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머니즘과 무업巫業




‘샤먼 shaman’은 퉁구스어에서부터 러시아어를 통해 유래한 말로 우리말 무당巫堂에 해당합니다.
샤머니즘Shamanism은 시베리아Siberia와 중앙아시아Central Asia에서 특히 두드러진 종교현상입니다.
무당을 중심으로 주술적呪術的, 종교적宗敎的 생활이 중앙 및 북아시아의 광대한 지역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무당이 유일한 성사聖事the sacrament의 담당자였다거나 그 사회의 종교생활을 장악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만 부족部族의 족장族長이 곧 부족 의례儀禮의 사제priest였으며, 많은 부족들의 경우 공희사제供犧司祭sacrificing priest가 무당과 공존했음을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당이 지배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었던 것은 탈혼망아脫魂忘我(ecstasy) 체험이야말로 고귀한 종교적 체험으로 인정되는 지역에서 무당만이 접신接神being possessed of a spirit의 전문가였기 때문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샤머니즘이란 접신술接神術을 말하는 것입니다.
탈혼망아의 전문가인 무당의 영혼은 육체를 떠나 천상계天上界로 올라가거나 지하계地下界로 내려가는 것으로 사람들은 믿어왔습니다.
7천天 혹은 9천을 넘나들듯이 7계階 혹은 9계의 지하계를 넘나들고도 살아서 돌이올 수 있는 자는 오직 무당뿐이란 뜻입니다.

무당이 영신靈神(spirit)에 들릴 때가 있지만, 영신에 들린 빙령자憑靈者(a person who possessed)를 무당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무당은 사자死者, 악령惡靈, 그리고 자연의 영신들과 친교親交를 하더라도 이들의 도구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기의 영들을 다스리는 존재입니다.

무당은 “택함을 받은 사람”이란 뜻이며, 바로 이 때문에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이 가까이 갈 수 없는 성스러운 영역에 가까이 갈 수 있습니다.
무당들의 이런 접신 체험이 종교적 이데올로기의 성층成層, 신화나 의례 구조에 막강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런 현상은 오늘날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북극권北極圈이나 시베리아 그리고 아시아 여러 민족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신화와 의례는 이들 민족 무당들의 창작품이 아닙니다. 이런 것들은 일반적인 종교적 체험의 산물이지 특별한 자질을 지닌 인물이나 접신술을 행할 수 있는 특권계급特權階級의 산물이 아닙니다. 무당은 종교적 체험을 남달리 강렬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그 사회의 나머지 구성원들과 구별됩니다.
무당은 탈혼망아의 체험을 통해 사람들을 치료하고 사자死者를 명계冥界(the nether world)로 인도하고 그들과 천상계天上界 및 지하계地下界에 있는 크고 작은 신들 사이에서 중보자仲保者(mediator)로 봉사奉仕하는 사람입니다.
무당은 공동체의 종교생활에서 길잡이 노릇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영혼靈魂을 수호守護하는 일까지 담당합니다.
무당만이 영혼을 볼 수 있는 까닭은 그만이 영혼의 모습과 영혼의 운명을 알기 때문입니다.

북극권,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민족들은 주로 수렵이나 어업, 목축업이나 유목 종사자들이었습니다.
이들에게 공통된 특징은 어느 정도 유목에 종사했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종족적, 언어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더라도 종교에는 일치하는 것이 하나 있는데, 퉁구스족Tungus(최대 종족은 만주족), 사모예드족Samoyed 혹은 터키-타타르족Turkey-Tatar(서西 투르크메니스탄을 제외한 중앙아시아의 투르크계 주민의 총칭) 등 주요 종족들은 대개 천상계의 대신大神, 전능한 창조신創造神을 알고 있으며 이들을 섬깁니다.
이 대신의 이름은 때로는 ‘천공天空’ 혹은 ‘천상계天上界’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시베리아 북서부에 거주하며, 사모디족으로도 불리는 사모예드족의 눔Num, 동쪽 사할린으로부터 서쪽으로 예니세이 강을 걸치고, 또 북쪽은 야쿠티아 자치공화국의 극한極寒 툰드라 지대로부터 남쪽으로는 중국 동북(만주)지방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여 만주-퉁구스어계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인 퉁구스족의 부가Buga 혹은 몽고족Mongols의 텡그리Tengri, 시베리아 동부의 몽고족인 브랴트족Buryat의 텡게리Tengeri, 볼가 타타르족Volga Tatars의 텡게레Tangere, 벨티르족Beltir의 팅기르Tingir, 동부 시베리아의 터키 종족의 일파인 야쿠트족Yakut의 탕가라Tangara 등이 바로 이런 신들입니다.
이런 신들은 명칭이 구체적으로 ‘천공’이 아니더라도 그 명칭에는 하늘의 특징적인 성격을 표상하는 말, 예를 들면 ‘높은’, ‘우뚝 솟은’, ‘찬란한’ 등의 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르티시Irtysh의 오스티야크족Ostyak이 섬기는 천신天神의 이름은 생케Sanke이며, 이는 ‘찬란하다, 빛나다, 밝다’의 뜻입니다.
생케를 두고 야쿠트족은 “세계의 추장이신 아버지 주님”이라 부르고, 알타이 타타르족은 “흰빛Ak Ayas”, 코리야크족Koryak은 “높은 곳에 계시는 분”, “높은 곳에 계시는 주님”이라고 부릅니다.
터키-타타르족은 북방과 동북방의 인접 민족들 이상으로 천상의 대신을 지극히 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이 천상의 대신을 ‘추장’, ‘주인’, ‘주님’,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천상天上에 사는 이 천신天神에게는 몇몇 아들과 사자使者가 있습니다.
이들은 천신에게 딸린 한편 천신의 처소處所보다는 낮은 천공天空에 있습니다.
이들의 이름이나 숫자는 민족民族에 따라서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일곱이나 아홉 ‘아들 신神’ 혹은 ‘딸 신神’이 등장하는데, 무당은 바로 이들과 예사롭지 않은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 천신의 아들 신, 사자 혹은 종들은 인간세상을 내려다보고 있다가 인간을 도와주는 일을 합니다.
이들의 수는 민족에 따라 많아지기도 합니다.
브랴트족, 야쿠트족, 몽고족의 경우 두드러지는데,  브랴트족의 경우 55위의 선신善神과 44위의 악신惡神이 있으며 그들은 영원히 대립합니다.

터키-타타르족에게 여신女神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합니다.
지신地神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야쿠트족에게는 대지大地의 여신상도 없으며 따라서 대지의 여신에게는 제물도 바치지 않습니다.
터키-타타르와 시베리아 민족에게 몇몇의 여신들이 있으나, 이들은 여성만을 위한 신들이고 이들이 맡아서 참섭參涉하는 분야도 출산이나 아기들의 질병을 돌보는 일 정도입니다.
여성의 역할이 샤머니즘 혹은 접신술 전통에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지만, 신화神話에서 여성의 역할은 미미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력巫力의 내림




알타이족에게 천공天空의 신 혹은 대기大氣의 신 다음가는 유일한 대신大神은 지하계地下界의 주主인 에를릭 칸Erlik Khan(칸은 중앙아시아 제국諸國의 통치자의 존칭尊稱)입니다.
이 신은 무당들에게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극히 중요한 불의 의례, 수렵 의례, 죽음이란 관념은 이 중앙 그리고 북아시아 종교생활의 간단한 윤곽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형태론적으로 이 종교는 인도-유럽인들의 종교에 가깝습니다.
양자가 모두 천공신天空神 혹은 대기大氣의 신神을 중요한 신으로 섬기고 있으며 여신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사회학적, 경제학적 입장에서 보면 선사시대의 인도-유럽과 투르크족-타타르족이 유사하다는 사실은 한층 더 두드러집니다.
두 사회 모두 가장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가부장家父長 사회였으며, 수렵과 목축-유목으로 경제를 도모하는 사회였습니다.

중앙 및 동북아시아에서 무당Shaman을 새로 충원充員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주된 방법은 첫째, 무당의 직능職能을 세습적世襲的으로 물려받는 방법이고, 둘째는 이 천직天職에 대한 자발적自發的 응소應召(피임被任 혹은 피선被選)입니다.
사람들은 세습무世襲巫나 신들 혹은 영신靈神들의 소명召命에 응소應召한 무당에 비해 이들 자성自成 무당들은 그 무력巫力이 떨어지는 것으로 믿었습니다.
부족에 의해 피선되는 경우 가장 중요한 피선기준은 후보자의 접신체험이었습니다.
만약 접신능력이 여의찮으면 죽은 무당의 자리를 이은 새 무당은 그 자리에서 밀려나고 맙니다.

피선으로 새 무당이 이내 무당으로 인정받는 건 아닙니다.
두 가지 수련과정으로 접신과정인 꿈, 망아황홀忘我恍惚 등과 전승傳承 교육과정으로 무속적 접신기술接神技術, 영신들의 이름과 기능, 부족의 신화와 족보, 무당의 은어隱語 등을 거쳐야 무당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무당의 꿈에 대한 자료를 보면 무당의 꿈이 종교사에서 널리 알려진 구조를 지닌 입문과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연하게 볼 수 있습니다. 무당이 꾸는 꿈은 입문의 환각幻覺과 그 무대 마련 모두 전통 규범規範을 따르고 있는데다 놀라울 정도로 정교하며 일관성 있는 이론적 내용을 보이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부 및 중앙시베리아에서의 무당 충원




서부 시베리아의 오브 강 지류에 사는 종족으로 수렵狩獵과 어로漁撈에 종사하는 보굴족Vogul의 샤머니즘Shamanism은 세습世習일 뿐만 아니라 여계女係로 전승傳承됩니다.
미래의 무당巫堂은 사춘기 때부터 이상성격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신경증神經症 증세症勢를 보이고 때로는 간질병적癎疾病的인 발작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 발작의 순간이 바로 이 미래의 무당이 신들과 만나는 순간으로 해석됩니다.
시베리아 서부의 이르티시Irtysh 지방에서도 샤머니즘은 천공신의 선물로, 미래의 무당에게는 아주 어릴 때부터 그 징후徵候가 나타납니다.
세습이든 자연발생적이든 샤머니즘은 신들이나 영신들의 선물입니다.
다만 겉모양이 세습으로 보일 뿐입니다.

무당의 아들이라고 해서 권능權能을 물려받을 자격이 있는 건 아닙니다.
입문자入門者는 영신들의 승락承諾과 인가認可를 받아야 합니다.
시베리아에 살고 있는 종족 가운데 가장 큰 네네츠족으로 더 잘 알려진 유라크-사모예드족Yurak-Samoyed의 경우, 장차 무당이 될 자는 성장하면서 환상幻想을 보기도 하고, 잠자다가 무당의 노래를 부르기도 하며, 혼자 방황彷徨하는 따위의 일을 좋아하게 됩니다.
이런 잠복기潛伏期가 끝나면 이 후보자는 무당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습니다.
이 후계자는 청춘을 바쳐 샤머니즘의 교의敎義와 기술技術을 배워야 합니다.

언어로 말하면 알타이어족의 하나인 터키어에 속하며 야쿠티아의 주종족主種族으로 시베리아 동부를 흘러 북극해로 흘러들어가는 레나Lena 강(4,400km) 중류, 동東시베리아의 타이가Taiga, 툰드라Tundra 지대에 사는 야쿠트족Yakut의 무당은 세습으로 대물림하지 않습니다.
무당이 될 팔자를 타고난 자는 갑자기 실성失性하고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나면서 숲으로 들어가 초근목피草根木皮(풀뿌리와 나무껍질)로 연명延命하면서 물불을 가리지 않고 뛰어들기도 하며 칼로 자신의 몸을 난자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이 자의 가족은 늙은 무당에게 이 자를 살려줄 것을 호소하고 늙은 무당은 실성한 젊은이에게 갖가지 영신들의 존재와 이들을 부르거나 부리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
이는 입문의례入門儀禮의 시작始作에 불과합니다.

러시아 바이칼 호수Baikal Lake 너머의 산악지대인 트랜스바이칼Transbaikal 지역의 퉁구스족 가운데서 무당이 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꿈에 죽은 무당의 영신이 나타나 자기 뒤를 이을 것을 명하더라고 선언합니다.
대개의 경우 이런 선언이 부족들을 설득할 수 있습니다.
선언을 한 미래의 무당은 바로 뒤에 극심한 정신착란精神錯亂을 일으킵니다.
중앙아시아의 투루칸스크 지방의 퉁구스족의 신앙에 따르면 무당이 될 팔자를 타고난 자는 꿈속에서 카르기Khargi라고 하는 재앙을 내리는 요사스러운 귀신鬼神인 사신邪神이 무당 의례를 집전執典하는 광경을 봅니다.
그는 이런 식으로 무당들의 전승비법傳承秘法을 익히는 것입니다.

이런 입문의례는 이따금 병적 꿈을 꾸거나 망아황홀경忘我怳惚境에 빠져 있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수도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몽골계의 종족 퉁구스족Tungus의 무당 충원




만주족滿洲族과 만주의 퉁구스족에게는 두 계급의 대大무당이 있습니다.
한 계급은 부족에 딸린 대무당大巫堂이고 또 한 계급은 부족에서 독립해 있는 대무당입니다.
부족에 딸려 있는 대무당의 경우 무당의 자질은 대개 조부祖父로부터 손자孫子에게 계승繼承됩니다.
아들은 아버지의 세속적 요구를 따르는 데 전심전력하느라 무당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주족은 아들이 바로 이를 계승하기도 합니다.
아들이 없을 경우에는 무당의 권능權能이 손자에게 내려갑니다.
죽게 된 무당에게 그가 죽으면서 남기는 여분의 영신을 물려줄 가족이 없을 경우 제삼자第三者가 소명을 받게 됩니다.
부족으로부터 독립해 있는 무당이 제삼자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이 소명召命에 대한 응소과정應召過程에는 늘 히스테리적인 혹은 히스테리 유형의 위기가 뒤따릅니다.
이런 과정이 끝나면 일정한 교육기간이 있고 이 기간이 종료되면 그 사회에서 공인公認된 무당의 수하에서 입문의례入門儀禮를 치릅니다.
대개 이런 경우 위기는 사춘기에 시작됩니다.
그러나 입문자는 최초의 접신경험을 치르고도 몇 년이 지나야 무당이 될 수 있습니다.
무당으로의 인정은 공동체의 전 구성원들로부터, 그것도 고통스러운 수련과정을 겪어야 받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몽골 부르야트족Burjat과 알타이족Altai의 무당 충원




알라르스크의 부르야트족의 경우, 샤머니즘Shamanism은 부계 혹은 모계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자연발생적인 무당도 있습니다.
세습적이든 자연발생적이든 이런 소명을 받았다는 징표는 꿈과 발작적 경련을 통해 나타납니다.
이런 꿈을 꾸게 하고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그들은 조상영신祖上靈神들, 즉 우트차utcha라고 믿습니다.
무당 직은 의무적인 것입니다.
소명召命을 받으면 이를 거절할 수 없습니다.
조상영신祖上靈神들에게 선택된 아이들은 잠을 자면서도 소리를 지르거나 신경이 과민해지고 꿈을 자주 꾸게 됩니다.
그들은 이런 식으로 지내다가 열세 살이 되면 이 직분의 후보자 지명을 받습니다.
그들은 준비기간에 일련의 접신체험接神體驗을 하게 되는데, 꿈속에 나타난 조상영신들의 손에 이끌려 지하계로 내려가는 등의 체험이 바로 성무聖務 체험입니다.
젊은 무당 후보자는 부족의 장로長老들 밑에서 공부를 계속합니다.
후보자가 배우는 것은 부족의 계보, 전통, 무속의 신화와 무당들만이 사용하는 특수한 어휘語彙입니다.
이때 이런 후보자를 가르치는 무당은 ‘신 아버지’로 불립니다.
접신 중에 후보자가 무당의 노래를 부르는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드디어 저세상과 관계가 이루어진 징표徵標로 받아들여집니다.

남시베리아의 부르야트족의 경우 샤머니즘은 세습世習이지만, 때로는 신들의 선택을 받아서 혹은 우연히 무당이 되는 수도 있습니다.
신들이 한 사람을 무당이 될 그릇으로 보고 이 사람을 번개로 치거나 하늘에서 떨어지는 돌을 통해 그 뜻을 알리는 경우가 신들에게 선택되는 경우이고, 하늘에서 떨어진 돌, 곧 운석이 들어 있는 타라순tarasun을 마시고 무당이 되는 경우가 우연히 무당이 되는 예입니다.
그러나 신들의 선택을 받았더라도 이런 무당 역시 늙은 무당의 훈도訓導와 교육敎育을 받아야 합니다.
신들이 무당을 지명하는 데 사용하는 번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번개는 무당의 권능權能이 천상에서 유래한 것임을 보여줍니다.
남시베리아의 미누신스크Minusisk 분지를 중심으로 시베리아 중부를 흐르는 강으로 사얀Sayan 산맥에서 시작해 북극해北極海로 흘러들어가는 예니세이Enisei 강 상류 및 시베리아 중남부의 사얀산 중턱에 거주하는 소요트족Soyot(목축 기마 민족)의 경우에도 번개를 맞는 자는 무당이 됩니다.
번개는 무당의 의상에 그려지기도 합니다.

세습 샤머니즘의 경우, 조상 무당들의 영혼이 후손 중에서 젊은 청년을 하나 고릅니다.
이렇게 되면 이 청년은 얼이 빠지고 몽상에 빠지는 것과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게 되며, 예언자적豫言者的 환상幻想을 자주 보고 결국 발작을 일으켜 의식을 잃는 일이 잦아집니다.
부르야트족은 이 기간 동안 영신靈神(spirit)들이 이 청년의 넋을 데려갔다고 믿습니다.
그들에 따르면 영신들이 청년의 넋을 동쪽으로 데려가면 청년은 ‘백’ 무당이 되고, 서쪽으로 데려가면 ‘흑’ 무당이 됩니다.
신들의 궁전으로 인도되는 이 신출내기 무당은 조상 무당들로부터 무업巫業의 비의祕儀, 신들의 형상과 명칭 그리고 영신들의 명칭과 이들에 대한 제사법을 배웁니다.
신출내기의 영혼은 성무과정이 끝난 뒤에야 육신으로 돌아옵니다.

알타이족에게도 무당 직분職分은 대체적으로 세습입니다.
미래의 무당 혹은 캄kam은 신병神病을 앓고 명상瞑想에 빠지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준비기간 동안 미래의 무당이 해야 할 일을 늦추지 않고 부족의 노래나 전승을 가르칩니다.
한 집안의 젊은이가 발작을 일으키면 알타이족은 자기네 조상 중에 무당이 있음을 확신합니다.
그러나 자발적으로 캄이 되는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성무한 무당은 세습에 의한 무당에 비해 영험靈驗이 적은 것으로 그들은 믿었습니다.

무직巫職은 아버지로부터 아들로 대물림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예외적으로 아버지가 두 아들에게 대물림하는 수도 있습니다.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세습적 샤머니즘은 신들과 영신들로부터 직접 무력巫力을 받은 샤머니즘과 공존했으며, 무당의 소명이 자연발생적이든 세습적이든 무당은 병적 현상을 동반합니다.

그 밖의 지역에서 주술사呪術師나 주약呪藥, 주구呪具, 주물呪物 등을 가지고 병의 치료治療를 맡아보는 주의呪醫의 경우 이들의 직능이 세습적으로 전수되느냐 자연발생적이냐를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대체로 상황이 어디서나 같기 때문입니다.
주의呪醫의 직능은 보통 세습입니다.
무당 권능의 상속은 자기 아이나 친족 쪽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무당 자신이 그 뿌리가 같은 곳에서 권능을 얻고자 하는 데서 생긴 경향으로 보입니다.
무당이 생존 시에 자식에게 그 권능을 물려주는 사례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