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とばはいらない ~Maru in Michigan~ (單行本)
ジョンソン 祥子 지음 / 新潮社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5.18.

사진책시렁 146


《ことばはいらない, Maru in Michigan》

 ジョンソン祥子

 新潮社

 2013.5.30.



  누구나 다 다르게 말을 합니다. 우리는 우리말을 쓰고, 이웃나라 사람은 이웃말을 씁니다. 어른은 어른말을 쓸 테고, 아이는 아이말을 써요. 서울에서는 서울말이 흐르고, 시골에서는 시골말이 감돕니다. 팔랑이는 나비는 나비말을 합니다. 윙윙대는 벌은 벌말을 합니다. 볼볼 기는 개미는 개미말을 하지요. 나뭇잎은 잎말을 하고, 꽃은 꽃말을 하는데, 나무로서는 나무말을 하고, 풀로서는 풀말을 합니다. 서로 마음을 열면 어떤 마음인지 알아차립니다. ‘말 = 마음소리’인 터라, 마음을 바로 마음으로 받아들일 적에는 환하게 웃음지으면서 이웃이며 동무로 어울려요. 《ことばはいらない, Maru in Michigan》은 아이하고 개가 어떻게 동무로 어우러지는가를 곧잘 찰칵 옮겨서 보여줍니다. 빛님은 둘이 어우러지는 나날을 2013∼2015년 사이에 넉 자락으로 선보입니다. 아이는 스스럼없이 놀고, 개도 곁에서 기쁘게 놀아요. 다만, 둘은 아이일 적뿐 아니라 푸름이를 지나 어른으로 피어날 적에도 스스럼없이 놀 만해요. 그리고, ‘그냥 놀이’를 넘어서 ‘소꿉놀이’를 맞아들일 만하고, ‘소꿉살림’을 거쳐서 ‘보금살림’으로 나아가겠지요. 이러한 길을 하나하나 오래도록 들여다보는 눈길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만 찍고 끝날 일은 없거든요.


#존슨사치코 #말은없어도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