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습관적


 습관적 낭비벽 → 몸에 밴 헤픈 씀씀이

 습관적 말투 → 버릇이 된 말투 / 입에 밴 말투

 습관적 행동 → 늘 되풀이하는 몸짓 / 늘 하는 몸짓

 습관적으로 걸음을 멈추었다 → 버릇처럼 걸음을 멈추었다


  ‘습관적(習慣的)’은 “습관처럼 되어 있는”을 가리킨다 하고, ‘습관(習慣)’은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을 가리킨다고 해요. 한자말 ‘습관’이란 우리말로 ‘버릇’을 가리켜요. ‘버릇·길·하다·움직이다’를 쓰면 넉넉합니다. ‘살림새·살림길·살림결·삶결·삶틀·삶길·살림·삶·살다’로도 나타낼 만합니다. ‘걸핏하면·툭하면·제꺽하면·심심하면’이나 ‘곧잘·다시·꼬박·거듭·또’나 ‘으레·자꾸·잦다·자주·흔하다’로 손보고, ‘그냥·그대로·물들다·길들다’나 ‘뿌리내리다·절다·젖다’로 손봅니다. ‘배다·낯익다·익다·익숙하다·일삼다’나 ‘붙다·달라붙다·들러붙다’로 손보며, ‘노상·늘·언제나·아무 때나’나 ‘같다·똑같다’로 손보지요. ‘모습·매무새·몸놀림·이골·-질·짓·타령’이나 ‘얼개·울·울타리·틀·품’으로 손보아도 됩니다. ㅅㄴㄹ



일본어는 습관적으로 낮추어 말한다

→ 일본말은 버릇처럼 스스로 낮춘다

→ 낮추어 말하는 일본말이다

→ 일본사람은 흔히 낮추어 말한다

→ 일본에서는 으레 낮추어 말한다

《일본, 허술한 강대국》(프랭크 기브니/김인숙 옮김, 뿌리깊은 나무, 1983) 78쪽


하지만 습관적으로 눈을 먹었다

→ 그렇지만 자꾸 눈을 먹었다

→ 그러나 자꾸자꾸 눈을 먹었다

→ 그런데 저절로 눈을 먹었다

→ 그런데 하염없이 눈을 먹었다

《하얀 능선에 서면》(남난희, 수문출판사, 1990) 81쪽


그 자리를 습관적으로 찾아가게 됐어

→ 그 자리를 버릇처럼 찾아깄어

→ 그 자리를 찾아가 버릇했어

→ 그 자리를 자꾸만 찾아갔어

→ 그 자리를 하염없이 찾아깄어

《순정만화 2》(강풀, 문학세계사, 2004) 54쪽


우리가 습관적으로 빠져 있는 언어사용의 모순을 주시한다

→ 우리가 길든 엇갈린 말씨를 들여다본다

《자유인의 풍경》(김민웅, 한길사, 2007) 149쪽


그저 무감각하고 습관적인 일이었다

→ 그저 무디고 버릇이 된 일이다

→ 그저 무덤덤하고 익숙한 일이다

→ 그저 무뚝뚝하고 익숙히다

→ 그저 아무렇지도 않게 늘 한다

《흐느끼는 낙타》(싼마오/조은 옮김, 막내집게, 2009) 30쪽


늘 그리던 것만 습관적으로 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 늘 그리던 대로 그리곤 하기 때문에

→ 늘 그리듯 다시 그리곤 하기 때문에

→ 늘 그리던 대로 똑같이 그리기 때문에

→ 그리던 버릇처럼 그리기 때문에

→ 그리던 버릇대로 그리기 때문에

《아티스트맘의 참 쉬운 미술놀이》(안지영, 길벗, 2016) 221쪽


삶이 팍팍하게 느껴질 때마다 우리 입에서는 습관적으로 이런 말이 튀어나온다

→ 삶을 팍팍하게 느낄 때마다 우리 입에서는 문득 이런 말이 튀어나온다

→ 삶이 팍팍하다고 느낄 때마다 우리 입에서는 으레 이런 말이 튀어나온다

→ 삶이 팍팍하다고 느낄 때마다 우리 입에서는 버릇처럼 이런 말이 튀어나온다

《우리 음식의 언어》(한성우, 어크로스, 2016) 13쪽


습관적으로 명사 뒤에 ‘적’을 붙이게 되죠

→ 버릇처럼 이름씨에 ‘적’을 붙이죠

→ 자꾸 이름씨에 ‘적’을 붙이죠

→ 곧잘 이름씨에 ‘적’을 붙이죠

→ 툭하면 이름씨에 ‘적’을 붙이죠

《동사의 삶》(최준영, 푸른영토, 2017) 182쪽


습관적 기억은 신체와 굉장히 가깝게 연결되어 있는 데 반해

→ 길든 이야기는 몸하고 아주 가깝게 잇닿지만

→ 물든 마음인 몸하고 무척 가깝게 닿지만

→ 스며든 옛생각은 몸에 착 붙었지만

《재즈, 끝나지 않은 물음》(남예지, 갈마바람, 2022) 8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