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383) 가장 1 : 가장 큰 집들 가운데 하나

 

샤샬은 마을에서 가장 큰 집들 중 하나에 산다
《존 버거,장 모르/김현우 옮김-행운아》(눈빛,2004) 96쪽

 

  ‘중(中)’은 ‘가운데’로 손질해 줍니다. 한자 ‘中’은 한글로 적는다 해서 한국말이 되지 않아요.


  “가장 큰 집”은 하나입니다. 둘일 수 없습니다. ‘가장’은 “여럿 가운데 어느 것보다 더”를 뜻하거든요. 오직 한 가지를 맨 앞이나 위에 내세울 때에 쓰는 ‘가장’인 만큼 이 보기글처럼 쓸 수 없어요. 그러니 “가장 큰 집에 산다”처럼 적거나 “무척 큰 집들 가운데 하나에 산다”처럼 적어야 올발라요. ‘가장’하고 뜻이 같은 한자말 ‘제일(第一)’ 말풀이를 살피면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이라고 나와요. 한국말 ‘가장’ 아닌 한자말 ‘제일’을 넣는다 하더라도 “제일 큰 집들 중 하나”처럼 적으면 알맞지 않아요. ‘가장’이든 ‘제일’이든 오직 하나만 가리킵니다.

 

 가장 큰 집들 중 하나에 산다
→ 가장 큰 집에 산다
→ 아주 큰 집들 가운데 하나에 산다
→ 더없이 큰 집에 산다
 …

 

  보기글에서는 샤살이라 하는 사람이 사는 집이 무척 크다는 뜻에서 이와 같이 적었을는지 모릅니다. 그러면, “아주 크다”라든지 “무척 크다”라 적으면 돼요. 그나저나 “가장 무엇무엇한 것 가운데 하나”라는 말투를 왜 쓸까요. ‘무척’이나 ‘아주’나 ‘퍽’을 넣어야 알맞을 자리에 왜 ‘가장’이라는 낱말을 넣을까요.


  이 말투는 영어에서 비롯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들한테 영어를 가르치는 교재를 보면 “가장 무엇무엇한 것 가운데 하나”라는 번역 말투를 찾아볼 수 있어요. 영어를 가르치면서 번역을 얄궂게 하는 바람에 어느새 퍼진 말투 가운데 하나로구나 싶어요.


  그러고 보면, 영어를 가르치는 자리에서는 으레 영어만 헤아리지 한국말은 거의 헤아리지 않아요. 영어를 잘 가르쳐야 한다고는 생각해도, 영어를 한국말로 옮길 적에 알맞고 바르며 슬기롭게 나타내도록 가르칠 생각은 안 하기 일쑤예요. 학교나 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분을 비롯해, 영어 교재 엮거나 쓰는 분들 모두 한국말 깊고 넓게 살피면서 배우기를 빌어요. 4338.1.3.달/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샤샬은 마을에서 아주 큰 집에 산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87) 가장 2 :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

 

습지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입니다
《강병국-원시의 자연습지, 그 생태보고서 : 우포늪》(지성사,2003) 139쪽

 

  “지구상(-上)에 존재(存在)하는”은 “지구에 있는”으로 풀면 됩니다. “생태계의 하나입니다”는 “생태계 가운데 하나입니다”로 고치면 되고요. ‘습지(濕地)’ 같은 낱말은 학문하는 사람들이 즐겨쓰는데, ‘늪’이라 적을 수 있어요. 한국말 ‘늪’을 알맞게 쓰며 학문밭 넓힐 수 있습니다. 우포‘늪’을 다루면서 정작 ‘늪’이라 말하지 않고 ‘습지’라고만 가리키는 모습을 보면, 어쩐지 서글픕니다.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입니다
→ 아주 중요한 생태계 가운데 하나입니다
→ 아주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말을 배웁니다. 학교에 가서 배우든 집에서 배우든 말을 배웁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든 식구나 이웃이 가르치든 ‘어른이나 어버이가 아는 말’과 ‘어른이나 어버이가 쓰는 말’을 아이들한테 가르칩니다. 그래서 어른이나 어버이가 말과 글을 알맞게 잘 쓰면 아이들은 알맞고 바른 말을 배웁니다. 그렇지만 어른이나 어버이가 말과 글을 알맞게 못 쓰거나 엉뚱하게 잘못 쓰면, 아이들은 알맞지 못하거나 엉뚱한 말을 배우겠지요.


  요즈음 아이들은 영어도 배우고 한자도 배우며 온갖 것을 참 많이 배웁니다. 이 가운데 영어와 한자를 살펴보면, 아이들이 배우는 영어 말법이나 한자 뜻풀이는 예나 이제나 거의 마찬가지입니다. 스무 해 앞선 때 말법하고 요새 말법이 다르지 않겠지요. 1950년대 영어 말법과 2000년대 영어 말법은 똑같을 테고, 1900년대 영어 쓰임새와 2000년대 영어 쓰임새가 똑같겠지요.


  그러나, 한국사람이 쓰는 한국말은 1950년대와 1900년대와 2000년대가 너무 다릅니다. 아니, 한국사람은 스스로 한국말이 달라져야 한다고 잘못 생각합니다. 한국사람다운 말투를 버리거나 잊습니다. 한겨레다운 말법과 말틀을 쉬 내팽개칩니다. 아니, 처음부터 살피지 않고, 아이들한테 슬기롭게 물려주지 못해요. 얄궂은 낱말과 말투와 말법을 자꾸 만듭니다. 올바르지 않은 낱말과 말투와 말법을 무턱대고 씁니다.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망가뜨려요. 한국땅 어른과 어버이는 한국말을 제대로 갈고닦지 않아요.


  외려, ‘얄궂게 쓰는 말’조차 새로운 흐름에 맞는 낱말이거나 말투이거나 말법인 듯 받아들입니다. 아이들한테 ‘얄궂게 쓰는 말’을 물려주고 말아요.


  말이란 흐르기 마련이라 나날이 조금씩 바뀝니다. 그런데 왜 우리가 쓰는 이 나라 말만 ‘얄궂은’ 쪽으로 뒤틀리거나 비틀리거나 엉망이 되어야 할까요. 왜 한국말이 한국말다움을 지키지 못하고 영어를 닮거나 한문 틀에 매여야 하거나 일본 말투에 찌들어야 할까요.


  아이들이 깨끗하고 싱그러운 마음을 품기를 바란다면, 아이들이 슬기롭고 맑은 넋을 건사하기를 바란다면, 아이들이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가기를 바란다면, 우리 어른들은 말부터 깨끗하고 싱그러우며 슬기롭고 맑은 한편 착하고 아름답게 추슬러야 한다고 생각해요. 어른들부터 똑바로 말하고 생각해야지 싶어요. 어른들부터 착하고 아름답게 살아야지 싶어요. 맑은 넋에서 맑은 말 태어나고, 맑은 말에서 맑은 삶 이루어집니다. 4340.1.24.물/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늪은 지구에서 아주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938) 가장 3 : 가장 위대한 사람들

 

그는 가장 위대한 사람들 중 하나였어요
《브뤼노 몽생종/임희근 옮김-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포노,2013) 168쪽

 

  ‘위대(偉大)한’은 ‘훌륭한’이나 ‘빼어난’이나 ‘뛰어난’으로 다듬고, ‘중(中)’은 ‘가운데’로 다듬어 줍니다.

 

 가장 위대한 사람들 중 하나
→ 아주 훌륭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무척 뛰어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몹시 빼어난 사람들 가운데 하나
 …

 

  보기글처럼 ‘가장’을 쓰면, 훌륭한 여러 사람들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한 사람이 아주 빼어나다는 뜻이 됩니다. 그리고, 여럿 가운데 한 사람이 가장 훌륭하다 한다면 “가장 훌륭한 사람이었어요”처럼 적어야 해요. 이러한 뜻이 아니라 한다면, “아주 훌륭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처럼 다듬어야 알맞습니다. 또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었어요”라든지 “무척 뛰어난 사람이었어요”처럼 단출하게 다듬습니다. 굳이 “아주 (무엇무엇한) (무엇) 가운데 하나” 꼴로 적지 않아도 됩니다. 4346.3.31.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었어요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