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615


《살길 찾은 동촌마을》

 소진탁 글

 안신영 엮음

 대한기독교계명협회

 1956.7.25.첫/1958.6.10.두벌



  지난날 나리(양반) 가운데 아주 드물게 호미·낫·쟁기를 쥔 사람이 있습니다만, 거의 모두는 임금바라기를 하며 먹물꾼에 머물렀어요. 임금이나 벼슬아치는 호미·낫·쟁기를 모릅니다. 쥔 적이 없고 볼 일마저 없어요. 오늘날 나라지기(대통령)를 비롯해 벼슬꾼(정치인·공무원)에 글꾼도 호미·낫·쟁기를 안 쥐고 모릅니다. 꽃그릇(화분)하고 땅은 달라요. 꽃그릇을 건사하더라도 해바람비를 맞이하는 땅을 알 길이 없습니다. 이러다 보니 꽤 오래도록 ‘어리석은 시골을 일깨우’려는 글바치는 ‘글도 책도 모르는 시골사람’을 내려다보듯 나무라고 이끌려 했어요. 그런데 예부터 흙지기는 밥옷집을 손수 건사했고, 말조차 손수 지은 사투리를 썼어요. 이와 달리 임금·벼슬꾼·글바치는 중국·일본을 섬기며 한문·한자말을 외웠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조금 똑똑하다는 이들은 서울바라기를 하면서 시골을 떠났고, 시골사람을 바보로 여기면서 새마을바람 따위를 일으켜 비닐에 풀죽임물(농약)을 옴팡 쓰도록 내몰았어요. ‘덧벌레(기생충)’를 다스리는 줄거리인 《살길 찾은 동촌마을》은 시골사람이 배고프다며 아무것이나 주워먹는다고 탓합니다. 흙이나 샘물이나 풀꽃나무가 나쁠 수 있을까요? 나쁘다면 숲을 망가뜨린 서울일 텐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1.7.

숨은책 766


《즐거운 농촌살림》

 고경숙 글

 국련군사령부 주한경제조정관실·기술협조부 지역사회개발국·백조사

 1958.3.



  지난날에는 서울조차 임금집(궁궐)을 빼면 모두 시골입니다. 오늘날에는 시골조차 읍내는 서울을 닮고 면소재지마저 잿빛집(아파트)이 들어섭니다. 지난날에는 나라님이라 해도 시골살림을 북돋우는 길을 살펴야 했다면, 오늘날에는 나라님도 벼슬아치도 글바치도 시골살림하고는 등집니다. 날마다 숱한 책이 쏟아지지만 이 가운데 시골사람이 시골빛을 가꾸는 어진 이야기를 들려주는 꾸러미는 아예 없다고 할 만합니다. 숲책(생태환경책)조차 서울사람이 서울(도시)에서 푸른길을 잊지 않도록 다잡는 데에서 그쳐요. 《즐거운 농촌살림》은 ‘국련군사령부’에서 펴낸 책이기에 수수께끼입니다. ‘국련군사령부(1951.2.15.∼1951.5.10.)’는 한겨레가 둘로 갈려 피비린내가 나도록 싸우던 무렵, 북녘에 들어선 ‘유엔(UN)’ 벼슬터입니다. 고작 석 달 동안 북녘에 있던 벼슬터에서 낸 책이라면 1951년판이어야 할 텐데 1958년 3월에 찍었다고 적혀요. 그러나 1951년에 처음 나온 판을 그 뒤에도 꾸준히 새로 찍었을 수 있습니다. 우리 살림돈으로는 이만 한 책을 엮어나 내기 벅찼어도 유엔에서 이바지했으면 넉넉히 낼 만했을 테고, 퍽 오래도록 시골살림에 이바지할 수 있겠지요. 즐겁기에 살림이고, 사랑으로 가꾸며 푸른 시골살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2022.11.2.

수다꽃, 내멋대로 29 왼손질



  나는 다람이(마우스)를 왼손으로 쥔다. 다들 오른쥠만 하는 듯싶으나, 1994년에 셈틀을 집에서 건사하며 쓸 적에 오른쥠만 하면 손목이 시큰거려 왼쥠하고 오른쥠을 갈마들었다. 왼손을 오른손하고 매한가지로 쓰려면, 오른손도 왼손처럼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왼손하고 오른손은 저마다 다른 곳에서 저마다 다르게 힘을 들이면서 우리 몸을 움직인다. 부엌칼을 쥐어 무를 썰 적에 왼손으로 무를 잡지 않으면 못 썬다. 칼을 쥔 오른손도 잘 움직여야 할 뿐 아니라, 무를 쥔 왼손도 알맞게 틈을 내주어야 한다. 그저 왼손에 칼만 쥔대서 무를 잘 썰 수는 없다. 자전거를 타고서 오른쪽으로 돌든 왼쪽으로 돌든 매한가지이다. 어느 쪽 힘만 세서는 곧게 나아가지 않는다. 수저쥠은 좀 다르다. 수저는 한 손만으로도 쥘 수 있으니, 밥을 늦게 먹거나 굶어도 좋다고 여기면서 젓가락이랑 숟가락을 놀리면 머잖아 왼쥠을 익숙하게 해낸다. 글씨쓰기는 부엌칼질하고 비슷하다. 붓만 왼손에 쥔대서 글씨가 나오지 않는다. 앉아서 쓸 적에는 오른손으로 종이를 받쳐야 하고, 서서 쓸 적에는 오른손으로 글꾸러미(수첩)가 안 흔들리도록 받칠 줄 알아야 한다. 한쪽 손만 한쪽 일에 으레 쓰던 몸이라면, 오른손이 하던 일을 왼손이 하기란 대단히 어렵거나 아예 안 된다. 거꾸로, 왼손이 하던 일을 오른손이 하자면 몹시 어렵거나 아예 안 될 수 있다. 짐을 어떻게 나르겠는가? 두 손으로 같이 잡고서 안으니까 나른다. 아기도 두 손으로 나란히 잡고서 품에 안는다. 찰칵찰칵 찍는 틀도 왼손으로 고즈넉이 받쳐야 오른손으로 가볍게 단추를 누르니, 거꾸로 찍으려면 오른손이 받침 노릇을 단단히 하면서 왼손가락을 가볍게 놀려야 한다. 이 여러 가지는 어릴 적에 한쪽 손이 크고작게 다치면서 알아차렸다. 어릴 적부터 수저를 두손잡이처럼 쓰려고 했다. 나중에 한쪽 손이 다치면 무척 번거로운 줄 알아차렸으니 두 손을 홀가분히 쓰고 싶었다. 그러나 1984년 무렵에는 ‘왼손잡이 = 나쁜손’으로 바라보는 어른이 수두룩했고, 그무렵 아이들은 어른 흉내를 내듯이 왼손잡이를 놀렸다. 왼손잡이인 또래는 왼손잡이가 아닌 척하거나 숨겼다. 오른손을 안 내밀고 왼손을 내밀면 버릇없거나 멍청하다고 여기기까지 했다. 1995년부터 제금을 나면서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할 적부터 손빨래를 하는데, 한 손이 다치면 손빨래가 몹시 벅차다. 오른손으로도 왼손으로도 비빔질을 하려고 무던히 애썼다. 오른손으로도 왼손으로도 잇솔질을 하려고, 또 왼손으로 하는 받침 구실을 오른으로 너끈히 해내려고 무척 힘썼다. 두손잡이로 지내면 한 손을 느긋이 쉬기에 좋기도 하지만, 둘레를 바라보는 결을 넓힐 만하다. 왼눈으로만 둘레를 보는가? 오른눈으로만 둘레를 보는가? 아니면 ‘두눈’으로 보는가? 아니면 ‘온눈(왼쪽도 오른쪽도 가운데도 아닌, 오롯이 사랑으로 활짝 연 눈)’으로 보는가? 두 손을 나란히 다루면서 갈마드는 첫걸음이란, 우리 눈길이 ‘외눈’을 내려놓고서 ‘두눈’으로 거듭나다가 ‘온눈’으로 피어나서 ‘꽃눈’으로 아름답게 노래하는 삶길이라고 생각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1.5.

숨은책 762


《벼룩의 간》

 위기철 글

 이희재 그림

 세계

 1989.4.25.



  불수레(지옥철)가 괴로워 1995년 4월 5일부터 제금을 났습니다. 인천하고 서울을 오가는 칙폭이(전철)는 한 칸에 1000이 넘는 손님을 태우고, 주안나루부터 미는놈(푸쉬맨)까지 있습니다. 제금나는 살림돈은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벌고, 싸움터(군대)를 다녀오면 열린배움터(대학교)를 그만둘 생각이라 틈새일(알바)을 바지런히 했습니다. 한국외대 배움책숲(구내서점)에서도 일했는데, 책집일꾼으로서 책을 사면 책집지기님은 ‘책집에 들어온 값(도매값)’으로 팔아 주었습니다. “여태 일한 사람 가운데 교재 아닌 책을 산 사람은 자네가 처음이야.” 하더군요. ‘마침종이(대학졸업장) 없는 앞날’을 그리자니 5원부터 아낄 노릇입니다. 으레 굶고 책값하고 종이값(1인 소식지 복사하는 값)을 빼고는 아예 안 씁니다. 떨어진 붓(연필·볼펜)을 줍고, 길에 나둥구는 쪽종이(광고지)도 주워 뒤쪽에다가 글을 썼어요. 《벼룩의 간》을 장만해서 읽고는, 싸움터에 끌려가기 앞서 뒷내기(후배)한테 빌려주었더니 글월을 곁들여 돌려주더군요. 삶이란, 일이란, 오늘이란 무엇일까요. 벼룩간을 빼먹는 나라에서 푸른꿈으로 어깨동무할 길은 어떻게 찾을까요. 스물여섯 달 동안 ‘사람을 바보로 밟는 곳’에서 마음을 참하게 건사하자고 다독였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1995년 그때에는 뒷종이(이면지)로 삼으려고

길에서 주워 건사하던 쪽종이(광고지)인데

이제 와 돌아보니

재미난(?) 뒷자취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11.5.

숨은책 761


《詩人의 마을》

 정태춘

 성음사

 1985.3.10.



  인천하고 서울을 오가는 칙폭이(전철)에 미닫이(창문)만 있고 바람이가 없던(에어컨은커녕 선풍기도 없는) 무렵, 이 길을 새벽하고 저녁마다 오가자니 죽을맛이었습니다. 길삯도 많이 들고, 밀리고 밟히고 눌리니 몸마음이 너덜너덜합니다. 1994년은 날마다 불수레(지옥철)에서 납작오징어가 되면서 “나랏놈은 이 불수레를 안 탈 테지? 그놈들이 탄다면 불수레를 그냥 두겠어? 아니, 불수레인 줄 아니까 사람들을 더 옥죄려고 등돌릴까? 길들이려고 말이야.” 하고 생각했습니다. 어느 날은 “아, 이래서 얼른 인부수(인천·부천·수원)를 떠나 서울로 가야 한다고 꿈꾸겠구나. 서울에서 살면 걷거나 자전거로도 일터를 오갈 테니까.” 싶어요. ‘서울로(in Seoul)’를 부추기는 판입니다. ‘말은 제주로 사람은 서울로’ 같은 말을 누가 퍼뜨렸는지 괘씸했습니다. 헌책집에서 《詩人의 마을》을 보았습니다. ‘사전심의 폐지운동’을 펴는 그 ‘정태춘’ 노래를 콩나물종이(악보)에까지 얹어서 담은 꾸러미인 줄 알아차리면서 “이분은 시골 평택에서 나고자란 삶을 서울에서도 노랫가락에 담았구나” 싶어 새로웠습니다. 몸이 어디 있더라도 마음을 푸르게 다스릴 노릇이더군요.


내 고향 집 뒷들의 해바라기 울타리에 기대어 자고 / 담 너머 논둑길로 황소 마차 덜컹거리며 지나가고 / 음, 무너진 장독대 틈 사이로 음, 난장이 채송화 피우려 / 음, 푸석한 슬레트 지붕 위로 햇살이 비쳐 오겠지 / 에헤야, 아침이 올게야 / 에헤야, 내 고향 집 가세 (고향 집 가세/154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