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 혼잣말 11 - 마오마오의 후궁 수수께끼 풀이수첩
쿠라타 미노지 지음, 시노 토우코 그림, 유유리 옮김, 휴우가 나츠 원작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30.

책으로 삶읽기 878


《약사의 혼잣말 11》

 휴우가 나츠 글

 쿠라타 미노지 그림

 유유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1.10.30.



《약사의 혼잣말 11》(휴우가 나츠·쿠라타 미노지/유유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1)를 가만히 읽어 보았다. 혼잣말을 하면서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아가씨는 꽃물님(약사)이다. 오늘날은 돌봄가루나 돌봄물을 뚝딱뚝딱 찍어내겠지만, 지난날은 우리 몸을 돌보는 가루나 물을 모두 풀꽃나무한테서 얻었다. 곰곰이 본다면, ‘약사’라는 이름보다 ‘꽃물님’이나 ‘꽃물지기’ 같은 이름이 어울릴 만하다. 모든 꽃을 읽고, 모든 잎을 헤아리고, 모든 나무를 살필 적에, 풀꽃나무가 사람한테 어떻게 이바지하는 이웃인지 가누고 다룰 테니까. 사람과 달라서 입으로 말하지 않는 풀꽃나무이니, 풀과 꽃과 나무를 다루고 달래려면, 말보다 마음으로 만날 줄 알아야 한다. 이런 얼거리나 밑동을 살핀다면, 꽃물님이 임금집에서 여러모로 길찾기를 해내는 얼거리를 엿볼 만하다. 또한 숱한 글바치나 벼슬아치나 임금은 풀도 꽃도 나무도 등진 채 붓자루나 칼자루를 쥘 뿐이니, 꽃물님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밖에 없겠지. 이런 얼거리는 오늘날에도 매한가지이다. 나라지기 가운데 누가 들꽃을 읽었는가? 벼슬아치 가운데 나무를 곁에 두는 일꾼이 없다시피 하다. 숲이나 시골에서 손수 살림을 지으면서 아이를 돌보는 보금자리를 잇는 글바치는 몇 사람이나 될까?


ㅅㄴㄹ


“과거에는 왕모님의 선택을 받은 자가 다음 왕이 되었죠. 그러면 그분은 이곳에 서서 백성들에게 선서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때로는 아무도 이곳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때는 올바른 길을 선택하는 비를 데리고 와 다시 통과했다고 하죠. 본래는 올바른 핏줄을 이어받은 자만이 그것을 이룰 수 있는데―.” (67쪽)


“설마 이런 작은 계집이 정말로 수수께끼를 풀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작은 계집.’ “왕모님께서 이 땅을 다스리실 수 있었던 건, 보기 드문 총명함 때문이었다고 전해지죠.” (81쪽)


+


매번 당첨되는 도박에 빠지는 사람은 없죠

→ 늘 뽑히는 돈놀이에 빠지는 사람은 없죠

→ 노상 걸리는 노름에 빠지는 사람은 없죠

10쪽


푸른 색이나 녹색을 선택하라는 뜻인가

→ 파랑이나 풀빛을 고르라는 뜻인가

30쪽


짐을 보고 왕모의 아이가 아니다라고 하는 진의를

→ 나를 보고 임금엄마 아이가 아니라는 속뜻을

47쪽


건국 설화에 등장하는 건

→ 새날노래에 나오는

→ 첫노래에 나오는

49쪽


실제로는 아들에 의한 세습제를 취하고 있다

→ 정작 아들한테 물려준다

→ 막상 아들이 이어받는다

49쪽


형제 분들은 동복 형제이셨습니까

→ 또래는 한배입니까

5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