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표 한자말 185 : 소색素色

 


무성한 나무들이 보여줄 수 없는 그 무엇. 근본이라 할지, 근원이라 할지, 원래의 것에 아무것도 보태지 않은 소색(素色)의 모습을 하고 있는 그이들은 참 착하고 부드럽고 무엇보다 섬세했다
《유소림-퇴곡리 반딧불이》(녹색평론사,2008) 38쪽

 

  “무성(茂盛)한 나무들”은 “우거진 나무들”로 다듬고, ‘근본(根本)’은 ‘뿌리’나 ‘밑뿌리’로 다듬으며, ‘근원(根源)’은 ‘바탕’이나 ‘밑바탕’으로 다듬습니다. “원래(元來)의 것에”는 “처음 모습에”나 “태어난 모습에”나 “제 모습에”로 손보고, ‘섬세(纖細)했다’는 ‘찬찬했다’로 손봅니다.


  한자말 ‘소색(素色)’은 국어사전에 안 나옵니다. 다만, 한자 ‘素’는 “희다”를 뜻해요. 이 한자를 쓴 ‘소복(素服)’이라는 한자말 있어요. 이 한자말은 ‘흰옷’을 가리킵니다. 곧, 한국사람은 한국말로 ‘흰옷’이라 말하기만 하면 됩니다. ‘素色’이라는 낱말도 쓸 일이 없고 ‘흰빛’이라 쓰면 돼요.

 

 소색(素色)의 모습을 하고 있는
→ 흰빛인
→ 하얀 빛깔 모습인
→ 하얀 빛깔로 있는
→ 흰빛으로 있는
 …

 

  국어사전에 없는 말을 쓰지 말란 법이 없습니다. 이를테면, 국어사전에는 ‘앵두빛’이나 ‘딸기빛’이나 ‘능금빛’이 없어요. ‘배꽃빛’이나 ‘참꽃빛’도 없어요.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꽃빛을 가리키면서 고운 빛깔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자를 좋아한다면 ‘素色’ 같은 낱말을 쓸 만하겠지요. 영어를 좋아한다면 ‘white’를 쓰니까요. 그러면, 중국사람이나 일본사람 아닌 한국사람은, 미국사람이나 영국사람 아닌 한국사람은, 하얀 빛깔을 바라보며 어떤 낱말로 흰빛을 가리키면 가장 고울까요. 어떤 낱말이 우리 삶과 넋과 말을 살릴까요. 4346.12.11.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우거진 나무들이 보여줄 수 없는 그 무엇. 밑뿌리라 할지, 밑바탕이라 할지, 처음 모습에 아무것도 보태지 않은 하얀 빛깔로 있는 그이들은 참 착하고 부드럽고 무엇보다 찬찬했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