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 - 일상을 깨우는 바로 그 순간의 기록들
조던 매터 지음, 이선혜.김은주 옮김 / 시공아트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찾아 읽는 사진책 172



삶은 언제나 재미난 춤사위

―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

 조던 매터 사진

 이선혜, 김은주 옮김

 시공아트 펴냄, 2013.4.15.



  우리 삶은 언제나 춤입니다. 우리 삶은 누구나 춤입니다. 언제나 춤사위처럼 움직이는 삶이고, 누구나 춤사위처럼 홀가분하게 노래하는 삶입니다. 직업이 춤꾼이어야 춤을 추지 않습니다. 대단한 스승한테서 배워야 춤을 잘 추지 않습니다. 인간문화재가 되어야 춤을 출 만하지 않습니다. 예부터 고이 물려받으면서 이은 춤사위란 여느 마을 여느 집 여느 사람이 누리던 춤입니다.


  즐겁기에 어깨춤을 춥니다. 즐거우니 발짓으로 춤을 춥니다. 빙그레 짓는 웃음이 바로 웃음춤입니다. 노래를 부르면서 몸이 가볍게 움직입니다. 노래춤이에요.


  글을 쓰는 사람은 춤을 추듯이 글을 써요. 글춤이라 할까요. 이와 같이, 그림춤과 사진춤이 있습니다. 이야기춤이 있으며, 빨래춤과 밥춤과 청소춤이 있을 테지요.


  조던 매터 님은 ‘전문 춤꾼’을 한 사람씩 만나면서 ‘여느 삶’에서 아름다운 춤으로 피어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서 보여줍니다. 다만, 춤옷을 입지 않습니다. 삶옷, 그러니까 여느 자리에서 수수하고 입는 옷차림으로 여느 자리에서 즐겁게 추는 춤사위를 사진으로 담아서 보여줘요.


  조던 매터 님은 처음에는 ‘뉴욕에서만’ 사진을 찍었다고 합니다. 아마 뉴욕에서만 찍은 사진들은 무척 놀랍거나 재미있었으리라 생각해요. 그러나 뉴욕에서만 찍은 사진으로는 ‘우리 삶’을 보여주기에 넉넉하지 못해요. 뉴욕에도 사람이 많고, 이야기가 많으며, 사랑과 노래가 흐릅니다. 뉴욕에서 찍은 사진으로만 사진책을 엮지 못하란 법은 없어요. 뉴욕에도 온갖 사람이 골고루 살아가니, 뉴욕에서 만난 온갖 사람을 보여줄 만합니다. 뉴욕에서도 텃밭을 찾을 수 있을 테고, 뉴욕에서도 큰 집과 작은 집을 찾을 수 있을 테며, 뉴욕에서도 아기 낳은 어머니나 아버지를 찾을 수 있어요.






  한국말로는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시공아트,2013)으로 나온 사진책을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조던 매터 님이 뉴욕을 벗어나 드넓은 숲과 들과 바다와 물줄기를 마주하면서 담은 사진을 가만히 바라보면서 생각합니다. 뉴욕에서 바라본 삶은 뉴욕이 우주가 됩니다. 뉴욕을 벗어나서 바라본 삶은 지구별을 우주로 삼습니다. 그리고, 우주 가운데에 있는 지구별을 보여주고, 지구별에서 저마다 아기자기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여줍니다.


  “나는 아이와 노는 동안, 내 아들의 눈에 투영된 세상을 보여주는 사진 작품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8쪽).”와 같은 마음이면 됩니다. 사진책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에는 춤꾼들이 춤을 추는 멋진 빛이 흐르는데, 굳이 춤꾼을 찍지 않아도 돼요.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물끄러미 지켜보다가 찰칵 하고 한 장 담아 보셔요. 아이들 몸짓은 언제나 춤짓입니다. 아이들 목소리는 언제나 노래입니다. 아이들 얼굴은 언제나 웃음입니다. 아이들 말은 언제나 이야기입니다.


  우리 어른들은 어떠한가요. 우리 어른도 몸짓이 언제나 춤짓으로 이어지는가요. 우리 어른도 목소리가 언제나 노래로 흐르는가요. 우리 어른도 얼굴은 언제나 웃음이면서, 말이 언제나 이야기처럼 곱게 퍼지는가요.


  춤꾼을 찍은 사진이기에 춤사위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춤꾼도 사람입니다. 밥을 먹고 잠을 자며 사랑을 속삭여요. 아이를 낳고 아이와 어울리며 나들이를 다닙니다. 춤꾼이 보여주는 새삼스럽고 남다른 춤사위가 있다면, 춤꾼이 아닌 우리들은 우리 삶에서 어떤 춤사위로 스스로 즐겁게 웃거나 노래할까요.


  “경험이 부족했던 나는 촬영 당시에 이러한 상황에서 점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이해하지 못했다(223쪽).” 하고 조던 매터 님은 말합니다만, 춤꾼은 어려운 몸짓을 스스로 해내면서 즐겁습니다. 어버이는 아기 똥기저귀를 치우고 아기를 살살 달래며 자장노래 불러서 재우면서 즐겁습니다. 젖떼기밥을 끓여서 먹이면서 즐거운 어버이입니다. 아이가 아프면 밤잠을 잊으면서 아이를 돌보지요. 춤꾼이 대단한 춤사위를 선보이려고 여러 시간 수없이 뛰고 다시 뛰듯이, 여느 보금자리에서 여느 어버이는 하루이고 이틀이고 사흘이고 밤을 새면서 아이를 돌봅니다. 아이뿐 아니라 늙은 어버이도 돌보지요.






  밥을 짓는 손길이 곧 춤사위입니다. 천을 물로 적셔서 이마에 얹는 손길이 곧 춤사위입니다. 빨래를 해서 너는 손길이 곧 춤사위입니다. 아이 머리카락을 쓸어넘기면서 살포시 안는 손길이 곧 춤사위입니다.


  “나는 묘비 위에 축 늘어져 있는 클로에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동안 창조적인 작업 과정이 주는 짜릿한 기분을 느꼈다. 사진은 나를 보호해 주는 담요와도 같다. 그날 밤, 나는 호텔 방으로 돌아와서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은 채 홀로 이 작품을 바라보다가 감정을 주체하지 못한 체 걷잡을 수 없이 눈물을 흘렸다(238쪽).”와 같은 마음이기에 사진 한 장 즐겁게 빚습니다. 조던 매터 님은 “셔터를 계속 누르는 연속 촬영에 의존하기보다는 각각의 점프마다 단 한 컷의 사진만 촬영한다. 내게는 원하는 작품을 운 좋게 얻는 것보다 결정적인 순간을 예측하는 것이 더 쉽게 느껴진다(251쪽).” 하고도 이야기합니다. 사진을 찍으려고 찍는 사진이 아닙니다. 삶을 노래하려고 찍는 사진입니다. 사진으로 밥을 먹으려고 찍는 사진이 아닙니다. 사진으로 삶을 사랑하려고 찍는 사진입니다.


  더 멋진 모습을 찍어야 하지 않아요. 즐겁게 나눌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더 빼어난 모습을 안 놓치도록 찍어야 하지 않아요. 서로 빙그레 웃으면서 오순도순 이야기꽃 피울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맛있게 먹으면서 웃음꽃 피어나는 밥을 차리면 돼요. 요리대회에 1등으로 뽑힐 밥을 차리지 않습니다. 사랑을 속삭이는 글을 써서 띄우는 편지예요. 신춘문예라든지 문학상을 거머쥐도록 쓰는 글이나 편지가 아닙니다.


  그나저나, 조던 매터 님이 빚은 사진책은 미국에서 《Dancers Among Us: A Celebration of Joy in the Everyday》(2012)라는 이름으로 나왔습니다. 한국말로 나온 이름처럼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춤을’입니다. ‘날마다 즐거운 잔치’를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삶은 언제나 잔치’라고 노래하는 사진이에요. 날마다 잔치를 누리는 즐거움으로 춤추는 사람들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진입니다.


  “무용수들은 때로는 커다란 위험을 무릅쓰면서까지 스스로의 한계에 도전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252쪽).” 하고 이야기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한계에 도전하는 멋을 말하려고? 아니지요. 춤꾼 가운데 위험을 무릅쓰면서 춤을 춘 사람은 없다고 느껴요. 벼랑에서 춤을 추더라도 위험을 무릅쓴 춤이라고는 느끼지 않아요. 춤꾼은 벼랑에 섰어도 벼랑이라고 느끼지 않았으리라 생각해요. 그저 춤이고, 그저 삶이며, 그저 노래요, 그저 사랑이라고 느꼈으리라 생각해요.


  즐거움도 춤이 되고 슬픔도 춤이 됩니다. 기쁨도 아픔도 모두 춤이 됩니다. 잔치굿을 하고 씻김굿을 해요. 모두 굿이에요. 잔치마당이요 굿마당입니다. 언제나 어울림마당입니다.


  웃을 적에도 벗이 되는 사진이면서, 울 적에도 동무가 되는 사진입니다. 가슴 벅찬 기쁨이 솟을 적에도 벗이 되는 사진이요, 가슴 시린 아픔으로 괴로울 적에도 동무가 되는 사진이에요. 4347.5.14.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treeje 2014-05-14 2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참 즐겁게 읽었었는데 이렇게 함께살기님의 아름다운 느낌글로
다시 보니~ 더욱 좋네요~
참으로 아름답고 멋진 리뷰,이십니다~*^^*

숲노래 2014-05-15 07:47   좋아요 0 | URL
아아, 고맙습니다.
아름답게 읽어 주시니
아름다운 넋을 마실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