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사람과 책읽기


 시골에 살면서 도시마실을 할 일이란 드물다. 도시로 볼일을 보러 갈 일이란 딱히 없다. 우리 식구가 도시로 마실을 간다면, 책방에 가거나 출판사에 가거나 무슨 강의에 가거나 아는 분을 만나러 간다. 롯데월드라든지 큰공원이라든지 육삼빌딩이라든지 운동경기장이라든지 갈 일이란 없다. 아이 어머니는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꽉 막힌 도시에 한 시간 아닌 십 분만 있어도 숨이 막힌다고 느끼지만, 아이 아버지 또한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시에 있는 일이 즐겁거나 기쁘지 않다. 돌이켜보면, 도시에서 살아갈 때에는 술이라도 마셔서 머리가 해롱거리지 않는다면 견딜 수 없는 노릇 아닌가 싶다.

 시골에 살며 가끔 도시로 마실을 가기 때문에, 도시사람이 책을 얼마나 읽는지 살필 겨를이 없다. 어쩌다 한 번 도시로 마실을 가서 전철이나 버스를 탄대서 ‘전철이나 버스를 타고 움직이는 도시사람’이 이곳에서 책을 얼마나 읽는지 알 수 없다. 다만, 드문드문 마주하는 모습이기는 하더라도, 나날이 ‘전철이나 버스에서 책을 읽는 사람 모습’은 사라지거나 자취를 감추는구나 싶다. 어쩌다가 한두 사람 책을 손에 쥐는 모습을 본다 하더라도 참고서나 자기계발서나 토익책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겉으로는 책읽기로 보이지만, 책이 아닌 교재를 외우는 사람이다.

 아이와 함께 도시마실을 하며 책을 펼치다가 생각에 잠긴다. 억지로 책을 조금 펼쳐 몇 쪽을 넘기고는 덮어 가방에 도로 넣는데, 아이와 함께 다니면서 책을 펼칠 겨를을 내기란 몹시 힘들다. 아이와 함께 움직이는 어버이는 책읽기하고는 아주 멀어지고야 만다. 아이 어버이는 책읽기에서 아이읽기로 새 삶을 보낸다.

 여느 도시사람이라면 책읽기로 마음읽기를 하기보다는 손전화로 놀이를 하거나 텔레비전을 즐길 때에 좋아하겠지. 자가용을 몰며 어디를 놀러다닌다든지, 맛집이나 찻집을 마실하는 삶이 즐겁겠지.

 요 며칠 손바닥 텃밭에서 풀을 뽑으며 놀았다. 일이라기보다 놀이라 할 만하다. 여느 농사꾼이 보자면 이 손바닥 텃밭으로 뭘 깨작거리느냐 싶을 만하니, 우리로서는 그냥 흙놀이일 뿐이다. 백 평 천 평은커녕 열 평조차 안 되는 손바닥 텃밭을 깨작거리니까 텃밭농사라는 이름을 붙이기에도 부끄럽다. 다만, 우리 식구한테는 이 조그마한 텃밭에서 거둘 푸성귀로도 즐거우니까 깨작질이기는 하나 텃밭놀이를 한다. 아버지가 텃밭놀이를 하는 동안 딸아이는 아주 스스럼없이 흙밭으로 따라와서 호미라든지 쟁기라든지 삽이라든지 쥐겠다며 알짱거린다. 삽이나 쟁기는 무거워서 못 들지만, 아버지가 드니까 저도 들고 싶어 한다. 아이한테는 호미가 삽과 같은데, 호미로는 성이 안 차는 듯하다. 아이한테도 일이라기보다는 놀이일 테니까.

 도시에서 도시사람으로 지내는 동안, 나와 옆지기는 아이한테 ‘책 읽히기’를 넘어 무언가 해 줄 만한 일거리나 놀이거리가 그리 마땅하지 않았다. 늘 하는 집일은 이렁저렁 보여주거나 시킬 만했다. 빨래라든지 걸레질이라든지 밥상차림이라든지, 이런 집일을 아이도 거뜬히 거든다. 그렇지만 집살림이 무엇이고 사람살림이 어떠한가를 느끼도록 돕기가 몹시 어렵다.

 흙일꾼으로 태어나거나 자라지 못한 어버이로서 흙일꾼다운 매무새를 아이한테 보여주거나 물려주기란 힘들다. 어버이부터 흙놀이를 천천히 받아들이면서, 바쁜 걸음이나 재촉하는 뜀박질이 아닌, 철을 몸으로 맞아들이는 걸음에 맞추어 흙일꾼이 되어야 한다고 느낀다. 차근차근, 열 해나 스무 해를 두고 느긋하게 흙살림을 살펴 내 집살림을 아이가 알뜰살뜰 받아먹게끔 손길을 내밀어야지 싶다.

 흙놀이를 하고 나면, 손바닥 텃밭 깨작질이더라도 등허리가 쑤셔 아이한테 ‘책 읽히기’를 못하기 일쑤이다. 참 미안하다. 그러나, 아이한테 읽히는 책에 깃든 이야기란, 흙놀이를 하는 삶이니까. 봄꽃과 봄나무를 그려 넣은 책을 읽히지 않더라도, 아이 눈으로 봄꽃과 봄나무를 보도록 하면 되니까. 멧새와 파란하늘 나온 그림책을 굳이 읽히기보다, 멧새 소리를 텃밭에 맨발로 서서 듣고, 파란하늘을 호미질을 멈추고 허리를 두들기며 가만히 올려다보며 느끼면 되니까. (4344.4.1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