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아리의 골짜기 - 왕립대학 소란극
이리에 아키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5.7.

만화책시렁 645


《메아리의 골짜기》

 이리에 아키

 박지선 옮김

 중앙북스

 2010.4.21.



  보이는 대로 따라갈 수 있고, 안 보이지만 따라갈 수 있습니다. 보이든 안 보이든 스스로 나아갈 길을 생각하면서 걸어갈 수 있어요. 어느 쪽이건 스스로 골라서 스스로 피어나려는 몸짓입니다. 낫거나 나쁜 길은 없어요. 이래야 하거나 저래야 하는 나날이 아닌, 언제나 새롭게 배울 줄 아는 마음이게 꽃으로 피어서 활짝 웃습니다. 《메아리의 골짜기》를 읽고서 이내 덮었습니다. 처음 한글판이 나올 무렵에도 눈이 안 갔고, 새판이 나오고 나서도 손이 안 갔습니다. 그림님은 북새통 서울 한복판에서 이리저리 부딪히고 부대끼는 나날을 좋아하는구나 싶더군요. 이와 달리, 저는 북새통 아닌 푸른숲을 그려서 마주하고 싶습니다. 서울살이란 눈으로 보자면 이 그림꽃은 이럭저럭 잘 그렸습니다. 그렇지만 이리 기웃 저리 기우뚱으로 맴도는 쳇바퀴가 아닌, 가만히 하루를 그려서 천천히 살림을 짓는 마음으로 나아가려는 분이라면, 북새통 서울이 얼마나 시끄러워서 숨통을 조이는지 환하게 읽어낼 테지요. 개미집이나 벌집은 그야말로 빽빽한 듯 보이지만, 개미하고 벌은 잘 때를 빼고는 다들 드넓은 들숲에서 하루를 짓습니다. 유난히 사람만 북새통에 스스로 갇혀서 스스로 부딪히다가 싸우면서 스스로 넘어집니다.


ㅅㄴㄹ


“그럼 돌아가. 지금 당장.” “돌아가라니.” “탈출구라면 마침 좋은 게 있는데.” “에?” (62쪽)


“그래, 걱정할 것 없겠다. 네 녀석도 이젠 혼자라도 그럭저럭 할 수 있을 거야.” (232쪽)


#いりえあき #入江 亜季 

#コダマの谷 #王立大学騒乱劇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