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표 한자말 173 : 외피(外皮)

 


이 모든 것은 다 공포의 표피에 불과하며, 내가 잡을 수 있는 것은 그 외피(外皮)이고, 그 진짜는 도저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루이제 린저/윤시원 옮김-낮은 목소리》(덕성문화사,1992) 33쪽

 

  “공포(恐怖)의 표피(表皮)에 불과(不過)하며”라는 글월을 곱씹습니다. 낱말을 하나하나 따지면, ‘공포’는 한국말 ‘두려움’을 가리키고, ‘표피’는 한국말 ‘겉껍질’을 가리키며, ‘불과하며’는 ‘지나지 않다’ 그러니까 ‘-일 뿐’을 가리킵니다. 말뜻 그대로 한국말로 옮기자면 “두려움의 겉껍질일 뿐이며”인 셈이고, 한국 말투로 가다듬어 “겉으로 드러나는 두려움일 뿐이며”나 “껍데기일 뿐인 두려움이며”으로 새로 쓸 수 있어요. ‘도저(到底)히’는 ‘도무지’로 다듬고, ‘파악(把握)하기’는 ‘알기’나 ‘헤아리기’나 ‘종잡기’로 다듬어 줍니다.


  한자말 ‘외피(外皮)’는 “(1) = 겉껍질 (2) = 겉가죽”을 뜻한다 해요. 곧, ‘외피’는 한국사람이 쓸 말이 아닌 바깥말입니다. 한국말 ‘겉껍질’과 ‘겉가죽’을 밀어내며 함부로 쓰이는 바깥말이에요.

 

 외피(外皮)이고
→ 겉껍질이고
→ 겉가죽이고
→ 껍데기이고
→ 겉모습이고
 …

 

  껍데기 같은 바깥말에 휘둘리지 않기를 빕니다. 알찬 속살 같은 한국말을 슬기롭게 쓰기를 빕니다. 겉치레 아닌 속치레를 하고, 겉발림 아닌 속가꿈으로 말과 넋과 삶을 아름다이 빛낼 수 있기를 빕니다. (4345.10.16.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 모두는 다 겉으로 드러나는 두려움일 뿐이며, 내가 잡을 수 있는 것은 그 껍데기이고, 그 참모습은 도무지 알기 어렵습니다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