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고 온 시 창비시선 213
고은 지음 / 창비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와 시집
[시를 말하는 시 21] 고은, 《두고 온 시》

 


- 책이름 : 두고 온 시
- 글 : 고은
- 펴낸곳 : 창비 (2002.1.15.)
- 책값 : 8000원

 


  시집 한 권 있으면 어디로 마실을 가든지 넉넉합니다. 버스에서도 기차에서도, 또 다리쉼을 하면서도, 시집 한 권 꺼내어 천천히 읽으며 삶을 가만히 되새깁니다. 시 한 가락에 빠져들면, 둘레에서 자동차 시끄럽게 지나가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시 한 가락에 젖어들면, 곁에서 멧새가 곱게 노래하는 소리조차 깨닫지 못합니다.


  마실길에 시집을 챙겨 틈틈이 시를 읽습니다. 이러다가 시집을 덮고 수첩을 꺼냅니다. 수첩에 시를 몇 줄 적습니다. 시집을 읽는 동안 내 이웃들 삶을 헤아리고, 수첩에 시 몇 줄 적바림하면서 내 삶을 돌아봅니다. 시를 쓰는 삶이란, 문학을 하자는 뜻이 아니라, 내 삶을 나 스스로 더 사랑하고 아끼며 누리자는 뜻이 된다고 느낍니다.


.. 대히말라야에서는 / 8천미터 이하의 산에는 / 좀처럼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 / 그러나 나는 / 1천미터 이하의 산들에게 / 수많은 산들에게 / 지는 해 넘어간 뒤 하나씩 외경의 이름 부르며 절하고 싶다 ..  (아시아의 작은 산들)


  어떤 이는 시를 쓰려면 담배를 입에서 뗄 수 없다고 말합니다. 어떤 이는 시를 쓰자면 술을 몸에서 떨어뜨릴 수 없다고 말합니다. 아마, 그러겠지 싶습니다. 마음이 힘들거나 몸이 지치면, 담배와 술에 기대어 몸을 버티면서 이녁 싯말 한 가락 뱉어내듯 끌어낼밖에 없으리라 느낍니다.

  어떤 이는 스스럼없이 시를 써요. 마음에서 샘솟는 이야기를 그때그때 잡아채서 시를 써요.


  이를테면, 아이들을 바라봐요. 지난날 이오덕 님이 멧골마을 아이들한테 글쓰기를 가르치면서 시쓰기를 시켰는데, 아주 조그마한 쪽종이를 하나씩 나누어 주면서, 꼭 그 쪽종이만큼 글을 써 보라 했어요. 멧골마을 아이들마다 오늘 하루 겪거나 느끼거나 본 이야기, 어제 한 일, 아침에 멧길 걸어 학교 오기까지 본 여러 가지, 집에서 어버이 일 거드는 이야기, 동생을 돌보는 이야기, 하늘과 들과 숲을 바라보는 이야기 들을 조그마한 쪽종이에 써 보라 했어요.


  이런 쪽글이 모여 《일하는 아이들》이나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 같은 책이 태어났어요. 처음부터 시로 쓰도록 한 시가 아닌, 삶을 쓰도록 하면서 저절로 시가 태어났지요. 언제나 마음속에서 맴도는 이야기를 조그마한 쪽종이에 적자면 스스로 알맞게 간추려야 하고, 알맞게 간추려서 알맹이를 노래하자니, 아이들로서는 시가 무엇인지 아직 모르지만, 시나브로 시를 쓰고 시를 노래하며 시를 즐기는 삶이 되었습니다.


  그러고 보면, 시로 노래하는 이야기란, 저마다 스스로 일구는 삶입니다. 밥을 먹는 이야기를 시로 씁니다. 밥을 짓는 이야기를 시로 씁니다. 밥 한 그릇 먹으려고, 나락을 논에 심어서 거두기까지 이야기를 시로 써요. 동무나 동생하고 놀던 이야기를 시로 써요. 구름과 달과 무지개와 해를 바라보는 이야기를 시로 써요. 개구리와 풀벌레와 멧새 노랫소리를 가만히 듣고는 시로 써요. 모든 삶이 시로 태어나고, 모든 이야기가 시로 거듭납니다.


.. 방학중의 딸과 함께 공던지기를 했다 / 서투른 것이 사랑이었다 / 좀 세게 던져 주면 / 잘 튀는 공이 / 딸의 키를 넘어갔다 / 딸의 공이 와서 튀면 / 내 키도 넘어 저만치 떨어졌다 / 깔깔깔 딸의 웃음이 / 단풍나무 잎새들을 떨어뜨렸다 늦가을이었다 // 나도 세게 던진 뒤 땀을 훑어내면서 / 하늘을 보았다 ..  (공던지기)


  머리를 쥐어짠다고 시가 되지 않습니다. 운율을 맞추거나 글잣수 챙긴대서 시가 되지 않습니다. 문예창작학과를 마치거나 문예교실을 다녀야 시를 쓰지 않습니다. 누군가한테서 문학을 배우거나 글쓰기를 익혀야 시를 쓰지 않습니다.


  삶을 누리는 사람은 누구나 시를 씁니다. 삶을 짓는 사람은 누구나 시를 씁니다. 삶을 일구고, 삶을 가꾸며, 삶을 사랑하는 사람은, 저마다 다 다른 이야기를 저마다 다 다른 틀에 맞추어 즐겁게 시를 씁니다.


  시란 노래입니다. 마음을 북돋우는 노래가 시입니다. 시란 춤입니다. 마음을 살찌우는 춤이 시입니다.


  노래인 시이니, 시를 가르치지 못합니다. 저마다 좋아하는 노래를 저마다 좋아하는 가락에 맞추어 부르면 시나브로 시가 돼요. 춤인 시이니, 시를 배우지 못합니다. 스스로 좋아하는 춤을 스스로 어깨춤 허리춤 엉덩춤 마음껏 즐기면서 흐드러지면 곧바로 시가 돼요.


  모심기도 키질도 방아질도 절구질도 도리깨질도 가르칠 수 없습니다. 밥하기도 빨래하기도 청소하기도 아이돌보기도 배울 수 없습니다. 그예 몸으로 부대끼면서 스스로 깨닫습니다. 언제나 몸과 마음 하나되어 가만히 받아들입니다.


.. 아이에게 물었다 / 거지가 될래? / 도둑이 될래? // 아이가 물었다 / 왜 이 세상엔 / 그것밖에 없어요? ..  (작은 노래)


  고은 님이 쓴 시를 그러모은 《두고 온 시》(창비,2002)를 읽습니다. 시를 아주 쉽게 쓴다고 여길 만한 고은 님인데, 시집 《두고 온 시》를 읽으니, 고은 님은 시를 아주 쉽게 쓰지는 않는구나 싶어요. 고은 님은 고은 님 삶결 그대로 시를 씁니다. 고은 님은 스스럼없이 누리는 삶을 좋아하는구나 싶고, 스스럼없이 누리는 삶을 좋아하니, 시 또한 스스럼없이 그때그때 알맞게 샘솟는구나 싶어요.


  그러면, 고은 님은 왜 시를 쓸까요. 고은 님은 왜 시를 꾸준하게 써서 시집을 내놓을까요. 고은 님이 써서 밝히는 고은 님 삶은 어떤 사랑이고 꿈이며, 어떤 빛이자 노래인가요.


  〈작은 노래〉라는 살짝 긴 시를 읽다가 아이와 주고받은 말을 곰곰이 되읽습니다. 고은 님은 왜 아이한테 ‘이쪽 아니면 저쪽’이라는 틀을 세워서 물었을까요. 왜 아이 스스로 너른 땅을 생각하거나 꿈꾸도록 이끌지 못할까요. 고은 님 스스로 틀에 갇힌 ‘이쪽 아니면 저쪽’에 선 삶 아닌지요.


  마하트마 간디 님 손자 이야기를 적은 시에서도 ‘이쪽 아니면 저쪽’이라는 틀을 스스로 세운 울타리를 느낍니다. 왜 이쪽으로 가거나 저쪽으로 가야 하나요. 왜 이쪽저쪽 다 함께 누리면 안 될까요. 또는 새로운 쪽을 찾거나 아주 다른 쪽을 생각할 수는 없는가요.


  고은 님으로서는 “두고 온 삶”이니 “두고 온 시”를 씁니다. 아직 고은 님은 “누리는 시”로는 나아가지 않는다고 느낍니다. “누리는 삶”이 아니니 “누리는 시”가 못 되겠지요. “사랑하는 삶”이 될 때에 “사랑하는 시”이듯, 고은 님 스스로 어떤 삶을 어떤 사랑과 꿈으로 일구려 하는가에 따라 시도 문학도 이야기도 사뭇 달라지겠지요. 시집은 많지만, 시는 아직 없다고 느낍니다. 4346.5.16.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