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천의 


 천의 매력을 발산한다 → 갖가지로 사로잡는다 / 즈믄빛으로 홀린다

 천의 색깔인 양 → 끝없는 빛깔인 듯 / 온갖 빛깔인 듯


  ‘천(千)’은 “백의 열 배가 되는 수 ≒ 일천”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천 + -의’ 얼거리라면, 먼저 ‘즈믄’이나 ‘즈믄길·즈믄꽃·즈믄빛’으로 손보면서 ‘-의’를 털 만한데, ‘가지가지·갖가지·갖은’이나 ‘갖은길·갖은빛·갖은빛깔’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온갖·숱하다’나 ‘가없다·그지없다·끝없다’로 손보아도 돼요. ㅅㄴㄹ



플라톤의 ‘이데아’라는 이 괴물은 천의 얼굴을 지닌 데다가

→ 플라톤이 말한 ‘이데아’라는 녀석은 갖은 얼굴인데다가

→ 플라톤이 말한 ‘이데아’라는 놈은 온갖 얼굴인데다가

→ 플라톤 ‘이데아’는 숱한 얼굴을 하는데다가

《윤구병의 존재론 강의, 있음과 없음》(윤구병, 보리, 2003) 44쪽


천 명의 아이가 쓴 천 편의 시는 천의 얼굴처럼 다 다를 것이 당연하다

→ 즈믄 아이가 쓴 노래 즈믄 자락은 즈믄 얼굴처럼 마땅히 다 다르다

→ 즈믄 아이가 쓴 즈믄 가지 노래는 즈믄 얼굴처럼 마땅히 다 다르다

《아동시론》(이오덕, 굴렁쇠, 2006) 27쪽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천의 매력을 가진 도시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어요

→ 아주 오래된 고장으로, 즈믄빛이 흐른다고도 여겨요

→ 아주 오래된 고을로, 즈믄 가지로 아름답다고 여겨요

《선생님, 난민은 왜 생기나요?》(김미조, 철수와영희, 2024) 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