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원칙 原則


 원칙을 따르다 → 길을 따르다 / 잣대를 따르다

 원칙을 세우다 → 삶틀을 세우다 / 삶길을 세우다

 근본 원칙에 어긋나다 → 삶에 어긋나다 / 밑틀에 어긋나다

 절대로 발설해선 안 된다는 것이 원칙이었다 → 아무 말도 말아야 한다


  ‘원칙(原則)’은 “1. 어떤 행동이나 이론 따위에서 일관되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규칙이나 법칙 ≒ 본칙 2. [철학] 다른 여러 명제가 도출되는 기본 논제”를 가리킨다는군요. ‘자·잣대’나 ‘길·길눈·길불·길빛·길잡이·길라잡이’나 ‘곬·뜻·소리’로 손볼 만합니다. ‘얼개·얼거리·틀·틀거리·뼈대’나 ‘눈·눈길·눈결·눈꽃·눈금’이나 ‘눈높이·눈가늠·눈대중·눈망울·눈썰미’로 손볼 수 있어요. ‘삶·삶길·살림길·삶틀’이나 ‘밑·밑동·밑틀·밑절미·밑판’이나 ‘밑바탕·바탕’으로 손보고, ‘가늠하다·가누다·따지다·재다’나 ‘세우다·서다·하다·하나치’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키·키높이·키재기’나 ‘-를 따라·-를 보고·워낙’이나 ‘읽눈·읽빛·읽는눈·읽는눈길·읽는눈빛’으로 손볼 수 있어요. ‘보는눈·보는눈빛·보는눈길·봄눈·봄빛’이나 ‘알림·밝힘’으로 손보아도 돼요. ㅅㄴㄹ



때문에 조각작품을 만들면서 그리스 식의 원칙을 따르려는 작가가 있다면

→ 그래서 깎을 적에 그리스다운 틀을 따르려는 이가 있다면

→ 이리하여 빚을 적에 그리스 눈길을 따르려고 한다면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칸딘스키/권영필 옮김, 열화당, 2000) 17쪽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것은 모두 배우는 것이 원칙이었다

→ 살아가는 바탕은 모두 배우도록 한다

→ 살아가는 밑동은 모두 배우도록 세운다

《일본인은 어떻게 공부했을까?》(츠지모토 마사시/이기원 옮김, 知와사랑, 2009) 45쪽


‘1분이라도 늦으면 지각, 결석 불가, 과제는 필수’가 내 원칙이었다

→ ‘조금이라도 늦으면 안 돼, 빠져도 안 돼, 할 일은 꼭’을 밝혔다

→ ‘조금이라도 늦거나 빠지면 안 되고 할 몫은 꼭’을 내세웠다

《배우는 삶 배우의 삶》(배종옥, 마음산책, 2016) 183쪽


표준어 선정의 원칙이 처음 잡혔고

→ 맞춤말을 뽑는 얼개를 처음 잡았고

→ 두루말을 고르는 틀을 처음 잡았고

→ 서울말을 가리는 길을 처음 잡았고

《언어는 인권이다》(이건범, 피어나, 2017) 177쪽


학생을 공평무사하게 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 배움이를 고르게 마주하려고 하지만

→ 배움이를 똑같이 바라보려 하지만

→ 배움이를 치우치지 않게 보려 하지만

《아름다운 그이는 사람이어라》(김탁환, 돌베개, 2017) 153쪽


수학을 관통하는 하나의 미학적 원칙이 있다면 바로 이것이다

→ 셈꽃을 아름다이 가로지르는 잣대는 바로 이렇다

→ 셈꽃을 눈부시게 넘나드는 틀은 바로 이러하다

《수포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폴 록하트/박용현 옮김, 철수와영희, 2017) 24쪽


상명하달의 지휘체계를 갖추는 것은 원칙이지만

→ 위아래로 시켜야 하지만

→ 위에서 시키는 틀을 세우지만

→ 고분고분 시켜야 하지만

《하프와 공작새》(장준영, 눌민, 2017) 328쪽


한 사람이 평생 지켜온 원칙에 주목해야 한다

→ 한 사람이 내내 지켜온 길을 눈여겨봐야 한다

→ 한 사람이 곧게 지켜온 삶을 들여다봐야 한다

→ 한 사람이 고이 지켜온 뜻을 살펴봐야 한다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김탁환, 해냄, 2020) 157쪽


원래 모든 떨어지는 잎들은 다시 나무들에게 돌려주는 게 원칙이라고 했다

→ 워낙 모든 떨어지는 잎은 다시 나무한테 돌려주어야 한다고 했다

《인생이 내추럴해지는 방법》(신이현, 더숲, 2022) 202쪽


큰 건물을 지을 때도 손노동 원칙을 지킨다

→ 큰집을 지을 때도 손으로 일한다

→ 큰집도 손으로 짓는다

《0원으로 사는 삶》(박정미, 들녘, 2022) 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