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선생
곽정식 지음 / 자연경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2.21.

읽었습니다 309



  벌레가 왜 ‘벌레’인지 헤아리지 않는 분들은 우리말 ‘벌레·버러지’를 안 쓰더군요. 굳이 ‘충(蟲)·곤충’이라는 한자를 써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잎벌레·풀벌레·사슴벌레·딱정벌레·노린재’ 같은 낱말 하나를 붙인 옛사람 넋과 숨결을 읽을 적에 비로소 벌레살림을 마음으로 알아채게 마련입니다. 《충선생》을 읽으면서 내내 한숨이 나왔습니다. 벌레는 벌레입니다. 개는 개이고 고양이는 고양이입니다. 범은 범이고 곰은 곰입니다. 언제부터 이런 이름을 지었는지 까마득한데, 이 아스라한 살림길을 곁에서 벌레를 지켜보노라면 저절로 벌레하고 이웃으로 지낼 테지요. 애써 벌레책을 안 들추어도 됩니다. 따로 파브르한테서 배워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 눈길로 벌레 곁에서 한 해를 고스란히 돌아보는 살림살이를 일구면 됩니다. 멋을 안 부리는 벌레를 느껴야, 글멋이나 글치레가 없이, 그저 삶을 읽고 나누는 이야기를 펼 수 있습니다.


《충선생》(곽정식, 자연경실, 2021.3.2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