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 한식날 북루에 올라 읊다

 

회양과차淮陽過次(회양을 지나다가)

 

山中處子大如孃 緩著粉紅短布裳산중처자대여양 완저분홍단포상; 산 속 처녀가 어머니만큼 커졌는데 짧은 분홍 베치마를 느슨하게 입었네.

赤脚낭창羞過客 松籬深院弄花香적각낭창수과객 송리심원농화향; 나그네에게 붉은 다리를 보이기 부끄러워 소나무 울타리 깊은 곳으로 달려가 꽃잎만 매만지네.

 

김삿갓이 물을 얻어먹기 위해 어느 집 사립문을 들어 가다가 울타리 밑에 핀 꽃을 바라보고 있는 산골 처녀를 발견했다. 처녀는 나그네가 있는 줄도 모르고 꽃을 감상하고 있다가 인기척을 느끼고는 짧은 치마 아래 드러난 다리를 감추려는 듯 울타리 뒤에 숨었다.

 

과보림사過寶林寺(보림사를 지나며)

 

窮達在天豈易求 從吾所好任悠悠궁달재천개이구 종오소호임유유; 빈궁과 영달은 하늘에 달렸으니 어찌 쉽게 구하랴. 내가 좋아하는 대로 유유히 지내리라.

家鄕北望雲千里 身勢南遊海一漚가향북망운천리 신세남유해일구; 북쪽 고향 바라보니 구름 천 리 아득한데 남쪽에 떠도는 내 신세는 바다의 물거품일세.

掃去愁城盃作箒 釣來詩句月爲鉤소거수성배작추 조래시구월위구; 술잔을 빗자루 삼아 시름을 쓸어 버리고 달을 낚시 삼아 시를 낚아 올리네.

寶林看盡龍泉又 物外閑跡共比丘보림간진용천우 물외한적공비구; 보림사를 다 보고나서 용천사에 찾아오니 속세 떠나 한가한 발길이 비구승과 한가지일세.

 

보림사는 전남 장흥 가지산에 있는 절이며, 용천사는 전남 함평 무악산에 있는 절이다.

 

한식일등북루음寒食日登北樓吟(한식날 북루에 올라 읊다)

 

十里平沙岸上莎 素衣靑女哭如歌십리평사안상사 소의청녀곡여가; 십 리 모래 언덕에 사초꽃이 피었는데 소복 입은 젊은 여인이 노래처럼 곡하네.

可憐今日墳前酒 釀得阿郞手種禾가련금일분전주 양득아랑수종화; 가련해라 지금 무덤 앞에 부은 술은 남편이 심었던 벼로 빚었을 테지.

 

김삿갓이 원산에 이르러 명사십리明沙十里를 지나다가 정자에 올라 쉬고 있는데 근처에서 어린 과부가 남편 무덤 앞에 술잔을 올리며 내는 곡소리가 슬픈 노래처럼 들려왔다.

 

범주취음泛舟醉吟(배를 띄우고 취해서 읊다)

 

江非赤壁泛舟客 地近新豊沽酒人강비적벽범주객 지근신풍고주인; 강은 적벽 강이 아니지만 배를 띄웠지. 땅은 신풍에 가까워 술을 살 수 있네.

今世英雄錢項羽 當時辯士酒蘇秦금세영웅전항우 당시변사주소진; 지금 세상에 영웅이 따로 있으랴, 돈이 바로 항우이고 변사가 따로 있으랴, 술이 바로 소진이지.

 

신풍新豊은 한대漢代의 현명칭으로 신풍미주新豊美酒라 하여 좋은 술이 나왔다고 한다. 항우項羽는 초나라를 세워 한나라 유방과 함께 진나라를 멸망시킨 영웅이고, 소진蘇秦은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말 잘하던 유세객遊設客이다. 지금 김삿갓이 놀고 있는 강은 소동파가 적벽부赤壁賦를 읊었던 그 적벽 강은 아니지만 땅은 맛있는 술이 나왔던 신풍과 닮았다. 오늘날의 세상은 돈만 있으면 항우 같은 힘을 낼 수도 있고 술에 취하면 말 잘하는 소진도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삿갓, 금강산에 들어가다

 

노우老牛(늙은 소)

 

瘦骨稜稜滿禿毛 傍隨老馬兩分槽수골릉릉만독모 방수노마양분조; 파리한 뼈는 앙상하고 털마저 빠졌는데 늙은 말 따라서 마구간을 함께 쓰네.

役車荒野前功遠 牧竪靑山舊夢高역거황야전공원 목수청산구몽고; 거친 들판에서 짐수레 끌던 옛 공은 멀어지고 목동 따라 푸른 들에서 놀던 그 시절 꿈같아라.

健 耦常疎閑臥圃 苦鞭長閱倦登皐건우상소한와포 고편장열권등고; 힘차게 끌던 쟁기도 텃밭에 한가히 놓였는데 채찍 맞으며 언덕길 오르던 그 시절 괴로웠었지.

可憐明月深深夜 回憶平生謾積勞가련명월심심야 회억평생만적노가련해라 밝은 달밤은 깊어만 가는데 한평생 부질없이 쌓인 고생을 돌이켜보네.

 

세월의 무상함은 인간에게서만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늙은 소를 보고서도 세월이 앗아간 전날의 혈기 넘쳤던 때를 생각할 수 있다.

 

송병松餠(송편)

 

手裡廻廻成鳥卵 指頭個個合蚌脣수리회회성조란 지두개개합방순; 손에 넣고 뱅뱅 돌리면 새알이 만들어지고 손가락 끝으로 낱낱이 파서 조개 같은 입술을 맞추네.

金盤削立峰千疊 玉箸懸燈月半輪금반삭립봉천첩 옥저현등월반륜; 금쟁반에 천봉우리를 첩첩이 쌓아 올리고 등불을 매달고 옥젖가락으로 반달 같은 송편을 집어 먹네.

 

새알을 만들고 조개 같은 입술을 맞추고 반달 같은 송편을 먹는 묘사에서 시인의 관찰력과 재치를 볼 수 있다.

 

백구시白鷗時(갈매기)

 

沙白鷗白兩白白 不辨白沙與白鷗사백구백양백백 불변백사여백구; 모래도 희고 갈매기도 희니 모래와 갈매기를 분간할 수 없구나.

漁歌一聲忽飛去 然後沙沙復鷗鷗어가일성홀비거 연후사사부구구; 어부가漁夫歌 한 곡조에 홀연히 날아오르니 그제야 모래는 모래, 갈매기는 갈매기로 구별되누나.

 

입금강入金剛(금강산에 들어가다)

 

緣靑碧路入雲中 樓使能詩客住笻연청벽로입운중 누사능시객주공; 푸른 길 따라서 구름 속으로 들어가니 누각이 시인의 발걸음을 멈추게 하네.

龍造化含飛雪瀑 劒精神削揷天峰용조화함비설폭 검정신삭삽천봉; 눈발 흩날리며 걸린 폭포는 용의 조화가 분명하고 하늘 찌르며 솟은 봉우리는 칼로 신통하게 깎았네.

仙禽白幾千年鶴 澗樹靑三百丈松선금백기수년학 간수청삼백장송; 속세 떠난 흰 학은 몇 천 년이나 살았는지 시냇가 푸른 소나무도 삼백 길이나 되어 보이네.

僧不知吾春睡腦 忽無心打日邊鐘승부지오춘수뇌 홀무심타일변종; 스님은 내가 봄잠 즐기는 것도 알지 못하고 무심하게 낮종을 치고 있구나.

 

봄날 금강산으로 들어가면서 주위에 펼쳐진 경치의 아름다움을 읊었다.

 

답승금강산시答僧金剛山詩(스님에게 금강산 시를 답하다)

 

百尺丹岩桂樹下 柴門久不向人開백척단암계수하 시문구불향인개; 백 척 붉은 바위 계수나무 아래 암자가 있어 사립문 굳게 닫고 열어 본지 오래건만

今朝忽遇詩仙過 喚鶴看庵乞句來 -금조홀우시선과 환학간암걸구래 -; 오늘 아침 우연히 시선께서 지나는 것을 보고 학 불러 암자를 보이게 하고 시 한 수를 청하오. - 스님

矗矗尖尖怪怪奇 人仙神佛共堪凝촉촉첨첨괴괴기 인선신불공감응; 우뚝우뚝 뾰족뾰족 기기괴괴한 가운데 인선人仙과 신불神佛이 함께 엉겼소.

平生詩爲金剛惜 詩到金剛不敢詩 -평생시위금강석 시도금강불감시 -; 평생 금강산 위해 시를 아껴 왔지만 금강산에 이르고 보니 감히 시를 지을 수가 없소. -삿갓

 

한 승려의 청으로 금강산을 읊으려 하나 너무나 장엄하고 기이한 산세에 압도되어 시를 짓지 못하겠다는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딴지에 나는 쥐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장딴지에 나는 쥐에 대한 행법

 

1. 쥐가 난 다리의 엄지발가락을 자기 쪽으로 천천히 손으로 잡아당긴다.

 

장단지의 근육이 균형을 잃어 죄어들어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현대의학에서는 근육에 관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장단지에 쥐가 나면 안마를 하거니 발을 잡아당기거나 해서 근육을 이완시키는 정도의 치료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도인술에서는 쥐가 일어난 다리의 엄지발가락을 자기 쪽으로 천천히 잡아당긴다. 다리 전면의 정강이에는 동맥이 통하고 뒤쪽의 장단지에는 정맥이 지나간다. 엄지발가락을 굽히면 경락이 자극을 받아 정맥의 흐름이 좋아져서 쥐가 낫는 것이다. 하이힐을 신는 젊은 여성의 장딴지에 쥐가 잘 일어나는 것은 정맥의 운동이 완전히 억제되기 때문이다. 자주 일어나는 쥐는 내버려두면 정맥류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장딴지에 쥐가 자주 일어난다면 평소에 발가락 운동을 자주해야 한다. 수영 중에 다리에 쥐가 나면 남성의 경우 성기를 쥐어 잡아당기고, 여성의 경우 양쪽 유방을 힘껏 잡아당긴다. 이는 성기와 유방이 모두 엄지발가락과 기가 서로 통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코골기, 이갈기, 잠꼬대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코골기, 이갈기, 잠꼬대에 대한 행법

 

1. 책상다리로 앉거나 의자에 걸터앉아서 두 손으로 뒤통수를 감싼다. 천천히 머리를 위아래로 힘껏 젖혔다 굽혔다 한다. 머리를 젖힐 때에는 몸 안의 탁기를 입으로 천천히 토해낸다. 앞으로 굽힐 때에는 천천히 코로 들이쉰다. 이와 같이 전후 운동을 3-5회 행한다.

 

코를 고는 근본 원인은 축농증이다. 이때에는 코를 새척하여 축농증을 치료하는 코 행법을 한다.

신경질적인 사람에게 많다는 이갈기도 일종의 병이다. 원인은 경추의 아탈구인데, 이를 치료하려면 목의 뻐근함을 제거하는 목 행법과 삔 목뼈를 치료하는 행법을 함께 하면 좋다. 열흘 정도하면 이갈기가 사라진다.

잠꼬대도 도인의학에서 보면 병이다. 이는 숙면을 못 이루고 있는 증거로서 몸은 자려고 해도 대뇌가 자지 않는다. 어떤 충격적인 사건 등이 머릿속을 떠다니고 있어 뇌가 잠을 못 자는 것이다. 형태를 바꾼 불면증인 것이다. 따라서 용의 수면법을 행하여 심신의 조화를 꾀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위약과 위하수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위약, 위하수에 대한 행법

 

1. 책상다리의 자세로 앉아서 두 손을 포개어 가슴 밑에 댄다. 고개를 천천히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입으로 숨을 내쉬고, 동시에 포갠 두 손을 몸에 댄 채로 왼쪽 위 근처에까지 자연스럽게 밀어 내린다. 이때 눈은 비스듬히 위족을 쳐다본다. 숨을 다 내쉬거든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들이쉬면서 얼굴은 정면으로, 두 손은 가슴 밑, 원래의 위치로 돌린다. 같은 방법으로 고개를 왼쪽으로 돌린다. 이번에는 두 손을 오른쪽 간장 근처에까지 밀어 내린다. 숨을 다 내쉬거든 원래의 자세로 돌아간다. 이상을 3회 되풀이 한다.

 

2. 반듯하게 누워서 두 무릎을 세운다. 옷을 젖히고 배를 드러낸다. 양손을 충분히 마찰한 후 따뜻해진 양손바닥으로 배 전체를 20-30회 시계방향으로 가볍게 문지른다. 배 전체를 가로 세로 3등분한 것처럼 하여 양손의 손가락을 모아서 아래에서 위로 천천히 차례차례 눌러나간다. 누를 때에는 입으로 숨을 내쉬고 손을 뗄 때에는 코로 숨을 들이쉰다. 마지막에 배 전체를 손바닥으로 20-30회 가볍게 문지른다.

 

동물은 본래 네발걸음이라 몸이 땅과 평행을 이루는 법이다. 인간만은 두발걸음으로 몸을 수직으로 세우다 보니 위에 부담이 생기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위가 아래로 처지는 경우가 많다. 배꼽이 아래로 향한 사람은 우선 위하수로 생각하면 틀림없다.

축 늘어진 위를 원위치로 되돌리려면 목 행법이 효과적이다. 이 행법의 중요한 점은 고개를 돌렸을 때 되도록 뒤쪽을 돌아보는 것이다. 또 비스듬히 위를 흘겨볼 때에는 눈을 똑바로 뜨고 눈으로 기를 끌어들인다는 느낌으로 한다. 공복 시나 식후 2시간쯤에 행한다. 하루 2-3회씩 일주일이면 효과가 나타난다. 이 행법은 위궤양에도 효과가 있다.

이 행법을 하다보면 소변이 불어나거나 구역질이 날 수 있는데, 이는 내장이 정상 위치로 돌아가는 증거이므로 염려할 필요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