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김이


  똑똑한 사람을 두고 ‘똑똑이’라 해요. 뚱뚱한 사람을 두고 ‘뚱뚱이’라 해요. 멍청한 사람을 두고 ‘멍청이’라 해요. 눈이 애꾸인 사람을 두고 ‘애꾸눈이’라 해요. ‘고기잡이·앞잡이·칼잡이’나 ‘길잡이·글쓴이·엮은이’처럼 ‘-이’가 붙어서 어떤 사람을 나타내고요. 착한 사람이라면 어떤 이름이 될까요? ‘착한이’가 되지요. 고운 사람이라면 어떤 이름이 될까요? ‘고운이’가 되어요. 이러한 결을 살피면, ‘맑은이·멋진이(멋쟁이)·놀람이·사랑이·기쁜이(기쁨이)·슬픈이(슬픔이)·성난이·뿔난이’라든지 ‘배움이·가르침이·나눔이·돌봄이·도움이·지킴이·웃음이·눈물이’ 같은 이름을 아기자기하면서 재미나게 지을 만해요. 인터넷을 하다 보면 ‘즐겨찾기’를 할 수 있어요. 즐겁게 찾아가는 곳이기에 ‘즐겨찾기’예요. 그러니, 즐겁게 먹으면 ‘즐겨먹기’이고, 즐겁게 노래를 부르면 ‘즐겨부르기’이며, 즐겁게 놀면 ‘즐겨놀기’입니다. ‘즐기기’라고만 해도 되지만, ‘즐겨하기·즐겨듣기·즐겨보기·즐겨읽기·즐겨가기’처럼 새롭게 쓸 수 있어요. 이렇게 온갖 일을 즐겁게 하는 사람이라면 ‘즐김이’가 되고요. 즐김이에는 ‘만화즐김이·영화즐김이·노래즐김이·책즐김이·여행즐김이·낮잠즐김이’를 비롯해서 온갖 즐김이가 있어요.


+


타는곳


  자동차나 버스나 기차나 배나 비행기를 ‘탈’ 적에 어떻게 하나요? 그냥 ‘탈’ 테지요. ‘내릴’ 적에는 어떻게 하지요? 그대로 ‘내릴’ 테지요. 차를 타고 내릴 적에는 “타고 내리기”를 합니다. 그런데, “타는 곳”이나 “내리는 곳”은 같기 일쑤예요. “타는 곳”은 타는 자리이면서 내리는 자리가 되고, “내리는 곳”은 내리는 자리이면서 타는 곳이 되어요. 자그마한 도시나 시골은 한 곳에서 두 가지가 이루어져요. 예전에는 ‘승강장·승하차장’ 같은 한자말을 썼으나, 요새는 ‘타는곳’이라는 새로운 한국말을 씁니다. 전철이나 지하철에서는 모두 ‘타는곳’이라고 해요. 타는 자리하고 내리는 자리가 다르다면 ‘타는곳·내리는곳’을 따로 둘 만해요. 버스에는 ‘타는문·내리는문’이 따로 있기도 해요. 전철이나 지하철에서는 ‘갈아타는곳’이 있지요. ‘갈아타는곳’이라는 이름이 길면 ‘샛곳·샛목’이나 ‘이음곳·이음목’ 같은 이름을 쓸 수 있어요. ‘사이’를 ‘잇는다’는 뜻에서 ‘샛목·이음목’ 같은 말을 써요. 기차나 버스를 타는 곳은 ‘터’라는 말을 붙여서 ‘기차터·버스터’처럼 써도 재미있고, 택시를 타는 곳은 ‘택시터’라 해 볼 수 있어요. 기차터나 버스터를 보면, 기차가 드나드는 때를 기다리도록 ‘맞이방’이 있습니다. 마중하거나 배웅하면서, 또 기다리면서 ‘맞이방’에서 쉬지요.


+


잔치


  아기가 태어나면 어버이는 대단히 기쁩니다. 어버이는 아기가 딸인지 아들인지 구태여 가리지 않습니다. 아기는 새롭게 태어난 목숨으로서 기쁘며 반가운 사람이에요. 처음 세이레(석 주) 동안 아기를 고요한 곳에서 알뜰히 보살핀 뒤에 햇볕을 쪼입니다. 온날(백 날)에 이르면 ‘온날잔치’라고 할 ‘백날잔치(백일잔치)’를 열어서 이웃한테 널리 절을 시키지요. 오롯이 온(100) 나날을 자랐기에 앞으로 씩씩하게 잘 크겠다는 뜻이면서, 아기를 낳아 돌보는 두 어버이를 기리는 뜻이에요. 아기가 처음으로 걸음을 뗄 즈음에 돌잔치(한살잔치)를 하지요. ‘한돌잔치’나 ‘첫돌잔치’ 뒤에는 ‘두돌잔치’이고, 이윽고 ‘석돌잔치’랑 ‘넉돌잔치’를 지나요. 해마다 무럭무럭 크는 아기이니 해마다 생일에 잔치를 베풀어 기쁨을 나눌 만합니다. 지난날에는 어른이 예순 살까지 사는 일이 드물었다고 해서 ‘예순잔치(환갑잔치)’를 열었어요. 또 ‘일흔잔치’나 ‘여든잔치’를 열지요. 마을에서는 ‘마을잔치’를 벌이고, 나라에서는 ‘나라잔치’를 벌여요. 새봄에 꽃이 흐드러지면 ‘벚꽃잔치’나 ‘유채잔치’나 ‘매화잔치’ 같은 ‘꽃잔치’를 열고, 봄가을에 흔히 여러 고장에서 ‘책잔치’를 열어요. 함께 기뻐하고 서로 즐겁게 살림을 북돋우려는 뜻에서 ‘잔치마당’을 즐깁니다.


+


단추


  단추로 잠그는 옷이 있고, 쭈르륵 올려서 잠그는 옷이 있어요. 예부터 한겨레가 입던 저고리나 두루마기에는 단추가 아니고 천을 엮어서 단단하게 뭉친 ‘고름(옷고름)’이 있어요. ‘고름·옷고름’은 단추하고 비슷한 구실을 해요. ‘단추’나 ‘고름’은 옷에서 살짝 튀어나오기 마련입니다. 도드라져 보이지요. 이러한 모습을 헤아리면서 “누르는 것”을 가리키는 곳에서도 ‘단추’라는 낱말을 쓰고, 따로 ‘누름단추’처럼 쓰기도 해요. 버스에서 내릴 적에 바로 이 단추(누름단추)를 눌러요. 그런데 영어에서는 ‘벨(bell)’하고 ‘버튼(button)’하고 ‘버저(buzzer)’가 있어요. 요새는 이런 영어를 그대로 쓰기도 하는데, 두 가지 모두 ‘단추’로 쓸 수 있고, ‘누름단추·누름쇠·알림단추’처럼 손질하거나 ‘딸랑단추·딩동단추(딩동댕단추)·삐단추(삐익단추)’처럼 소리를 살려서 재미나게 손질할 만해요. ‘부자·부저’처럼 쓰는 말은 일본 말투예요. 처음부터 ‘단추’로 알맞게 쓰면 한결 나았을 텐데, 이도 저도 아니게 온갖 말이 뒤섞이고 말았어요. 어른들은 말을 말답게 다스리지 못했지만, 앞으로 어린이들이 말을 말답게 다스리면서 가꾸어서 새로운 말넋을 갈고닦을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