 하는 의문은 본래 왔던 곳으로 돌아갈 수 있는 우주의 영원한 실재라는 답으로 풀린다.
몸은 환영에 불과하여 죽음이란 환영의 의상을 벗어던지는 것이며, 그것의 정신은 본래 에너지의 산물이었으므로 영원히 우주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즉 죽음으로써 환영이 소멸되고 오히려 실재가 드러나는 것이다. 레오 김은 인류의 오래된 숙제에 대한 답을 성실한 태도로 직면했으며, 역자는 그의 답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이 책은 생명공학, 화학, 생물학, 물리학, 의학을 포함한 모든 과학 전공자는 물론 철학, 신학, 종교학 전공자 그리고 그 밖의 인문학과 예술과 관련된 사람들에게도 매우 유익하다.
인간은 환경의 동물이다.
우리의 환경은 태양계뿐만 아니라 우주 그리고 그 너머에 있는 거의 무한한 평행우주들이다.
이 책은 우리의 환경을 이해하고 우리를 지탱해주는 생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지식 외에도 희망을 심어준다.
저자는 암을 치료하듯 과학과 영성의 불화를 치료하기 위해 임상 실험적인 역작을 내놓았다.
과학과 영성이 기꺼이 손을 맞잡고 나아갈 수 있는 다리를 놓았다.
이 책을 번역하면서 역자는 구름 위에 놓인 다리를 건너면서 매우 들뜬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이 기분을 고스란히 독자들에게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