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책길 걷기

5. 누가 책을 쓰는가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은 노래를 부릅니다. 누가 노래를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노래를 불러요. 가락이 어긋나더라도 빙긋빙긋 웃으면서 노래를 부르지요.


  춤을 좋아하는 사람은 춤을 춥니다. 춤판이 아니어도 스스로 춤을 추어요. 걸음걸이가 춤사위입니다. 움직임이 언제나 춤짓입니다. 당근을 썰거나 양파를 썰 적에도 덩실덩실 어깨춤이에요. 누가 보건 말건 아랑곳하지 않아요. 왜냐하면 스스로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꽃을 좋아하는 사람은 언제나 꽃을 만납니다. 꽃밭에 가야만 꽃을 볼 수 있지 않아요. 들에서는 들꽃을 봅니다. 숲에서는 숲꽃을 봐요. 길에서는 길꽃을 보지요. 꽃은 들에서도 숲에서도 길에서도 피어납니다. 흙이 있으면 씨앗이 드리워 곱게 피어나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어디에서나 책을 손에 쥡니다. 새와 풀벌레와 개구리가 노래하는 아름답고 호젓한 시골에 깃들어야 느긋하게 책을 읽지 않아요. 시끄러운 북새통인 지하철이나 시내버스에서도 책을 읽습니다. 왜냐하면, 책을 좋아하니까요. 졸음을 쫓으며 책을 읽어요. 더위를 잊으며 책을 읽어요. 스스로 좋아하기에 언제 어디에서나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스스로 좋아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못 합니다. 스스로 좋아하지 않기에 노래를 부르지 않습니다. 좋아해 보셔요. 입에서 ‘좋아!’ 하고 톡 튀어나와요. 싫어해 보셔요. 입에서 ‘싫어!’ 하고 탁 튀어나옵니다. 좋으니 즐겁게 하고, 싫으니 억지로 해요. 좋기에 웃으면서 하고, 싫기에 울면서 겨우 합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어떤 마음일까 헤아려 봅니다. 아이를 좋아해서 사랑스레 낳은 어버이일까요, 아이를 낳기 싫으나 억지로 낳은 어버이일까요. 따사로운 손길로 보살피면서 보드라운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아이를 키우는 어버이라면, 스스로 좋아해서 아이를 사랑스레 낳았으리라 생각해요. 아이를 학원으로만 내몰거나 입시지옥에서 허덕이도록 들볶는다면, 아무래도 스스로 좋아해서 아이를 사랑스레 낳았다고는 여기기 어렵습니다. 아이를 좋아해서 사랑으로 낳은 어버이라면, 언제나 아름답게 웃고 노래하는 삶을 누리도록 돌보는 한편, 마을과 사회를 아름답게 가꾸려고 힘쓰리라 생각해요.


  《말괄량이 삐삐》를 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님이 있습니다. 1907년에 태어나 2002년에 숨을 거두셨어요. 이분이 어릴 적 삶을 돌아보면서 쓴 산문책이 《사라진 나라》(풀빛,2003)라는 이름으로 나온 적 있어요. 이 책에서 린드그렌 님은 “누군가 내 어린 시절의 추억들에 대해 물으면 처음으로 생각나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자연입니다. 자연은 내 모든 나날을 에워싸고 있었고 어른이 된 뒤에도 전혀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렬하게 내 삶을 채우고 있었습니다(93쪽).” 하고 이야기해요. 어릴 적에 숲과 들에서 뛰놀며 자랐다고 해요. 이분이 쓴 작품에 나오는 아이들은 으레 숲과 들에서 뛰노는데, 머릿속으로 지은 모습이 아니라, 바로 린드그렌 님이 보낸 어린 나날 모습이요, 린드그렌 님네 식구들 모습이면서, 린드그렌 님이 어릴 적 함께 놀던 동무들 모습이라고 합니다.


  어릴 적에 숲에서 즐겁게 뛰놀았으니, 이분이 글을 쓸 적에는 ‘숲에서 즐겁게 뛰노는 아이들’이 나옵니다. 삐삐이건 마디타이건 로타이건, 모두 숲에서 살며 숲에서 뛰놀아요. 숲바람을 마시고, 숲에서 피고 지는 꽃을 보며, 숲에서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을 맞이합니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숲을 누리며 숲에서 뛰노는 어린이가 거의 없습니다. 도시에서 입시지옥에 시달리는 어린이만 많습니다. 시골에 살아도 도시와 엇비슷하게 입시지옥에 얽매이는 삶입니다. 이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 글을 쓴다면, 스스로 겪거나 누리거나 본 모습을 담겠지요. 숲을 누리지 못했으니 숲빛을 글로 쓰기 어렵고, 숲내음을 마시지 못했으니 숲놀이를 그리기 어려우며, 숲살이를 즐기지 못했으니 숲사람이 꿈꾸는 이야기를 들려주기 어려워요.


  린드그렌 님은 “상상력이란 바로 어른이 되어 세상을 변화시킬 준비를 하고 있을 때 꼭 필요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일어난 모든 것은 그것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한 인간의 상상 속에서 형태를 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생겨났겠습니까(149쪽)?” 하고 이야기해요. 생각이란 날개이고, 날개는 홀가분합니다. 생각하는 사람은 날갯짓을 하는 삶이고, 날갯짓을 하듯이 생각하는 사람은 홀가분한 넋입니다.


  작가가 책을 쓰지 않습니다. 대학교에 들어가서 문예창작학과를 다녀야 글을 쓰거나 작가가 되지 않습니다. 문학상을 받거나 작품집을 내놓았다고 해서 ‘작가’가 아닙니다. 책을 쓰는 사람은 삶을 즐겁게 누린 사람입니다. 책을 쓰는 사람은 어릴 적에 즐겁게 놀면서 생각날개를 훨훨 펼친 사람입니다. 아름답게 누린 놀이를 나누고 싶은 사람이 글을 쓰고 책을 묶습니다. 사랑스럽게 즐긴 삶을 들려주고 싶은 사람이 글을 써서 책을 내놓습니다.


  좋아하는 마음일 때에 찬찬히 우러나옵니다. 좋아하는 넋일 때에 가만히 샘솟습니다. 좋아하지 않으나 억지로 글을 써야 한다면, 겉보기로는 짜임새가 탄탄하거나 줄거리가 재미있게 보인다 하더라도, 즐겁거나 사랑스러운 책으로 거듭나지 못합니다. 글은 보고서가 아니고, 책은 논문이 아니거든요. 글은 웃음이면서 노래입니다. 책은 사랑이면서 빛입니다. 까르르 웃고 노래하면서 놀던 하루가 글로 태어나요. 어깨동무하면서 숲을 뒹굴던 나날이 책으로 거듭납니다.


  글을 쓰고 싶다면, 먼저 잘 놀아야 합니다. 마음을 활짝 열면서 뛰놀고 나서야 비로소 글이 나와요. 책을 쓰고 싶다면, 풀과 나무가 우거진 숲에 깃들어 고운 바람을 쐬어 보셔요. 가슴을 활짝 펴면서 지구별 기운을 누리면 시나브로 책이 나와요.


  어머니가 아이를 돌본 삶을 책으로 쓸 수 있습니다. 아버지가 자전거로 출퇴근 하던 삶을 책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할머니가 논밭을 일구던 삶을 책으로 쓸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가 나무를 심고 숲을 돌보던 삶을 책으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삶이든 스스로 좋아하면서 즐겁게 누리고 나서야 이야기가 하나둘 나옵니다. 어떤 이야기이든 스스로 좋아하면서 웃고 노래하며 뛰놀던 삶이 밑바탕이 되어 글을 쓰거나 책을 씁니다. 그나저나, 왜 숲에 깃들어야 글을 쓸 수 있을까요? 한번 생각해 보셔요. 사람은 누구나 햇볕을 쬐고 바람을 들이켜며 물을 마시고 밥을 먹어야 살아요. 아스팔트 찻길과 시멘트 건물만 있는 도시에는 이 모두가 없어요. 이 모두는 숲에 있습니다. 목숨을 살리기에 삶을 살리고, 삶을 살리기에 사랑을 살리지요. 책을 쓰는 사람이란, 삶을 쓰는 사람입니다. 삶을 가꾸듯이 글을 쓰기에 책 한 권이 태어납니다. 4347.5.18.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푸른책 푸른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