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번-존스의 <행운의 수레바퀴 The Wheel of Fortune>





번-존스는 시간을 오래 두고 작업하기를 좋아했는데, <행운의 수레바퀴 The Wheel of Fortune>는 1871년에 구상하여 1875년에 그리기 시작했으며 1883년에야 완성했다.
이 작품은 미켈란젤로Michelangelo di Lodovico Buonarroti(1475-1564)에게서 따온 주제이다.
피에로 디 코시모와 <목신과 프시케>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거장과 번-존스의 관계는 늘 쉽지 않았는데, 그는 그들에게서 얼마만큼을 어떤 방법으로 가져와야 하는지 알지 못했다.
때때로 그는 거장들의 예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었으나, 특히 미켈란젤로의 경우는 번-존스가 늘 유지해온 양식적, 감정적 냉담함을 파괴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1870년대에서 80년대까지 번-존스가 전시한 작품의 주제들은 고전에서 종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했다.
신화에 관심이 많은 그는 점차 서예 같은 선들이 서로 휘감겨 있는 화면 구성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현혹된 멀린 The Beguiling of Merlin>은 그가 지속적으로 다루어온 아서 왕 전설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작품의 인물들은 1850년대 로제티의 수채화에서 물려받은 고딕식의 양식화된 인체와 전혀 다르고 오히려 그가 고전조각을 연구했음을 보여준다.
번-존스의 후기작품에서 휘감기는 선과 전전 더 단색조로 변해가는 미묘한 색채의 조화로 이루어진 장식적 특징은 유럽에서 크게 인정받아 세기말 아르누보 양식의 선조가 되었다.


번-존스가 65세에 제작한 후기작품들 가운데 하나인 <수녀원장의 이야기 The Prioress's Tale>는 제프리 초서의 <수녀원장의 이야기>를 옷장에 장식한 것으로 학교에서 찬송가 <구세주의 존귀하신 어머니 Alma Redemptoris>를 배우던 한 기독교 소년이 분개한 유대교도에 의해 살해당하자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소년의 혀에 밀알을 떨어뜨려 다시 노래를 부르게 하는 기적을 일으키는 내용이다.
고딕양식으로 그린 이 작품에서 번-존스는 40년 전 레드 라이언 광장Red Lion Square 한 공동주택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구성을 반복하고 있다.
전에는 풍경이었던 부분을 초기 이탈리아풍의 도시로 바뀌었다는 점이 유일한 예외이다.
공간은 위로도 올라가고 뒤로도 물러난다.
정원으로 들어가는 문이 열려 있는 곳에서 세 계단을 올라가면 그림의 중앙 부분으로 이어지며, 다시 올라가면 배경으로 이어지는 또 다른 벽에 이르게 된다.
그 뒤로는 가파르게 한쪽은 계단으로, 중앙은 기둥의 꼭대기로 이어진다.
이는 번-존스의 다른 많은 수직적인 작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공간, 동일한 구성이다.


<수녀원장의 이야기>에서처럼 계단을 이용한 수직적인 작품들로 <루시퍼의 추락 The Fall of Lucifer>, <코페투아 왕과 거지소녀>, <황금계단>이 있는데, 이런 일련의 계단은 오직 깊이만 지니고 있을 뿐 길이는 가지고 있지 않다.
이 시기에 그는 많은 화가들로부터 찬미를 받은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1445?-1510)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세 기사의 이야기를 다룬 <코페투아 왕과 거지소녀 King Cophetua and the Beggar Maid>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그의 중세적이고도 몽상적인 특징은 현실도피의 한 형태였으며 산업주의의 병폐에 대한 반발은 아니었다.
이 작품은 로제티의 삽화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그가 구체화한 꿈의 세계는 15세기 이탈리아 화가 필리피노 리피Filippino Lippi(1457?-1504)와 보티첼리의 우울하고 희미하게 표현된 인물에서 영감을 끌어낸 것이어서 이런 인물은 낭만적 신비주의의 분위기에 싸여 있다.


<코페투아 왕과 거지소녀>는 여성에 대한 관심이 없어 평생 결혼을 하지 않으려던 흑인 왕이 유연이 보게 된 순수한 거지소녀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담은 시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엘리자베스 1세 시절의 민요인 리처드 존슨Richard Johnson의 <거지와 왕의 노래 A Song of a Beggar and a King>(1612)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 노래는 이후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에 의해 <거지소녀 the Beggar Maid>라는 시로 쓰였다.
옛날 아프리카에 코페투아라는 왕이 있었다.
코페투아 왕은 평소 여자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이었는데, 어느 날 거리를 지나던 예쁜 거지소녀를 보고 한눈에 반하게 되었다.
왕이 거지소녀와 사랑에 빠지자 궁전에서는 반발이 일어나고 왕은 거지소녀와 왕좌 중 하나를 택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왕은 사랑을 택했다.
젊은 시절부터 이 이야기에 매료된 번-존스는 코페투아 왕의 아름다운 사랑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세로로 긴 그림의 중앙에 청순한 모습의 거지소녀가 앉아 있다.
남루한 옷을 걸쳤지만 아름다운 얼굴과 몸을 가지고 있으며 이목구비가 또렷하다.
얼굴과 가슴, 팔과 발은 우유 빛으로 빛나며 오른손에 아네모네 꽃을 들고 있다.
갑옷을 입은 왕은 그 앞에 앉아 소녀를 바라본다.
손에 왕관을 들고 있는데, 소녀에 대한 경의의 표시인 동시에 그가 버리게 될 왕좌를 시사한다.


<황금계단 The Golden Stairs>에는 독특한 선묘가 주는 신비로움이 있다.
화면 속의 계단은 반원을 그리며 둥그렇게 돌아가고 있다.
그 위를 거니는 18명의 소녀들은 다양한 포즈와 표정을 짓고 있다.
그들은 움직이고 있지만 번-존스의 특유의 정지한 모습이다.
이는 사람과 사물을 철저하게 장식적 수단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18명의 소녀를 그리면서 그는 자신이 아끼는 모델 안토니아 카이바 한 사람만을 썼다.
다양한 동작이 비슷하게 보이는 이유는 모든 동작이 한 모델에게서 나온 탓이다.
얼굴은 친지들의 것들에서 따왔다.
<황금계단>이란 제목은 단테의 시구에서 따왔지만, 이 작품은 계단과 관련된 특정한 이야기나 신화, 전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단지 그가 이런 시각적 상황을 묘사하고 싶어서 그렇게 한 것에 불과하다.


번-존스의 작품에 나타난 특징들 가운데 하나는 긴 행렬, 특히 여성들의 행렬과 같은 선의 사용이다.
이는 단지 그의 특징만은 아니다.
19세기 후반에 많은 화가들이 사용했다.
이런 방법의 창시자는 1857년에 <사과 꽃 Apple Blossoms>을 그린 밀레이이다.
이런 방법이 사용된 번-존스의 작품으로는 <성 바르바라 St. Barbara>, <성 도로테아와 성 아그네스 St. Dorothea and St. Agnes>, <녹색의 여름 Green Summer>, <시간 The Hours>, <예수의 무덤에 있는 막달라 마리아 Mary Magdalene at the Sepulchre>, <왕과 양치기 King and Shepherd> 등이다.
그러나 이것들 중 가장 훌륭한 작품은 <방앗간>과 <비너스의 거울 The Mirror of Venus>이며, 두 작품에서 그의 회화적 중요한 특징인 우아함이 드러난다.
이는 곡선의 묘미를 구사하여 장식적 구도 속에 시적 세계를 표현하는 독자적인 화풍을 창안해낸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1445-1510) 회화의 특징이기도 하다.
보티첼리는 반쯤 미끄러지는 듯한, 반쯤은 총총 걸음을 걷는 듯한 움직임을 묘사했는데 이는 서양미술사에서 차분한 여성의 움직임을 가장 가볍고 경쾌하게 묘사한 것이다.
이는 <성 삼위일체 Holy Trinity>의 아래에 있는 천사들과 <토비트 Tobias> 서에 등장하는 작은 인물들에서, 그리고 <풍요 Abundance>의 드로잉에서 나타난다.
번-존스는 이런 특징에 감동을 받았으나 자신의 작품에서는 살리지 못했다.
그는 우아함을 육중함에 이를 정도로까지 밀고 나갔다.
<비너스의 거울>에서는 모든 동작이 멈췄다. 모두 닮아 보이는 소녀들은 일렬로 늘어선 채 연못을 들여다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번-존스의 <잠자는 미녀 The Sleeping Beauty>





번-존스는 화가로 활동하던 내내 연작을 그렸다.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잠자는 미녀의 이야기에 근거한 들장미 연작으로 1871년부터 1890년까지 그렸다.
이 작품들은 파링던 경Lord Faringdon이 구입하여 버크셔Berkshire의 버스콧 파크Buscot Park에 있는 자신의 응접실에 걸어놓았다.
번-존스는 계속해서 새로운 패널을 추가로 제작했다.
벽난로 위에 있는 패널인 <찔레장미 연작 Panel from Briar Rose Series> 중에서 <잠자는 미녀 The Sleeping Beauty>는 걸작들 중 하나이다.
이 작품에서 소녀들은 그의 작품에서 가장 특징적인 면, 즉 잠을 자고 있는데 그 위로 드리워진 격렬한 휘장의 주름이 이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유연하게 조용히 뻗어나가며 공간을 폐쇄시키는 날카로운 찔레나무를 그린 <찔레장미 연작> 중에서 <찔레나무 The Briar Wood>는 전형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동요 없고 정적인 인물들 뒤에서 길게 끌리는 선, 때때로 휘감기는 듯한 선을 그려 넣는 것을 좋아했다.
<레바논의 신부 Sponsa de Libano>의 옷 주름, <현혹된 멀린>과 <폐허에서 싹튼 사랑 Love among the Ruins>의 엉켜있는 나무덩굴, <님프의 정원에 있는 페르세우스 Perseus in the Garden of the Nymphs>의 산 형태, 특히 <바다뱀을 물리치는 페르세우스 Perseus Slaying the Sea Serpent>의 둘둘 감겨 대담한 리듬의 효과를 내는 뱀의 형태가 그 예이다.

<바다뱀을 물리치는 페르세우스>는 페르세우스 연작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작품으로 보수당의 아서 발푸르Arthur Balfour가 계획한 정부의 장식 사업을 위해 그린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양식화된 바위풍경을 배경으로 나약하고 여성적인 영웅과 나른하게 구불거리고 있는 뱀과 싸우는 장면 어디에도 사실적인 요소가 없다.
오로지 여성의 누드만 사실적이다. 여기에는 남성의 칭찬을 받을 가치가 있는 번-존스 회화의 한 측면이 있는데, 그가 은밀하고 관음증적인 누드를 그렸을지라도 빅토리아 시대 중기에 지속된 누드의 동면기를 종료시켰기 때문이다.
라파엘전파의 시기에는 불행하게도 누드화가 사라졌는데 그의 작품에서 누드를 다시 볼 수 있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었다.
그가 누드를 그린 시기는 역사적으로 자연주의가 이상주의와 결합할 수 있던 때였다.
그의 작품에서 라파엘전파주의가 하락의 길을 걷게 되었음을 본다.
라파엘전파주의가 세부에 대한 관심, 자연, 근대성, 다양성을 표현하려는 태도, 따뜻한 정서 등과 같은 사실주의 원칙에 집중한 시절에서 멀어졌음을 본다.
더 이상 작품에서 생기를 발견할 수 없으며, 1850년대 라파엘전파의 주요 특징이었던 미술과 관람자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번-존스의 상상의 세계가 얼마나 큰지를 알게 해주는 작품이 <플루톤과 프로세르피나 Pluto and Proserpine>로 신화의 한 장면을 그린 드로잉으로 관람자의 눈은 끊임없는 리듬을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여기에 나타난 많은 인물들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며, 플루톤은 지하세계의 왕 하데스Hades를 가리키고 프로세르피나는 페르세포네를 가리킨다.
사자 세계의 지배자인 동시에 지하의 부富를 인간에게 가져다준다고 해서 플루톤富者이라고 했다.
플루톤는 크로노스와 레아의 아들로 제우스, 포세이돈과는 형제지간이며 그들은 크로노스와 그 일족을 정복한 뒤 제우스는 하늘, 포세이돈은 바다, 플루톤(하데스)은 명계의 지배권을 차지했다.
플루톤은 테메테르의 딸 프로세르피나를 아내로 삼았다.
그가 지배하는 사자의 나라는 지하에 있으며 그 경계는 스틱스Styx 혹은 아케론Acheron이라는 강이 있어 나룻배 사공 카론charon이 사자를 건네준다.
입구에는 사자가 명계에서 나가지 못하도록 케르베로스Cerberos라는 개가 감시하고 있다.
플루톤의 모습은 제우스 포세이돈을 닮아서 당당해 보이지만 머리카락이 이마까지 내려온 어두운 표정이며, 손에는 명계의 왕을 상징하는 홀笏을 들고 있다.
때로는 케르베로스와 함께 표현되기도 한다. <플루톤과 프로세르피나>는 네덜란드 화가 얀 토로프Jan Toorop(1858-1928)의 뛰어난 상징주의와 아르누보 작품인 <세 신부 The Three Brides>와 매우 유사하다.
1887년에 브뤼셀의 화가들 그룹 뱅(20인회)에 가입한 얀 토로프는 유럽 북부에서 유행한 아르누보의 중요한 인물이다.

때때로 마법의 세계로 이탈하는 번-존스의 세계는 영국인에게는 정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아마도 어린 시절에 들은 요정 이야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라파엘전파가 영국인의 의식에 깊이 파고든 이유들 중 하나이다.
물속에서 일어나는 놀라운 일을 묘사한 <깊은 바다 속 The Depths of the Sea>은 뱃사람들의 전설을 토대로 제작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이는 그의 어떤 작품과도 유사한 데가 없다.
포로의 허리를 팔로 휘감으며 관람자의 얼굴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인어 얼굴의 매력은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
이 같은 이탈 이후에 유토피아는 친숙한 영역으로 느껴졌다.
그리고 윌리엄 모리스의 사회주의적 로맨스 <존 볼의 꿈과 왕의 교훈 A Dream of John Ball and a King's Lesson>에 대한 목판 삽화(는 번-존스도 때때로 훌륭한 디자인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런 목판화 작품은 월터 크레인Walter Crane(1845-1915)과 같은 화가들의 작품과, 미술가조합Art Workers' Guild, 미술공예전시협회Arts and Crafts Exhibition Society와 같은 조직의 생산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제티와 번-존스의 작품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었던 라파엘전파의 흐릿한 윤곽선 처리, 비현세적인 유형을 많은 화가들이 따라 하게 되었다.
윌리엄 홀먼 헌트조차 이런 경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1850년에 그린 <샬롯의 귀부인 The Lady of Shalott>이라는 초기드로잉에서부터, 목슨이 출간한 테니슨 시집의 삽화, 그리고 후에 유화로 변화한 결과를 살펴보면 잘 나타난다.
<샬롯의 귀부인>은 오히려 앤서니 프레더릭 샌디스Anthony Frederick Sandys(1829-1904)의 <요정 모건 Morgan le Fay>과 유사하다.
주로 독학으로 화가가 된 프레더릭 샌디스(전파 176)는 1857년에 로제티를 만나 라파엘전파에 가담했다.
1860년대에 그는 잡지 <원스 어 위크 Once a Week>에 실린 목판화를 제작했으며, 그중 <늙은 차티스트 운동가 The Old Chartist>는 뛰어난 예이다.

라파엘전파의 후기단계에서 나타나 자신만의 뚜렷한 양식을 발전시킨 오브리 빈센트 비어즐리Aubrey Vincent Beardsley(1872-98)의 작품에는 번-존스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브라이턴Brighton 출신의 비어즐리는 어린 시절 신동이었다.
그는 병적일 정도로 독서에 집착했으며, 이 같은 열광적인 지식욕은 결핵으로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는 자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비어즐리는 번-존스를 숭배했으며, 그가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것도 번-존스의 충고 때문이었다.
그는 번-존스의 격려에 힘입어 1891년부터 <아서 왕의 죽음>에 삽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아서와 이상한 망토 Arthur and the Strange Mantle>와 같은 초기작품에서는 라파엘전파의 영향이 뚜렷하며 이는 번-존스 드로잉의 선형주의Linearism와 윌리엄 모리스의 책 디자인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비어즐리는 비록 모리스의 공예품 제작 이론에는 반대했지만 라파엘전파와 모리스의 후예라 할 수 있는데, 미술에 가장 근대적인 인쇄기술을 활용하고 보급시킴으로써 공허한 복고주의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번-존스는 모리스와 함께 모리스상회를 위한 태피스트리와 스테인드글라스도 디자인했다.
그가 디자인한 창문은 옥스퍼드에 소재하는 그리스도 교회와 버밍엄 성당을 포함하여 영국의 많은 교회에서 볼 수 있다.
화가이면서 공예가라는 이상을 되살린 선구자로서 그가 미친 영향은 오래 지속되었으며 특히 20세기의 산업디자인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그는 1894년에 준남작 작위를 받았다. 타계한 뒤 그림보다는 장식디자인, 특히 교회 장식용 스테인드글라스의 디자인 분야에서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금속, 석고, 타일 등으로 부조를 제작했으며 피아노와 오르간을 장식했다.
그는 모리스가 경영하는 권위 있는 켐스콧 프레스에서 펴낸 책들에 삽화를 그리는 한편, 1896년에는 켐스콧 프레스에서 펴낸 <제프리 초서 Geoffrey Chaucer>에 87점의 도안을 그렸으며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으로 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