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님이 누고 간 똥
정세기 지음, 고성원 그림 / 창비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사랑하는 시 32



어린이와 부르는 바람노래

― 해님이 누고 간 똥

 정세기 글

 고성원 그림

 창비 펴냄, 2006.1.20.



  나무그늘에서 놀면 시원합니다. 나무그늘에서 자면 시원합니다. 나무그늘에 앉아서 책을 읽으면 시원합니다. 건물이 드리우는 그늘에서는 시원하다고 느끼지 못하지만, 나무가 드리우는 그늘에서는 시원하다고 느낍니다. 큰 자동차가 만드는 그늘에서도 시원하다고 느끼지 않지만, 나무가 그늘을 만들면 시원하다고 느낍니다.


  나무 곁에 서서 소리를 듣습니다. 바람이 세게 부는 날에는 나뭇가지와 나뭇잎이 물결처럼 일렁이는 소리가 납니다. 바람이 옅게 부는 날에는 나뭇가지와 나뭇잎이 살랑살랑 속삭이는 소리가 납니다. 바람이 새근새근 자는 날에는 나뭇가지와 나뭇잎이 가만히 서서 해바라기를 하는 웃음소리가 조용히 흐릅니다.



.. 단독주택에 살 때는 / 우리 집을 / 한결이네 집이라 했는데, / 아파트로 이사 오니 / 모두들 503호라고 해요 ..  (아파트 1)



  나무가 있는 곳에서 놀 때에는 한참 놀다가 나무 밑에 모입니다. 저마다 줄줄 흘리는 땀을 식히고 다리를 쉽니다. 살짝 쉬다가 나무 밑에서 새로운 놀이를 떠올립니다. 나무 밑에서 흙을 밟으면서 놀고, 그저 맨손이라 하더라도 온갖 손놀이를 만들어 내요. 이러다가 땀이 식을 즈음 나무를 타지요. 높이 올라가든 몇 발 못 올라가든 나무를 탑니다. 나무를 만지고, 온몸을 나무에 기대며, 낭창거리거나 휘청거리는 나뭇가지를 느낍니다.


  이때 나무는 무엇을 느낄까요. 저를 타고 오르겠다는 조그마한 아이들을 만날 적에 나무는 어떤 생각을 할까요. 꼬맹이를 귀엽다고 여길까요. 꼬맹이가 디디는 발도 아프다고 여길까요. 나뭇가지가 부러지거나 나뭇잎이 떨어지면 서운하다고 여기려나요. 이 아이들이 앞으로 얼마나 오래 찾아와서 놀아 줄까 하고 먼먼 나날을 그릴까요.



.. 할 수 없이 강아지를 / 외갓집에 다시 데려다 주었습니다. // 엄마, 우리도 / 마당이 있는 집으로 이사 가요. // 내 말에 엄마는 / 아무 대꾸도 하지 않았습니다 ..  (아파트 2)



  나무가 서면 새가 모입니다. 새는 나무가 있는 곳에 내려앉습니다. 새는 섣불리 맨땅에 내려앉지 않습니다. 새는 맨땅에 내려앉더라도 가까이에 나무가 있는지 없는지 살핍니다. 새로서는 제 몸을 숨길 만한 나무가 있어야 느긋합니다.


  나무가 서고 새가 모이면, 나무에 깃들던 애벌레는 숨을 죽입니다. 그렇지만 새는 곧바로 알아채요. 웬만큼 자란 애벌레는 머잖아 고치를 틀어 나비로 깨어날 텐데, 마지막 한때를 버티지 못하고 새한테 먹이가 됩니다.


  나무는 모두 지켜봅니다. 나비가 낳은 알이 애벌레로 깨어나서 제 잎사귀를 갉아먹는 모습을 지켜보고, 나비가 되기 앞서 새한테 잡아먹히는 애벌레를 지켜봅니다. 그리고, 새한테 잡아먹히지 않고 살아남아서 나비로 깨어난 뒤, 나무 둘레를 팔랑팔랑 날아다니면서 나무가 피운 꽃에 가만히 앉아서 꿀이나 꽃가루를 빨아먹으면서 꽃가루받이를 도와주는 모습까지 낱낱이 지켜봅니다.



.. 애국 조회 시간에 / 교장 선생님이 말씀하신다. // 줄을 똑바로 섭시다 / 깟 / 청소를 잘합시다 / 깟깟 / 조용히 합시다 / 깟깟깟 ..  (까치 소리)



  그런데, 사람들이 나무를 벱니다. 사람들이 나무를 벤 자리를 깊이 팝니다. 사람들이 나무를 벤 자리를 깊이 파더니 돌을 쏟아붓고 시멘트를 붓거나 아스팔트를 깝니다. 때로는 우람한 쇠붙이를 파묻습니다. 아이에서 어른이 된 사람들은 나무가 아파 하는 소리를 듣지 않습니다. 아이를 지나 어른이 된 사람들은 나무가 얼마나 눈물을 흘리는지 알아채지 못합니다.


  새로운 고속도로가 납니다. 새로운 송전탑이 섭니다. 새로운 발전소가 들어서고, 새로운 공장과 골프장이 늘어납니다. 사람들은 종이를 많이 써야 하기에 나무를 베고 또 베며 자꾸 벱니다. 새로운 나무가 자라기 앞서 자꾸자꾸 나무를 벱니다.


  옛날에는 배도 나무로 뭇고, 집도 나무로 지으며, 땔감도 나무로 썼어요. 그러나 옛날에는 나무가 모자라지 않았습니다. 다만, 나무를 끔찍하게 베어 없앤 몇몇 유럽 문명은 이슬처럼 사라졌어요. 나무가 사라지면서 숲이 사라지면 냇물이 마르고 가뭄이 들면서 논이고 밭이고 말라비틀어질밖에 없습니다. 나무를 아끼지 않는 문명은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나무가 우거지는 숲을 지키지 않는 문화는 모조리 없어지기 마련입니다.



.. 와글와글 개구리 떼 / 그 소리만큼이나 수많은 / 밤하늘에 / 총총한 별들 / 들꽃 향기로 밀려온다 ..  (여름밤)



  정세기 님 동시집 《해님이 누고 간 똥》(창비,2006)을 읽습니다. 정세기 님은 동시가 아닌 어른시를 쓰던 분인데, 이녁 몸이 몹시 아파서 끙끙거릴 적에 손으로도 못 쓰는 글을 입으로 읊으면서 옮겨적도록 했다고 합니다.


  정세기 님은 왜 이녁 마지막 삶자락을 어른시 아닌 동시로 마무리지었을까요. 정세기 님은 어떤 넋을 동시 한 줄에 담고 동시 두 줄에 실으며 동시 석 줄로 들려주려고 했을까요.



.. 민속촌에 가서 / 호미를 보았어요. // 민속촌에 가서 / 쟁기를 보았어요. // 민속촌에 가서 / 따비도 보았어요 ..  (민속촌에서)



  요즘 도시 아이들은 호미도 쟁기도 모릅니다. 요즘 도시 어른들도 호미나 쟁기를 모릅니다. ㅅㄱㅇ이라고 하는 한국에서 내로라하는 대학교를 다니는 젊은이는 호미나 쟁기를 알까요. 요즘 시골 아이들도 호미나 쟁기를 잘 모르는데, 신문기자나 방송피디는 호미질이나 쟁기질을 할 줄 알까요. 먹는 풀과 실을 얻는 풀과 바구니를 엮는 풀을 가릴 줄 아는 아이나 어른은 요즘 몇이나 될까요.


  아이들과 부를 바람노래를 생각합니다. 나는 시골집에서 두 아이와 살아가면서 나 스스로 바람노래를 부르자고 생각합니다. 아이한테 물려주는 바람노래이면서, 어른인 내 삶을 사랑하고 아끼는 바람노래를 부르자고 생각합니다.


  바닷가에 서면 바닷내음 물씬 흐르는 바람노래를 부릅니다. 들에 서면 들빛 곱게 번지는 바람노래를 부릅니다. 부엌에서 밥을 지으면 솔솔 밥 익는 냄새 고이 감도는 바람노래를 부릅니다. 척척 빨래를 하면서 싱그러운 새 빛으로 다시 태어나는 바람노래를 부릅니다.


  바람이 불어 지구별이 푸르고, 바람이 불어 여름이 시원하며, 바람이 불어 온누리 풀과 나무가 기쁘게 웃습니다. 4347.6.16.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