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표 한자말 174 : 조망(眺望)


지혜의 신 미네르바의 부엉이가 황혼에 날개를 펴듯이 변방은 변방 특유의 조망(眺望)을 가지고 있었다
《변방을 찾아서》(돌베개,2012) 13쪽

 

  “지혜(智慧)의 신 미네르바의 부엉이가”는 “슬기를 일컫는 신 미네르바 부엉이가”나 “슬기로운 신 미네르바 부엉이가”로 손볼 수 있습니다. ‘황혼(黃昏)’은 ‘저물녘’이나 ‘해거름’이나 ‘해질녘’이나 ‘저녁노을’로 다듬고, “변방(邊方) 특유(特有)의”는 “변방다운”이나 “시골다운”이나 “두메다운”이나 “언저리다운”이나 “둘레다운”으로 다듬습니다. “가지고 있었다”는 “있었다”나 “보여주었다”나 “드러냈다”로 손질합니다.


  한자말 ‘조망(眺望)’은 “먼 곳을 바라봄. 또는 그런 경치”를 뜻한다고 합니다. 다시금 ‘경치(景致)’라는 낱말뜻을 찾아보면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이라고 합니다. 곧, ‘경치 = 모습’인 셈이요, ‘조망’ 또한 ‘모습’을 가리키는 낱말이로구나 싶습니다. 한국말 ‘모습’을 한자말로는 ‘조망’이나 ‘경치’로 적는다고 할 만해요.

 

 변방 특유의 조망(眺望)을 가지고 있었다
→ 시골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 두메다운 모습이 있었다
→ 언저리다운 빛을 드러냈다
→ 시골다운 얼굴이었다
→ 두메다웠다
 …

 

  보기글을 쓰신 분 생각으로는 ‘조망’이라는 한자말이 당신 뜻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런데 한글로만 적어서는 당신 뜻이 제대로 드러난다고는 느끼지 못해 묶음표를 새로 쳐서 ‘眺望’이라고 덧붙였구나 싶어요.


  글이란 글을 쓰는 사람 넋을 보여주기에, 이와 같이 쓸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쓸 수도 있어요. 누군가는 ‘조망’이나 ‘조망(眺望)’처럼 글을 써야 이녁 생각을 남들한테 펼치지만, 누군가는 ‘모습-얼굴-얼굴빛-빛-무늬-결’ 같은 낱말로 이녁 생각을 이웃과 주고받아요.


  살아가는 모습이 고스란히 글을 쓰는 모습이 됩니다. 생각하는 모습이 곧바로 글매무새가 됩니다. 삶이 넋으로 드러나고, 넋이 말로 나타납니다. (4345.11.15.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슬기를 나타내는 신 미네르바 부엉이가 저물녘에 날개를 펴듯이, 시골은 시골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