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타고라스Pythagoras
 

피타고라스Pythagoras는 수학자로 우리에게 익히 알려져 있다.
수학에서의 연역적 방법deductive은 그가 창안해낸 것이다.
그러나 그가 신비주의자로서 종교의 창시자라는 것은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

철학에 수학이 도입된 것은 그에 의해서였는데 그는 사모스Samos인으로 기원전 532년에 활동했다.
사람들 가운데는 그가 사람의 아들이라고도 하고 아폴로 신의 아들이라고도 하는데 판단은 여러분이 해야 할 것이다.
이 시기에 사모스는 대단한 부를 가진 늙은이 폴리크라테스Polycrates(기원전 535-515년)가 통치했다.
그는 선박을 많이 갖고 있었다.
사모스는 마일터스Miletus와 비교할 만한 상업이 매우 발달한 곳이었다.
사모스인은 스페인의 광산으로 알려진 타르테소스Tartessus에까지 가서 교역을 했다.
폴리크라테스는 두 형제와 함께 정권을 잡은 후 두 형제를 제거했고 마일터스가 페르시아의 손에 넘어가자 교역에 있어 라이벌이 사라졌으므로 반사이익을 챙겼다.

폴리크라테스는 이집트 왕 아마시스Amasis와 가까웠으며 페르시아의 왕 캄비세스Cambyses가 이집트를 치려고 노리자 영리하게도 페르시아에 우호적 제스추어를 취했다.
그는 적을 잡아 자신의 매에 태워 페르시아로 보내면서 이집트를 치는 데 사용하라고 했다.
그러나 배들이 돌아와 그를 공격했다.

폴리크라테스는 사모스를 아름답게 치장했지만 피타고라스는 그의 정치가 마음에 들지 않아 사모스를 떠났고 이집트로 가서 지혜로워졌으며 이탈리아 남쪽 크로톤Croton에 안주했다.
당시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은 싸움박질을 했고 피타고라스가 막 크로톤에 도착했을 때 로크리Locri에 의해 침략을 받고 있었다.
크로톤은 의학이 발달했으며 그곳 출신 데모세데스Democedes는 폴리크라테스의 주치의가 되었다가 나중에는 페르시아의 왕 다리우스Darius의 주치의가 되었다.

피타고라스는 크로톤에서 제자들을 두고 제법 영향력을 가졌으나 나중에 주민들의 반발을 사 인근 메타폰티온Metapontion으로 갔으며 그곳에서 죽었다.
그는 신비로운 인물로 알려졌으며 경이로운 일을 벌이는 능력의 소유자로 알려졌고 수학학파를 결성했다.
그는 종교를 만들어 혼이 몸을 떠난다고 가르쳤다.
그는 계명을 만들어 지키게 했는데 계명들은
콩을 먹어서는 안 된다,
땅에 떨어진 것을 주워서는 안 된다,
흰 닭을 만져서는 안 된다,
빵을 잘라서는 안 된다,
십자선 위를 밟아서는 안 된다, 쇠로 불을 휘저어서는 안 된다,
심장을 먹어서는 안 된다,
뚝배기를 불에서 꺼낸 후 재에 자국을 남기지 말고 재를 저어 자국을 없애야 한다고 했다.

피타고라스는 수학에 근거하는 논리를 폈고 그의 논리학을 플라톤이 영향받았다.
피타고라스의 종교는 오르페우스의 종교, 즉 바카스 종교의 개신교를 다시금 현대화한 것이었다.
그는 금욕주의를 가르쳤다.

그는 혼은 영원하다고 가르쳤으며 혼이 다른 몸과 결탁한다고 해서 윤회설을 믿었다.
그에게는 존재는 끊임없이 이어지기 때문에 세상에는 새로운 것이라고는 없다고 했다.
그는 성자 프란시스St. Francis처럼 동물에게도 설교했다.

그는 "모든 것은 숫자로 되어 있다 All things are numbers"고 했다.
그는 음악에서 숫자의 중요성을 발견했는데 그가 말하는 모든 것이 숫자로 되어 있다는 말은 비례를 뜻했다.
그의 수학과 신학의 합성은 오늘날의 말로 하면 종교철학의 효시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낙시메네스
 
마일터스 학파의 막내동이는 아낙시메네스Anaximenes이다.
그가 언제 활동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마일터스가 페르시아에 정복된 기원전 494년 이전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우주의 기본 원소가 공기air라고 주장했다.
그에게 혼soul은 공기였고
불은 정화된 공기였으며
공기가 압축되면 물이 되고
그 다음에는 먼지earth가 되며
최종적으로 돌이 된다고 했다.
그의 이론의 독특한 점은 모든 물질의 상이함을 없애고 압축의 정도에 따라서 물질이 달라진다고 설명한 데 있다.
그는 대지가 둥근 테이블처럼 생겼다고 했으며 주위를 공기가 에워싸고 있다고 믿었다.

그는 말했다.
"우리의 혼이 공기인 것과 같이 우리는 숨을 쉬고 공기는 세상을 감싸고 있다."

그는 세상이 숨을 쉬고 있다고 믿었다.
피타고라스가 그로부터 영향을 받아 그 역시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했다.

이상과 같이 마일터스의 세 현자들은 서양 사상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 그들이 무엇을 성취했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세상 전반에 관해 관망하고 사고한 데 있다.

마일터스Miletus는 풍요로운 상업도시였으며 각 나라의 문화가 이곳으로 흘러들어왔고 기원전 494년에 페르시아의 다리우스Darius에 의해 아이오니아Ionia가 저령당하기 전까지 아이오니아는 헬레닉Hellenic 세계의 가장 중요했던 지역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낙시맨더Anaximander 
 

그리스의 두 번째 현인으로 아낙시맨더Anaximander가 있다.
그는 기원전 546년에 64세였다고 전해진다.
탈레스가 만물의 기본 원소가 물이라고 한 데 비해 그는 물도 아니고 그 어떤 물질도 아니라 '영원한 infinite, eternal, ageless' 것이 세계들worlds을 감싸고 있다면서 우리의 세계는 많은 세계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아낙시맨더는 세상에는 불fire, 먼지earth, 물water이 적당한 비례로 어울려져 있으며 각 요소god들은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려고 하지만 자연의 법칙이 있어 균형을 유지하게 만든다고 했다.

예를 들면 불이 있는 곳에는 재ashes가 있고 재란 먼지earth로서 불과 재의 관계를 훗날 그리스인은 정의justice의 개념으로 받아들였다.
정의란 자연의 조화 내지는 균형을 의미했다.
그리고 이 정의는 자연의 속성으로 어느 누구도 제어할 수 없다.
이런 그리스인의 사고는 유대인의 사고와 정반대가 된다.
예를 들면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을 그리스인은 정의로 본 데 반해 유대인은 신이 "해야,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져라"라고 하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으로 믿었다.
유대인은 자연의 법칙을 믿지 않았고 다만 신의 의지만을 믿었다.

아낙시맨더가 기본 물질을 물이 아니라고 주장한 근거는 물은 다른 물질에 의해 정복되기 때문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하는 바에 의하면 그는 우리가 아는 물질들은 서로 대적하는 상태에 있는데 공기air는 차고, 물은 수증기가 되며, 불은 뜨겁다.
만약 어떤 물질이라도 영원하다면 그 밖의 것들은 대적하기를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물질은 대적함이 없는 중성적인 물질이어야 한다.
아낙시맨더에게서 우주에는 영원한 운동이 있다는 사고가 생겼으며 또한 진화의 가능성이 생겼다.
그는 처음 지도를 만든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태양이 지구만큼 크거나 27배 혹은 28배 크다고 했는데 어던 근거로 그런 수치를 제시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그리스 현인들은 우주의 기본 원소, 즉 우리의 환경의 근본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 생각했으며 그 근본을 자연의 법칙 혹은 정의로 삼았다.
이는 동양인에게서도 마찬가지인데 삶의 규범은 자연에 대한 관찰에서 왔다.
즉 지식은 자연에 대한 이해였다.
예를 들면 '밤이 깊으면 새벽이 온다'라든가 '굳은 땅에 물이 괸다' 등은 단순히 자연을 관망하고 얻은 지식이다.
이 지식을 정의로 삼아 삶에 적용하여 그 이치를 만들어냈다.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라는 김영삼의 말은 자연의 법칙을 닭의 목아지를 비트는 것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탈레스
 

고대 그리스에는 7명의 현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과학자이면서 사상가들이었다.
열거하면,
탈레스Thales, 아낙시맨더Anaximander, 아낙시메네스Anaximenes, 피타고라스Pythagoras, 헤라클리토스Heraclitus, 파르메니데스Parmenides, 그리고 엠페도클레스Empedocles이다.

이들은 우주의 기원이 무엇인가 하는 데 골돌히 생각했다.
만물을 이루는 요소가 무엇인가 하고 생각했다.

우선 탈레스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탈레스는 만물의 근본 원소가 물이라고 주장했다.
Everything is made of water.
우리의 몸 80%가 물인 것만 봐도 그의 관찰은 놀랄 만하다.
불교에서도 우주가 水地火風으로 되어 있다고 해서 물을 먼저 꼽았지 않았던가!

탈레스는 소아시Asia Minor의 마일터스Miletus 사람으로 위의 7명을 가리켜서 마일터스 학파Milesian School라 한다.
마일터스는 당시 상업도시로 노예가 많았고 부자와 가난한 사란들 사이에 분쟁이 많았다. 가난한 사람들은 봉기하여 귀족들의 아내와 자녀들을 살해했고 귀족들이 우세할 때는 상대편을 화형에 처했다.
이런 분쟁은 도시국가 그리스에서 보통 있었던 일이었다.

그리스 동쪽 연안에 있던 리디아Lydia 왕국이 마일터스인들에게 호의적이었는데 리디아는 기원전 546년에 페르시아의 사이러스Cyrus에 의해 점령되었다.

탈레스는 늘 하늘을 바라보면서 천체를 연구했는데 그가 일식eclipse을 옝너한 것은 유명하다.
천체학자들의 말로는 그가 예언한 일식을 기원전 585년에 일어난 것으로 보고 그가 그 시대의 사람으로 추측한다.
이 시기에 마일터스는 리디아와 우호관계에 있었고 리디아는 바빌로니아Babylonia(오늘날 이라크)와 문화적 교류를 했다. 바빌로니아에는 천체학이 발달했고 일식이 19년만에 일어남을 발견했다.
하지만 바빌로니아인과 탈레스 모두 일식이 왜 일어나는지에 관해서는 몰랐다.

탈레스가 이집트에 기하geometry를 소개한 것은 유명하다.
탈레스가 이집트에 갔을 때 그가 현인이란 소문을 듣고 이집트 왕은 그를 실험하기 위해 하루만에 피라미드의 높이를 재라고 명했다.
탈레스는 땅에 1미터의 막대기를 꽂고는 가만히 앉아 있었다.
이집트 왕은 그가 가만히 있는 것을 의아해 했다.
막대기의 그림자가 1미터가 되자 탈레스는 피라미드의 그림자의 길이를 측정했다.
그는 기하를 이용하여 피라미드의 높이를 잰 것이다.
그는 과연 7명의 현인들 중 하나였다.
One of the Seven Wise Men of Greece.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탈레스는 물이 고유한 물질로서 모든 것이 물로 형성되었으며 땅이 물 위에 떠있다고 믿었다.
그때만 해도 지구의 가장자리는 폭포처럼 물이 떨어진다고 믿었다.
그는 자석에는 혼이 있기 때문에 쇠를 움직인다고 했고 더 나아가서 모든 것들에는 신이 있다고 했다.
탈레스에 관한 기록은 별로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서 <정치학 Politics>에 다음과 같이 전했다.

그는 가난했으므로 철학이 무용하다는 점을 드러낸 결과를 초래했다.
그는 별에 관한 지식이 있었으므로 겨울이지만 이듬해 올리브가 대풍년일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래서 싼 값에 올리브를 사들였고 이듬해 올리브 가격이 앙등하자 그것들을 팔아 쉽게 부자가 되었다.
그는 철학자는 자신이 원하면 쉽게 부자가 될 수 있지만 원하는 바가 딴 데 있다는 걸 시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리스인은 혼과 몸이 분리된다고 믿었다 

박카스 종교는 오르페우스에게 영향을 주어 플란톤의 철학에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오르페우스가 역사적으로 실재했던 인물인지 상상의 영웅인지 신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그도 바카스처럼 트라키아로부터 왔다고 전해지는데 러셀에 의하면 아마 크레테에서 온 것 같다.
오르페우스는 박카스 종교를 현대화한 사람이다.
그의 종교에는 이집트의 요소가 다분히 많으며 인간의 혼은 몸과 분리된다고 보았고 이승에서의 삶의 성적표에 따라서 저승에서 영원히 안락한 생활을 누리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고통을 받게 된다고 믿었다.

그리스인은 혼과 몸이 분리된다고 믿었다.
그들은 인간에게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하나는 하늘의 요소이고 다른 하나는 땅의 요소이다.
하늘의 요소는 혼이고 땅의 요소는 몸을 말한다.
땅의 여신이 하늘로 먹을 것을 구하러 갔다가 하늘의 신과 섹스를 하게 되었고 그래서 태어난 것이 인간이라고 믿었다.
이런 믿음이 소크라테스로 하여금 혼이 몸이라는 감옥에 갇힌 상태라고 믿게 했고 따라서 죽는다는 것은 혼이 몸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으로 이해하게 만들었다.

박카스에 관련된 신화 중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래된다.

박카스는 제우스Zeus와 페르세폰Persephone 사이에 태어났다.
그가 소년이었을 때 타이탄들Titans이 그를 갈기갈기 찢어 먹으면서 심장만은 남겨놓았다.
그 심장을 제우스가 가져다 세멜레Semele에게 줬다는 이야기도 있고 제우스가 삼켰다는 이야기도 있다.
여하튼 박카스는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박카스 종교에서 야생동물을 갈기갈기 찢어 먹는 것은 타이탄들이 바카스를 그렇게 먹은 것을 상징한다.
타이탄들은 땅에서 태어났지만 박카스를 잡아먹고 신성을 갖게 되었다.
인간은 반은 신성을 지녔고 반은 땅의 요소를 지녔지만 박카스를 숭배하는 의식을 통해서 신성에 좀더 가까워진다.
철학자 니체는 박카스적 환희의 예술을 찬양하면서 친구 작곡가 바그너의 음악이 남성적이고 영웅적이라고 칭찬했다.
오르페우스 종교는 박카스 종교를 개혁시켜 금욕주의를 추구하면서 포도주에 취하기보다는 포도주를 상징적으로 마셨다.
이런 상징적인 포도주 마시기가 유대인들에게 받아들여져 오늘날 성찬식으로 전해오고 있다.

정신적으로 취하기를 바랬던 것은 신성을 가져보려는 인간의 바램이었다.
오르페우스 종교를 신봉한 사람이 바로 피타고라스Pythagoras이다.
오르페우스 종교를 더욱 더 현대화한 것이다.
소크라테스가 피타고라스의 영향을 받았고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아 박카스 종교의 요소가 철학에 들어온 것이다.
박카스에 대한 의식을 호머가 자세히 기록했다.

호메로스가 전한 또 다른 종교는 전혀 종교라고 말할 수 없다.
신들은 사람들이었고 다만 다른 점은 영원하며 초인적일 뿐이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신이라면 농사와 관련이 있어 비를 내려 풍작을 하게 해주는 데 비해 그리스인의 올림푸스 삼에 거주하는 신들은 귀족과 같은 생활을 했다.
그리스 신들은 전쟁을 통해 왕국을 건설했는데 아마 고대 영웅들을 숭배한 데서 이런 종교가 비롯한 것 같다.
이런 신들은 혹은 영웅들은 정부를 세우지도 않았고 농사를 짓지도 않았으며 상업이나 산업에 종사하지도 않았고 오로지 민중에게 달려들어 복종을 강요하면서 놀고 먹었다.
신들이 혹은 영웅들이 하는 일이란 싸움박질을 하거나 음악을 만들었고 술에 취했다.
한 가지 특기할 만한 점은 이들은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
다만 사랑을 할 때와 전쟁을 할 때만 거짓말을 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