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부류의


 두 부류의 신앙 → 두 갈래 믿음 / 두 가지 믿음

 세 부류의 사람 → 세 갈래 사람 / 세 가지 사람

 어떤 부류의 책인가 → 어떤 갈래인 책인가 / 어떤 책인가

 같은 부류의 이야기 → 같은 갈래 이야기 / 같은 이야기

 그런 부류의 사람이다 → 그러한 사람이다 


  ‘부류(部類)’는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대상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 놓은 갈래”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갈래’로 손볼 만합니다. ‘부류 + 의’ 꼴로 쓰는 말투를 살피면 ‘갈래’나 ‘가지’로 손보면 될 텐데,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부류’라고만 써도 돼요. 그리고 ‘부류의’를 통째로 덜어도 됩니다. 2016.8.6.흙.ㅅㄴㄹ



이와 같은 부류의 인간 존재는 사회악이다

→ 이런 부류 사람들은 사회악이다

→ 이와 같은 사람들은 사회에 나쁘다

→ 이런 사람들은 사회를 어지럽힌다

→ 이들은 사회를 어지럽힌다

→ 이들이 있으면 사회에 도움이 안 된다

《A.C.피구우/송기철 옮김-자본주의 대 사회주의》(문교부,1958) 13쪽


다양한 부류의 지지를 받고 있다

→ 다양한 부류한테서 지지를 받는다

→ 수많은 갈래에서 손뼉을 받는다

→ 수많은 곳에서 믿고 따른다

→ 숱한 사람들한테서 믿음을 산다

→ 숱한 곳에서 믿음을 산다

《어니스트 칼렌바크/노태복 옮김-생태학 개념어 사전》(에코리브르,2009) 18쪽


내가 존경하는 부류의 사람들이었다

→ 내가 존경하는 사람들이었다

→ 내가 우러를 만한 사람들이었다

《로알드 달/최지현 옮김-로알드 달의 위대한 단독 비행》(살림Friends,2016) 52쪽


그런 부류의 사람임을 직감적으로 느꼈다

→ 그런 사람인 줄 곧바로 느꼈다

→ 그러한 사람인 줄 바로 느꼈다

《디에고 아르볼레다/김정하 옮김-책 읽기 금지》(분홍고래,2016) 6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