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비극적


 비극적인 결말 → 딱한 마무리 / 불쌍한 끝 / 안된 매듭

 비극적인 운명 → 눈물꽃 / 눈물비 / 눈물바람

 비극적인 죽음을 맞다 → 슬프게 죽다 / 안타깝게 죽다

 비극적인 현대사 → 애잔한 오늘자취 / 아픈 오늘걸음

 비극적인 사고가 나다 → 끔찍한 일이 나다


  ‘비극적(悲劇的)’은 “비통하고 참담하거나 불행하게 얽힌”을 가리키고, ‘비극(悲劇)’은 “1. 인생의 슬프고 애달픈 일을 당하여 불행한 경우를 이르는 말 2. [연기] 인생의 슬픔과 비참함을 제재로 하고 주인공의 파멸, 패배, 죽음 따위의 불행한 결말을 갖는 극 형식”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엾다·딱하다·불쌍하다·볼 수 없다’나 ‘서글프다·서럽다·섧다’나 ‘아쉽다·안되다·안쓰럽다·안 좋다·안타깝다’로 고쳐씁니다. ‘애잔하다·애처롭다·어둡다’나 ‘눈물겹다·눈물나다·눈물을 흘리다·눈물이 흐르다’나 ‘눈물꽃·눈물길·눈물바람·눈물비’으로 고쳐쓸 만하고, ‘눈물빛·눈물구름·눈물앓이·눈물짓다’나 ‘슬프다·슬퍼하다’나 ‘슬픔꽃·슬픔길·슬픔바람·슬픔빛·슬픔구름·슬픔비·슬픔앓이’로 고쳐쓰면 되어요. ‘아프다·가슴아프다·너무하다’나 ‘아픔꽃·아픔바람·아픔빛·아픔비·아픔구름’으로 고쳐쓰고, ‘가시밭·고단하다·고달프다·고되다·괴롭다’나 ‘모질다·몸서리·무시무시·미어지다·되다’로 고쳐쓰며, ‘뼈빠지다·뼈아프다·뼈저리다’나 ‘굶다·굶주리다·주리다·빚·빚지다’나 ‘쪼들리다·찌들다·찢다·찢어지다’로 고쳐씁니다. ‘가난·벗다·발가벗다·헐벗다·나뒹굴다·뒹굴다’나 ‘떨려나가다·떨어지다·끔찍하다’로 고쳐쓸 만하고, ‘버겁다·벅차다·죽을맛·힘겹다·힘들다’나 ‘구렁·진구렁·수렁·동티·그늘’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벼락·날벼락·감벼락·불벼락’이나 ‘소름·소름끼치다·소름돋다’로 고쳐써도 되고요. ㅅㄴㄹ



비극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 가슴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소름돋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영화여 침을 뱉어라》(이효인, 영화언어, 1995) 37쪽


그것은 비극적이었지만

→ 이 일은 슬프지만

→ 괴롭지만

→ 뼈아프지만

→ 힘들지만

→ 날벼락이지만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김창엽, 삼인, 2002) 259쪽


어떤 비극적인 결과가 초래되는지

→ 어떤 슬픔앓이인지

→ 얼마나 애처로운지

→ 어떻게 눈물나는지

→ 어떻게 떨려나가는지

→ 어떻게 나뒹구는지

《험담》(로리 팰라트닉·밥 버그/김재홍 옮김, 씨앗을뿌리는사람, 2003) 94쪽


허균의 삶은 비극적이다

→ 허균은 슬픈 삶이다

→ 허균은 섦게 살았다

→ 허균 삶은 눈물꽃이다

→ 허균 삶은 슬픔비이다

→ 허균은 버겁게 살았다

→ 허균은 힘겨이 살았다

《마음이 소금밭인데 오랜만에 도서관에 갔다》(이명원, 새움, 2004) 24쪽


조선인이 겪었던 비극적 체험이다

→ 조선사람이 겪은 눈물구름이다

→ 조선사람이 겪은 슬픔길이다

→ 조선사람은 죽을맛이었다

→ 조선사람은 불벼락이었다

→ 조선사람은 서글피 살았다

→ 조선사람은 애처롭게 살았다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강덕상/김동수·박수철 옮김, 역사비평사, 2005) 8쪽


몽골에 가서 본 것은 그들이 냉소적이고 비극적인 일들을 너무 많이 당했다는 것이다

→ 몽골에 가서 보니 그들은 차갑고 끔찍한 일을 너무 많이 겪었다

→ 몽골에 가서 보니 그들은 야멸차고 모진 일을 너무 많이 겪었다

《밝은 그늘》(손승현, 사월의눈, 2013) 86쪽


그게 뭐 그렇게 비극적이냐고

→ 그게 뭐 그렇게 끔찍하냐고

→ 그게 뭐 그렇게 슬프냐고

→ 그게 뭐 그렇게 대수냐고

《사라진 숲의 왕을 찾아서》(필립 후즈/김명남 옮김, 돌베개, 2015) 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