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2.25.


《부산에 살지만》

 박훈하 글, 비온후, 2022.2.28.



1994년부터 그림꽃(만화) 느낌글을 꾸준히 썼다. 얼추 3000꼭지가 넘을 듯싶다. 이 가운데 82꼭지를 추슬러서 묶어 본다. 오늘은 비가 그칠 동 말 동한다. 조용히 집에서 보내는 하루이다. 밤이 되자 구름이 걷히고 별이 나온다. 보름달이 온마을을 훤하게 비춘다. 이제부터 해날로 접어들겠구나. 《부산에 살지만》을 지난해에 읽으면서 여러모로 아쉬웠다. 이른바 ‘역사·문화·건축·예술’로 바라보아도 나쁘지는 않지만, 이런 이름에 기대면 막상 ‘삶·살림·사랑·숲’하고는 멀다. 부산뿐 아니라, 서울이나 온나라 발자취를 담는 이들 가운데 “어린이가 어떤 노래를 부르면서 무슨 놀이를 누렸는지”를 적거나 밝히는 이가 있는가? 푸름이 나이일 무렵 고장마다 어떤 살림길로 새로 나서는지를 살피거나 담는 이가 있는가? 글이란 까맣게 모르지만, 들숲바다를 밝게 깨우친 수수한 사람들이 짓는 하루를 톺거나 옮기는 이가 있는가? 《부산에 살지만》을 쓰려면, 조그마한 골목집에 삯을 들어서 다섯 해는 너끈히 살아내야지 싶고, 열 해 남짓 두 다리로 걸어다니기만 하면서 일해야지 싶고, 스무 해 즈음 고을꽃과 고을나무와 고을새를 눈여겨보면서 “부산에도 둥지를 트는 제비”가 어느 마을에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