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짓기와 글쓰기



  오늘날에는 누구나 ‘글쓰기’를 말한다. 지난날에는 으레 ‘글짓기’를 말했고, 일제강점기와 해방 언저리에는 ‘作文’을 말했다. ‘作文’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교육제도와 함께 들어온 ‘일본 한자말’ 가운데 하나이다. 해방 뒤에는 이 낱말을 한글로만 바꾸어 ‘작문’이라는 이름을 썼는데, 초등학교 어린이한테는 ‘글짓기’로 다시 말풀이를 해서 가르쳤다.


  그러면, ‘짓기’와 ‘쓰기’란 무엇인가? ‘짓다’는 “새롭게 나타나도록 하는 일”을 뜻한다. 이 뜻을 바탕으로 “이름을 처음으로 붙이다”와 “집·옷·밥을 마련하다”와 “흙을 가꾸어 먹을거리를 얻다” 같은 쓰임새가 나타났다. ‘글’이 태어나서 퍼진 지 얼마 안 된 터라, ‘글을 짓다’ 같은 쓰임새는 한참 뒤에야 나타났다. ‘짓다’는 요즈막에 들어서서야 비로소 “이야기·글·노래를 새로 내놓다”를 뜻하는 쓰임새가 나타난다.


  ‘쓰다’는 “금을 긋거나 줄을 이어서 어떤 모양이 나타나도록 하다”를 뜻한다. 이 뜻을 바탕으로 “더 잘 보이도록, 또는 잊혀지지 않도록 옮기거나 남기다”와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끼는 마음이나 곰곰이 헤아린 이야기를 글로 나타내다” 같은 쓰임새가 나타났다.


  사람이 이룬 삶을 헤아리면, 사람은 누구나 ‘말’로 삶을 나타냈다. ‘말’로 모든 이름을 붙였다. 아주 오랫동안 말로 삶을 지었다. ‘이름짓기’라고 하듯이, 하늘이나 땅이나 풀이나 짐승이나 살림살이와 얽힌 이름을 모두 말로 지었다. 이름짓기란 말짓기요, 말짓기란 삶짓기인 셈이다. 그래서, ‘글짓기’란 이름이나 말이나 삶을 짓듯이, 생각을 지어서 이야기를 새롭게 내놓는 일을 가리킨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와 군사독재를 거치면서 ‘학교 글짓기 수업’은 ‘거짓 웅변 교육’과 ‘위문편지 쓰기’와 ‘새마을 운동 찬양’과 ‘충효 독후감 쓰기’만 일삼았다. 이런 나날이 무척 길었다. 해방 뒤부터 1990년대 언저리까지 이런 끔찍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리하여, 이런 바보스러운 학교교육을 떨쳐내려고 ‘글쓰기’라는 낱말을 새로 ‘짓’는다. 참말 ‘글쓰기’라는 낱말은 새로 ‘지어’서 태어났다(이오덕 님이 지은 낱말이다).


  자, 그러면 생각할 노릇이다. ‘글짓기 교육’이 ‘글쓰기 교육’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학교와 사회와 학원에서 ‘글쓰기’를 슬기롭거나 아름답거나 사랑스럽게 하는가? 예나 이제나 똑같이 틀에 박힌 채 아이들을 짓누르거나 짓밟는 입시지옥만 되풀이하지 않는가? 이름은 ‘글쓰기’로 바꾸었으나, ‘글을 쓰는 일’이 무엇인지 또렷이 느끼거나 생각하지 못하면서 어영부영 흐르지는 않는가.


 ‘글쓰기’는 “우리 마음이나 생각을 수수하게 글로 밝히는 일”이다. ‘글짓기’는 “우리 마음이나 생각을 글로 새롭게 드러내는 일”이다. 글쓰기를 하든 글짓기를 하든 ‘마음·생각·뜻’을 ‘글’로 밝히거나 드러내야 즐겁다. 우리는 스스로 즐거운 마음이 되고 아름다운 생각이 되어 글을 쓸 수 있어야 한다. ‘글짓기’라는 낱말이 어떤 뜻이요, 권력자와 학교 사회가 이 낱말을 어떻게 뒤틀어 놓았는가를 살피지 못한다면, 글을 쓸 수 없다. ‘글쓰기’라는 낱말이 어떤 뜻이며, 이 낱말을 왜 새로 지었는지 헤아리지 못한다면, 글을 읽을 수 없다. 짓고 쓰며 누리는 삶을 돌아보지 못한다면, 글을 알 수 없다. 4347.11.3.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