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1.15.


《어린이 공화국 벤포스타》

 에버하르트 뫼비우스 글/김라합 옮김, 보리, 2000.10.25.



아침 일찍 여수 어린배움터 한 곳에서 글읽눈(문해력 증진 수업) 이야기를 들려주고서 여천버스나루로 간다. 어제부터 날이 풀린다. 맨발 고무신으로 햇볕을 쬐며 걷는다. 13시에 고흥에 닿고, 14시 40분 시골버스를 타기까지 볕바른 곳에 가서 해를 쬔다. 집에 닿아 커피콩을 볶는다. 이제는 우리 집 나름대로 맛을 살리려면 어떤 불로 얼마나 볶아야 하는지 알겠다. 집안일을 조금 더 하고서 드러눕는다. 《어린이 공화국 벤포스타》를 모처럼 되읽었다. ‘어린이나라’는 이제 사라졌다고 할 텐데, 한두 까닭을 넘어 여러 까닭이 얽혔을 테지. ‘어린이가 스스로 서는 나라’란 무엇일까? ‘어린이만 있는 나라’일 수 있을까? 어린이나 어른 가운데 어느 쪽만 앞세울 적에는 흔들리게 마련이다. 짝맺기나 돈벌기를 넘는 ‘사랑’하고 ‘숲’을 바탕으로 펴지 않는다면, 모든 ‘나라’는 흔들리다가 무너진다. 이 책은 이미 벤포스타가 흔들흔들 사라지려던 무렵에 한글판이 나왔지만, 이 대목을 제대로 안 짚었다. 붙임말을 왜 안 실었을까? ‘한때 그런 아름마을이 있었다’는 줄거리로만 허울좋게 보여준들, 오늘 우리 터전을 가꾸는 밑거름으로는 못 삼는다. 어린이는 어디에 있을 적에 ‘어린이’일까? 우리는 터럭만큼이라도 ‘어른’인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