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나이와 철



  나는 어릴 적부터 ‘나이 많은 사람이 두렵다’고 느낀 적이 없습니다. ‘돈 많은 사람이 어렵다’고 느낀 적도 없습니다. 그저 그럴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사회에서는 늘 ‘나이·돈·이름·힘’이 많거나 높거나 큰 사람이 앞에 있으면 고개를 숙이라고 했어요.


  국민학교 낮은학년 때였지 싶은데, 조선 무렵 역사를 이야기하던 교사는 예전에 임금 같은 사람이 지나갈 적에 모두 고개를 숙이거나 엎드려야 한다고 했어요. 이때에 고개를 안 숙이거나 안 엎드리면 목아지를 치거나 죽이기까지 했다고 했어요.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 ‘오늘 우리 사회는 신분과 계급이 없이 평등하다’고 했는데, 내 마음으로는 예나 이제나 똑같이 안 평등하다고 느꼈어요. 왜냐하면, 예전에는 권력으로 누가 누구를 죽이거나 괴롭혔다면, 오늘날에는 나이나 돈이나 이름이나 힘 따위로 누가 누구를 죽이거나 괴롭히거든요.


  어릴 적인데, 언젠가 ‘철’이라는 낱말을 동네 어느 할아버지가 알려주었어요. 철이 들지 않으면 어른이 아니라고 했어요. 철이 들 때까지는 모두가 아이라고 했어요.


  이 말을 듣고 할아버지한테 여쭈었지요. 내 나이가 마흔이 되어도 철이라는 것이 들지 않으면 어른이 아니냐고. 할아버지는 그렇다고 했어요. 다시 여쭈었어요. 내가 할아버지만큼 나이를 먹어도 철이 들지 않으면 어른이 아니냐고. 할아버지는 또 그렇다고 했어요.


  우리는 현대 물질문명 사회가 되면서 제대로 가르치거나 배우지 못합니다. 아니, 제대로 가르치던 틀이 사라졌고, 제대로 배우던 삶이 사라졌어요.


  오늘날 사회에서는 ‘어린이’라는 낱말이 새로 태어났고, ‘청소년(또는 푸름이)’이라는 낱말도 새로 태어났습니다. 이러한 새 낱말은 학교에서 씁니다. 그래서, 학교와 사회에서는 ‘아이·학생·어른(성인)’으로 사람을 가릅니다. 무척 오랫동안 ‘학생 표’와 ‘어른 표’로 나누던 사회였어요. 요즘에는 ‘청소년 표’라는 이름이 생겼지만, 시골에서는 아직도 ‘초등학생 표’와 ‘중학생 표’와 ‘고등학생 표’를 가르곤 합니다.


  우리는 사람을 나이로 보거나 이름이나 돈이나 힘 따위로 보는 틀에 익숙하거나 길듭니다. 그런데, 한국이라는 사회는 한 가지 재미있어요. 때때로 ‘나이’를 넘어서거나 ‘힘’이나 ‘이름’이나 ‘돈’을 넘어서곤 해요. ‘족보에 따라 몇 대 손’인가를 따질 때에 그래요. 나이는 어려도 항렬이 높으면 ‘어르신’으로 모시면서 높임말을 쓰지요.


  어릴 적부터 이 두 가지 사회 얼거리를 보면서 늘 궁금했어요. 우리 사회 한쪽에서는 사람을 껍데기(겉)로 갈라요. 이러면서 우리 사회 다른 한쪽에서는 사람을 알맹이(속)로 갈라요. 그러면, 우리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어떤 목숨이고 어떤 사람일까요.


  우리가 스스로 사람을 갈라야 한다면, 나이라든지 항렬 같은 것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갈라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니까, ‘철’이라는 것으로 갈라야, 아니, ‘철’로 사람을 바라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철은 우리 넋을 가리키는 낱말이면서 날씨를 가리키는 낱말입니다.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을 가리키는 철인 한편, 우리 마음바탕이 어떠한가를 살피는 철입니다. 마음바탕을 살피는 철일 때에는, 마음에 어떤 빛이 있는가를 헤아립니다. 겉(몸)을 살피는 철일 때에는, 우리 몸이 발을 디디며 살아가는 터전인 지구별을 헤아립니다.


  철을 아는 사람은 날씨를 알고, 날씨를 안다고 할 적에는 지구별 흐름을 알고 온누리(우주)를 압니다. 철이 든 사람은 마음을 다스릴 줄 압니다. 마음을 다스릴 줄 알 때에는 스스로 하루를 새롭게 지을(창조) 수 있습니다. 날마다 스스로 하루를 새롭게 짓는 사람은 ‘하루가 이어진 하루’를 늘 한결같이 누리고, 하루와 하루와 하루(어제와 오늘과 모레,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언제나 하나인 채 살아요.


  그래서, 나는 어릴 적부터 꿈을 한 가지 품었습니다. “어른이 되고 싶습니다”예요. 곧, 나는 철이 들어야겠지요. 철을 바라볼 줄 알아야겠고, 철을 느끼면서, 철을 몸과 마음으로 고루 받아들여서 삶을 지어야겠지요.


  다시 말하자면, 나는 나이를 생각하지 않습니다. 꽤 되었어요. 나이를 생각하지 않은지. 나이를 생각하지 않으니, 생일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 생일도, 우리 집 아이들 생일도, 내 어버이 생일도, 내 동무들 생일도 생각하지 않아요. 너무 마땅히, 내 둘레 사람들 나이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 마음을 사로잡는 책을 읽을 적에도, ‘책을 쓴 사람(작가)’이 나이가 몇 살인가를 따지지 않아요. 노래를 들을 적에도 노래를 짓거나 부른 사람이 몇 살인가를 따질 일이 없습니다. 4347.6.21.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빛을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