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구꽃 창비시선 307
최두석 지음 / 창비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와 나무
[시를 말하는 시 12] 최두석, 《투구꽃》

 


- 책이름 : 투구꽃
- 글 : 최두석
- 펴낸곳 : 창비 (2009.10.20.)
- 책값 : 7000원

 


  시골 면소재지나 읍내는 서울 시내하고 사뭇 다릅니다. 시골 면소재지는 참 작고, 시골 읍내 또한 아주 작습니다. 서울이나 부산이나 대구나 인천이나 대전 같은 데는 자동차로 한참 달려도 가게와 아파트가 끝나지 않기 일쑤인데, 시골 면소재지나 읍내는 두 다리로 조금 걸어도 가게가 끝나고, 아파트가 드문드문 있어도 건물 몇 나즈막하게 있을 뿐입니다.


  사람이 적게 살아가니 가게도 적고 아파트도 몇 안 될 테지요. 사람이 많이 살아가니 가게 또한 많으며 아파트는 아주 많을 테지요.


  사람이 적으니 자동차가 적은 시골입니다. 사람이 많으니 자동차가 많은 서울입니다. 자동차가 적은 만큼 찻길이 한갓지거나 덜 붐빕니다. 자동차가 많은 만큼 찻길이 넓으면서도 빽빽하게 차고 으레 막힙니다. 자동차가 적을 때에는 배기가스가 적고, 자동차가 많을 적에는 배기가스가 그득그득 넘칩니다.


  시골은 자동차로 한참 달려도 들과 멧골과 숲과 바다가 끝나지 않습니다. 서울은 자동차로 시내를 한참 달려 벗어나야 비로소 들이나 멧골이나 숲이나 바다를 만납니다.


.. 꿩 가족의 삶터에 / 허락도 없이 들어온 나는 / 잠시 운전대를 놓고 그들의 안녕과 행운을 빈다 ..  (꿩 가족)


  서울 같은 데에서 살아가는 나무를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가지치기 때문에 해마다 앓고, 배기가스 때문에 날마다 앓으며, 전깃줄과 전자파 때문에 언제나 앓습니다.


  서울 같은 데에서 살아가는 나무는, 둘레에 사람들이 아주 많지만, 나무 곁 지나가는 사람 가운데 이녁을 사랑하거나 아끼거나 따사로이 바라보는 눈길은 거의 없습니다. 셀 수 없도록 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서울인데, 어느 누구도 길가 나무 한 그루 살며시 쓰다듬는다든지 어루만진다든지 보살핀다든지 하지 않아요. 자동차 배기가스로 더럽혀지거나 망가진 나뭇줄기는 새까맣기 일쑤라, 아예 안 건드린다고 할까요. 나무를 나무로 여기지 못한달까요.


  나무가 서울에서 자라면 참 슬픈 노릇인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나무는 시골에서 자라야 참 기쁜 일인가 하고 헤아려 봅니다. 사람 아닌 목숨은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서울이요 부산이며 대구이자 인천인데다가 대전인데, 이런 곳에 나무나 꽃이나 풀을 들일 까닭이 있을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사람조차 아무 사람을 받아들이지 않는데다가, 사람 사이에 금을 그어 신분이나 계급이나 지위 따위로 마구 뭇칼질하는 서울 같은 데에, 사람이 굳이 깃들어야 할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나무는 시골에서 살고, 풀과 꽃도 시골에서 살며, 사람 또한 시골에서 살아야 아름다운가 하고 생각에 잠깁니다. 나무도 풀도 꽃도 사람도 오롯이 살아가기 어려운 서울에는 누가 살아야 아름다운가 하고 생각에 젖습니다.


.. 숲에서 잘 자란 나무를 만나면 / 다가가 안고 싶은데 / 박달나무를 만나면 더욱 간절해진다 ..  (박달나무)


  서울은 끝없이 달라집니다. 몇 해쯤 지나면 건물이나 가게마다 껍데기를 바꿉니다. 몇 열 해쯤 지나면 건물이나 가게를 헐어 새로 올립니다.


  따지고 보면, 시골도 끝없이 달라집니다. 시골은 봄 여름 가울 겨울에 따라 모습이 달라요. 시골은 봄에도 다달이 모습이 달라요. 시골은 달에도 날에 따라 모습이 다릅니다. 무언가 부수거나 세우거나 하지 않지만, 시골살이는 한결같이 다른 이야기가 어우러집니다. 무언가 부수거나 세우거나 하는데, 서울살이는 껍데기만 달라질 뿐, 속내는 조금도 안 달라집니다.


  서울에서 살아가는 나무는 서울사람 하는 짓을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그러다가 큼지막하게 재개발을 한다며 나무를 뭉텅뭉텅 베어 죽일 적에 조용히 눈을 감으며 이녁 아이를 씨앗으로 흙에 떨구어 놓습니다. 나중에 고요한 땅이 되고, 시멘트와 아스팔트가 걷히면 씩씩하게 다시 태어나기를 꿈꿉니다.


  내 고향 인천을 찾아갈 적마다, 또 다른 도시로 나들이를 할 적마다, 나무를 가만히 살핍니다. 나무로 빚은 전봇대를 찾아가서 인사를 합니다. 골목집 마당마다 씩씩하게 자라난 나무를 올려다보며 앞으로도 오래오래 이 마을을 예쁘게 지켜 달라고 이야기합니다. 찻길에서 서른 해 마흔 해 쉰 해 배기가스 먹으며 푸른 바람 내뿜은 나무들한테 더 씩씩하고 튼튼히 숨결 이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손을 살며시 뻗어 살살 쓰다듬습니다. 손바닥을 가만히 대고 귀와 볼을 살그마니 댑니다. 나무뿌리에서 나뭇줄기를 타고 나뭇잎까지 오르는 물결을 느낍니다. 나무가 쉬는 숨을 느낍니다. 나무는 서울에서도 나무요 시골에서도 나무입니다. 나무는 어디에서나 나무입니다. 서울 같은 데에서는 배기가스 먹느라 시름시름 앓지만, 사람들 누구한테나 고운 빛을 나누어 주고픈 꿈으로 자라는 나무입니다. 오늘날 시골사람들은 농약과 비료에 길들고 말지만, 시골사람 누구한테라도 맑은 빛을 베풀어 주고픈 사랑으로 자라는 나무입니다.


.. 느티나무가 자라 옹이투성이 거목이 될 때까지 /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자라다 부러진 / 까치집 삭정이 같은 이야기들 보시게 ..  (느티나무)


  겨울 지나 봄이 찾아오면, 옆지기랑 아이들하고 이웃마을 천천히 마실을 하면서 새로 잎을 틔우는 나무들을 만납니다. 봄잎 틔우는 나무 앞에 서서 자그마한 잎사귀 살살 어루만지다가 톡 따서 아이들 잎에 하나씩 넣고, 옆지기 입에 하나 넣으며, 마지막으로 내 입에 하나 넣습니다.


  감나무는 감잎을 느낍니다. 모과나무는 모과잎을 느낍니다. 매화나무는 매화잎을 느낍니다. 뽕나무는 뽕잎을 느끼고, 느티나무는 느티잎을 느껴요.


  여린 나뭇잎을 씹으며 나무마다 어떤 빛이고 결이며 무늬인가 하고 헤아립니다. 작은 나뭇잎을 삼키며 나무마다 어떤 내음과 소리와 이야기를 건사하는가 하고 떠올립니다. 권정생 할아버지가 한국전쟁 뒤 먹을거리 없어 느티잎 훑어 느티떡 먹었다는 말씀을 되씹으며, 느티잎으로 어떤 떡을 찔 만한가 생각합니다. 아마, 다른 잎으로도 떡을 찔 수 있을 테고, 땔감이 모자라면 단풍잎이든 은행잎이든, 그냥 날잎으로 오래도랙 씹어서 먹었겠지 싶습니다. 예전 사람 누구나 풀잎을 먹고 나뭇잎을 먹으면서 숨결 푸르게 건사했으리라 싶습니다.


  그러고 보면, 나는 나뭇잎과 풀잎 먹고 살아온 어버이들이 낳고 낳고 다시 낳고 또 낳아서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는 목숨입니다. 내 몸뚱이 가운데 어느 만큼은 나뭇잎이요 풀잎입니다. 나도 나무 가운데 하나요, 내 어버이가 숨을 거두어 흙으로 돌아가면 내 옛 어버이들 몸뚱이는 흙에서 삭으며 나무한테 스며들어요. 곧, 나무 몸뚱이 가운데 어느 만큼은 사람입니다. 나무는 사람한테 오고, 사람은 나무한테 갑니다. 나무는 사람을 살찌우고, 사람은 나무를 살찌웁니다. 나무는 사람을 사랑하고, 사람은 나무를 사랑합니다.


.. 나무마다 모양과 / 빛깔이 다른 단풍잎 / 우수수 날리는 ..  (불바라기 가는 길)


  최두석 님 시집 《투구꽃》(창비,2009)을 읽습니다. 여러 꽃과 나무하고 얽혀 이야기 하나 빚어서 시집을 꾸립니다. 퍽 이쁘장하네 싶습니다. 꽤 예쁘게 글을 쓰네 싶습니다.


  다만, 꽃이나 나무는 꼭 이쁘장하지 않아요. 꽃은 꽃이고 나무는 나무예요. 잘생긴 꽃이 따로 없고 못생긴 꽃이 딱히 없어요.


  꽃마다 이름이 다르고 나무마다 이름이 달라요. 머나먼 옛사람은 이녁 삶자리에서 저마다 꽃이름 풀이름 나무이름 붙이며 살았어요. 학자나 임금이 붙인 꽃이름은 없어요. 시골에서 흙 만지며 살아가던 여느 시골 여느 사람이 꽃이름 붙였어요. 물고기이든 새이든 벌레이든 모두 마찬가지예요. 모든 ‘목숨붙이 이름’은 시골에서 흙을 만지고 아끼며 사랑하던 여느 사람이 붙여요.


  게다가, 고을마다 이름이 달라요. 고을마다 다른 이름이, 멧자락이나 고개나 냇물 하나를 사이에 두고 더 작은 마을로 나뉠 적에는 자그마한 마을마다 이름이 또 달라요. 민들레 하나를 두고 수십 수백 가지 이름이 있어요. 냉이나 부추 하나를 두고도 수십 수백 가지 이름이 있어요.


  시골에서 흙을 먹으며 살아가던 옛사람은 누구나 시인이었구나 싶어요. 이녁 이름은 구태여 남기지 않았지만, 냉이, 씀바귀, 엉겅퀴, 달래, 원추리 같은 이름을 붙인 옛사람은 모두 시인이에요. 소나무, 잣나무, 미루나무, 대나무, 참나무,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벚나무 같은 이름을 지은 옛사람은 누구나 시인이에요.


  오늘 이 나라에서 시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떤 이름을 붙이며 살아가나요. 오늘 이 나라에서 풀과 꽃과 나무를 노래하는 시인들은 어떤 이름을 지으며 삶을 짓는가요. 4346.2.15.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