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의 아이 미나
에릭 바튀 지음, 이수련 옮김 / 달리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

그림책시렁 1400


《새들의 아이 미나》

 에릭 바튀

 이수련 옮김

 달리

 2003.12.5.



  어릴 적에 새노래를 듣고 자랐어도, 나이가 들면서 차츰 새하고 등진 곳에서 지내면, 그만 새를 잊고 새노래를 잃고 새넋이 사라집니다. 하늘하고 땅 사이를 오가면서 기쁘게 노래하는 새입니다. 새를 새벽과 밤마다 다르게 맞아들이기에 누구나 스스럼없이 새롭게 마음을 틔워요. 새가 둥그스름하게 짓는 집인 둥지를 느끼기에 사람도 곁에서 이 둥지살림을 배우면서 아이를 사랑으로 보듬어요. ‘보금자리’로 나아갑니다. 《새들의 아이 미나》는 아주 자그마한 아이 ‘미나’가 조용하면서 가벼운 춤짓으로 살아가다가 ‘새우리’에 갇힌 길을 보여줍니다. 작고 여린 아이를 돌아보고 지키는 숨결은 ‘작은새’입니다. 작고 여린 아이를 노리개로 삼아서 돈벌이를 일삼으려는 장사꾼하고 벼슬아치입니다. 임금이라는 이는 ‘그깟 새노래와 작은이 춤 따위’는 이녁 드넓은 뜰에서 얼마든지 본다면서 시큰둥히 여깁니다. 우두머리란 이렇지요. 작은이를 돌보는 길이 아닌, 웃자리를 거들먹거릴 뿐입니다. 오늘날 마을과 배움터는 어린이한테 ‘우리·가두리’입니다. ‘우리·한울·한우리’하고 멀기만 합니다. 새가 깃들 자리를 빼앗은 사람들은 어린이가 뛰놀 자리와 짬도 빼앗습니다. 그리고 이 작은 그림책도 일찍 판이 끊겼습니다.


#EricBattut #Mina


+

《새들의 아이 미나》(에릭 바튀/이수련 옮김, 달리, 2003)

새들은 모두 도망을 쳤어요
→ 새는 모두 달아나요
→ 새는 모두 날아가요
2

지휘봉을 휘두르며 새들에게 노래를 시켜요
→ 채를 휘두르며 새한테 노래를 시켜요
→ 작대기를 휘두르며 새한테 노래를 시켜요
4

그러면 유명해질 수도 있고, 너한테 나쁠 건 하나도 없을 거야
→ 그러면 이름을 날릴 수 있고, 너한테 나쁠 일은 하나도 없어
6

폐하께서 자네의 공연을 보시면 분명히 좋아하실 거야
→ 임금님이 자네 놀이를 보시면 참말로 기뻐하시겠어
→ 나라님이 자네 놀이마당을 보시면 무척 반기시겠어
8

긴부리 영감이 새장 속에 미나를 가두고
→ 긴부리 할배가 새우리에 미나를 가두고
→ 긴부리 할아범이 새집에 미나를 가두고
10

그보다 훨씬 더 아름다운 저택을 갖게 될 꿈에 부풀었어요
→ 그보다 훨씬 더 아름답고 큰 집을 얻는 꿈에 부풀어요
12

새들의 노래가 시작되고 미나가 춤을 추었지요
→ 새가 노래하고 미나가 춤을 추었지요
14

내 정원에서 들려오는 새들의 노랫소리가 훨씬 좋은걸
→ 우리 뜰에서 들려오는 새노래가 훨씬 고운걸
16

춤을 추고 싶으면 무도회에 가면 되고
→ 춤을 추고 싶으면 춤마당에 가면 되고
→ 춤을 추고 싶으면 덩실판에 가면 되고
1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