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는 한독寒毒과 습독濕毒을 다스린다
발암물질로 알려진 타르(tar)도 한 개비에 20~30㎎이 들어 있기 때문인지 흡연자에게는 폐암이 많다고 보고된다. 특히 담배 중에서도 독한 담배를 젊어서부터 폐 속까지 깊숙이 흡입하며 꽁초가 될 때까지 피워대는 사람일수록 폐암의 발병률이 높다고 한다.
담배는 아주 해롭기만 할까? 절대로 그렇지 않다. 과다하게만 피우지 않는다면 흡연은 뇌의 활동과 혈류량을 높여서 뇌를 산뜻하게 만드는 한 모금의 청량제 구실을 톡톡히 하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화가 났을 때의 흡연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비즈니스 때의 흡연은 대화를 부드럽게 하며, 잊고 싶은 게 있을 때의 흡연은 담배연기 속에 생각을 담아 훌훌 날려 보내게 만든다. 최근에는 노인성 치매라는 숙명적인 질병의 예방 목적으로 담배가 적극 권장될 정도이다.
한의학에서 연초煙草라 일컫는 담배는 성性은 열熱하고 매운맛辛味을 갖고 있어서 한독寒毒과 습독濕毒을 다스린다고 했다. 또 담배는 선행선산善行善散하고 다조다화多燥多火하므로 음체陰滯에 쓰면 신효神效하지만 원기가 부족해 땀이 나는 사람氣虛多汗者이나 마른 사람瘦人에게는 좋지 않다고 했다.
차갑고 축축한 습기濕氣로 가득찬 방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어떻게 해소해야 할까? 창문을 열어 바람을 통해도 습기가 제거되고, 방바닥 밑에 불을 때도 차가운 공기는 따뜻해지니, 담배는 바로 이런 작용을 한다.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자. 차가운 물은 자꾸 응축하려 하고 뜨거운 불은 자꾸 타오르면서 퍼지려고 하니, 신열辛熱한 성미性味를 가진 담배는 어떤 작용을 하겠는가? 당연히 무엇인가 발산시키는 작용, 습기를 쫙 말리는 작용을 하지 않겠는가? 때문에 담배는 비쩍 마른 건조한 사람보다는 쥐어짜면 물이라도 뚝뚝 떨어질 듯한 뚱뚱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이는 비인습다 수인화다肥人濕多 瘦人火多(뚱뚱한 사람은 습기가 많고 마른 사람은 화기가 많다)라는 한의학의 가장 기초적인 병리관病理觀과도 일치한다. 여기까지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면 이슬과 안개가 자욱해서 축축하고 차디찬, 소위 한습寒濕한 기운이 넘쳐흐르는 산길을 지날 때는 담배가 이롭다는 생각도 가능할 것이다. 또 담배를 많이 피워 가슴이 답답할 때는 반대로 물을 마시는 게 가장 좋을 거란 추측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양의학에서도 금연 시 나타나는 금단증상禁斷症狀을 이기려면 물을 많이 마시는 게 좋다고 하니, 니코틴 등의 화학물질을 거론하지 않아서 그렇지 한의학에서는 담배의 성미性味를 가지고 이미 설명해 놓았음을 알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오성五性과 육미六味가 우리의 심신心身을 길러주기도 하지만 과복過服하면 유해하므로 절제節制할 것을 주장했는데, 특히 신미辛味를 너무 많이 섭취하면 몸의 근맥筋脈이 무너져 늘어지고 정신마저도 황폐화된다味過於辛(미과어신) 筋脈沮弛(근맥저이) 精神乃央(정신내앙고) 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담배도 술과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어떻게 피우느냐가 중요하다. 의사들은 성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흡연을 즐기기 위한 방편으로 흡연을 하루 20개비 이하로 줄이고, 연기를 깊숙이 흡입하지 않으며, 길이는 3분의1까지만 태우되 필터를 사용할 것 등의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