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1687) 모성적 1 : 어머니 같은 모성적


잡초가 어떻게 피망이나 여타의 작물들을 돕는지에 대해 그는 정확히 알지는 못했지만 잡초는 스스로 채소에게 어머니 같은 모성적 보호자 구실을 하고 있었다

《조지프 코캐너/구자옥 옮김-잡초의 재발견》(우물이 있는 집,2013) 97쪽


 어머니 같은 모성적 보호자 구실을 하고

→ 어머니 같은 보호자 구실을 하고

→ 어머니 같은 구실을 하고

→ 어머니 구실을 하고

→ 어머니처럼 지켜 주고

→ 어머니처럼 보살펴 주고

 …



  ‘모성(母性)’이라는 한자말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가지는 정신적·육체적 성질”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 한자말에 ‘-적’을 붙인 ‘모성적(母性的)’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가지는 성질을 갖춘”을 뜻한다고 해요. 이러한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쓸 수 있습니다만, 어머니로서 어떤 모습을 보여준다면 ‘어머니 모습’이요 ‘어머니 같은 모습’입니다. ‘낯빛’이라는 낱말이 얼굴에 드러나는 기운을 가리키는 만큼 ‘어머니빛’ 같은 낱말을 새로 지어서 “어머니다운 모습이 드러나는 일”을 가리킬 수 있어요.


  어머니는 ‘어머니’입니다. 어머니는 ‘모친(母親)’이 아닙니다. 아버지는 ‘아버지’입니다. 아버지는 ‘부친(父親)’이 아닙니다. 그리고, 어버이는 ‘어버이’일 뿐, ‘양친(兩親)’이 아니에요.


  ‘모성적’ 같은 낱말은 한국사람이 스스로 한국말을 옳게 못 쓰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어머니를 언제나 ‘어머니’라 말한다면 이런 한자말을 쓸 일이 없고, 보기글에서처럼 “어머니 같은 모성적 보호자” 같은 겹말을 쓸 일도 없습니다. 보호자라면 “어머니 같은 보호자”입니다. “어머니처럼 보살피는 사람”입니다. “어머니가 되어 돌보는 사람”이요 “어머니 마음으로 보듬는 사람”입니다. 4347.7.23.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풀이 어떻게 피망이나 다른 남새를 돕는지 그는 제대로 알지는 못했지만 풀은 스스로 남새를 어머니처럼 보살펴 주었다


‘잡초(雜草)’는 ‘풀’로 다듬고, “여타(餘他)의 작물(作物)들을 돕는지에 대(對)해”는 “다른 남새를 돕는지를”로 다듬으며, ‘정확(精確)히’는 ‘제대로’나 ‘또렷이’나 ‘올바로’로 다듬습니다. ‘채소(菜蔬)’는 ‘남새’로 손보고, “보호자(保護者) 구실을 하고 있었다”는 “보호자 구실을 했다”나 “지켜 주었다”나 “보살펴 주었다”로 손봅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